DOI QR코드

DOI QR Code

한국산 버섯추출물의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력 검색과 특성

Determin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Inhibitory Activity of Mycelial Extracts from Several Korean Mushrooms against Helicobacter pylori

  • 이재경 (수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공학과) ;
  • 윤정원 (수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공학과)
  • Lee, Jae-Kyoung (Department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 The Suwon University) ;
  • Yoon, Jeong-Weon (Department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 The Suwon University)
  • 발행 : 2004.12.30

초록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효과는 열수추출물에서는 Fomitopsis pinicola가 15 mm의 생육저해환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Codyceps militaris, Coriolus versicolor, Phellinus linteus, Fomitella traxinea가 비교적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열수 추출물들의 pH가 낮았으나 항균력이 없는 것으로 보아서 버섯추출물의 수소이온 농도는 항균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여겨졌다. Methanol 추출물에서도 Fomitopsis pinicola가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생육저해환의 크기가 44 mm로 가장 높은 항균력을 보였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버섯의 주성분은 당과 단백질이며 주로 단백다당체를 이루고 있다. 이를 구성하는 성분 및 함량에 따라 다른 기작을 보이는 갓으로 추정되며 결합하고 있는 형태도 기작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실험을 통해 Fomitopsis pinicola methanol 추출물이 DEAE-Sepadex의 초기 분획에서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효과를 나타냈다. 이 분획은 당과 단백질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Fomitopsis pinicola, Codyceps militaris는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력이 뛰어나 기능성식품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effect of hot water and methanol extracts of 9 species from Korean mushrooms (Fomitopsis pinicola, Fomitella traxinea, Codyceps militaris, Phellinus linteus, Coriolus versicolor, Sparassis crispa, Ganoderma lucidum, Fomes fomentarius, Agaricus blazei) on the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were examined using a Mueller-Hinton agar diffusion method. Hot water ($121^{\circ}C$) extracts from fruit bodies of F. traxinea, C. militaris, P. linteus, C. versicolor and F. pinicola showed $10{\sim}15\;mm$ inhibition zone against H. pylori. Methanol extracts of F. pinicola showed 44 mm inhibition zone, but another extracts showed no inhibition. Early fractions of DEAE-Sephadex A-25 column chromatography of methanol extracts from F. pinicola showed high inhibition activity against H. pylori.

키워드

참고문헌

  1. 이광호, 윤희상, 백승철, 이우곤, 조명제, 최휴진, 맹국영, 고광욱. 1990. 한국인의 위염원인균 Helicobacter pylori 보균실태. 대한미생물학회지 25: 475-490.
  2. 정학성. 1993. 한국산 고등균류 분류학 발표목록. 균학회소식 5(1): 29-36.
  3. Anke, T., Kupka, J., Schramm, G. and Steglich, W. 1980. Antibiotics from Basidiomycetes. X, Scorodonin, A New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Metabolite from Marasmius scorodonius (Fr.) Fr. J. Antibiotics 33(5): 463-467. https://doi.org/10.7164/antibiotics.33.463
  4. Baik, S. C., Kim, J. B., Cho, M. J., Kim, Y. C., Park, C. K., Ryou, H. H., Choi, H. J. and Rhe, K. H. 1990. Prevalence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mong normal Korean adults. J. Kor. Soc. Microbiol. 25(6): 455-462.
  5. Cambie, R. C., Hirschberg, A., Jones, E. R. H. and Lowe, G. 1963. Chemistry of the Higher Fungi Part XVI, Polyacetylenic Metabolites from Aleurodiscus roseus. J. Chem. Soc. 4120-4130. https://doi.org/10.1039/jr9630004120
  6. Dunn, B. E., Cohen, H. and Blaser, M. J. 1997. Helicobacter pylori. J. Appl. Bacteriol. 66: 365-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