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learning

검색결과 315건 처리시간 0.024초

수학학습부진아 지도방법에 따른 학업성취도 향상에 대한 메타연구 (Meta analysis on the improvement of academic performance by the teaching method for underachievers of learning mathematics)

  • 김홍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1호
    • /
    • pp.31-45
    • /
    • 2020
  • 시대적 흐름과 정부의 정책 시행 노력에도 불구하고 수학학습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학생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 이를 반영하여 수학교육에서 수학학습부진아와 관련된 연구가 많이 시행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의 대부분은 수학학습부진아의 원인을 밝혀내거나 교수학적 처치를 시행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 실험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 49편을 메타분석하여 수학학습부진에 대한 교수학적 처치가 학업성취도 향상에 얼마나 큰 효과크기를 갖는지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수학학습부진아에게 교수학적 처치는 전반적으로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갖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여러 중재요인을 분석하여 어떠한 환경에서 가장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는지에 대한 제안점도 얻을 수 있었다.

상황인지기반 U-Learning 응용서비스 (A Study on the U-learning Service Application Based on the Context Awareness)

  • 이기오;이현창;신현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81-89
    • /
    • 2008
  • 상황인지에 기반한 유비쿼터스 학습서비스 응용모형에 대하여 소개한다. 이동성과 자율성에 기반하여 피학습자에게 WPAN 환경하의 적절한 상황인지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고, 학습관리모형을 통해 경험과 선호사항 그리고 후보추천이 서비스제공 시점에 동적으로 재구성되는 서비스 응용 매커니즘을 소개한다. 개방형모형으로써 OSGi 미들웨어를 적용하며, 상황정보 및 프로파일 관리를 위해 메타모형을 통한 동적 재구성 매카니즘이 소개된다.

  • PDF

A Meta-Analysis of Research on the Impact of Microcomputer-Based Laboratory i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 Han, Hyo-Soon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75-385
    • /
    • 2003
  • In an effort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effect of Microcomputer-Based Laboratory (MBL) use i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on student achievement and attitudes, a review of research analyzed studies was done between 1981 and 2001, using a meta-analysis procedure. Thirty-seven published and unpublished studies were reviewed. Use of MBL was shown to be potentially effective in the following condition of class; two students, physics teaching, more than one topic, or at the college level. Appropriate research design strategies, financial support (including hardware and software), and the use of more than one instrument for assessing the effect of the MBL instruction are crucial factors for more informative research studies. While helpful in many respects, the prior research revealed a number of problems related to the use of MBL in school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The prior research does not support the desired intention described in the theory-based outcomes and reveals so little about how teachers and students use MBL, how it influences their teaching and learning, and how effectively it fits into the existing science curriculum. In order to know if the integration of MBL in the existing school science is worth it or not, more careful research design and comprehensive research should be done.

Multicast Tree Generation using Meta Reinforcement Learning in SDN-based Smart Network Platforms

  • Chae, Jihun;Kim, Namg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5권9호
    • /
    • pp.3138-3150
    • /
    • 2021
  • Multimedia services on the Internet are continuously increasing. Accordingly, the demand for a technology for efficiently delivering multimedia traffic is also constantly increasing. The multicast technique, that delivers the same content to several destinations, is constantly being developed. This technique delivers a content from a source to all destinations through the multicast tree. The multicast tree with low cost increases the utilization of network resources. However, the finding of the optimal multicast tree that has the minimum link costs is very difficult and its calculation complexity is the same as the complexity of the Steiner tree calculation which is NP-complete. Therefore, we need an effective way to obtain a multicast tree with low cost and less calculation time on SDN-based smart network platform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ulticast tree generation algorithm which produces a multicast tree using an agent trained by model-based meta reinforcement learning. Experiments verifi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generated multicast trees in less time compared with existing approximation algorithms. It produced multicast trees with low cost in a dynamic network environment compared with the previous DQN-based algorithm.

학습 활동 주제별 프로그래밍 교육 효과 메타분석 (A meta analysis of programming education effects according to learning activity themes)

  • 전성균;이영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1-29
    • /
    • 2016
  •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의 도입은 다양한 학습활동을 전개할 수 있도록 교육환경을 변화시켰다. 이러한 학습 활동들이 프로그래밍 학습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8가지 주요 학습 활동 주제별로 메타 분석 하였다. 연구 대상은 1993년부터 2015년까지 논문지에 게재된 프로그래밍 교육 논문이다. 분석 기준에 부합하는 총 44편의 논문에서 추출한 77개의 연구 자료를 선정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에서 .595와 .594로 중간 수준의 효과 크기를 나타냈다. 인지적 영역에서는 학습 주제별 유의한 차이는 없으나 수리, 시뮬레이션, 애니메이션 영역에서 중간 수준의 효과크기로 비교적 일관된 결과를 나타냈다. 정의적 영역에서는 학습 주제별 효과크기는 유의한 차이는 없지만, 개별 연구 간에 그리고 학습 주제 간에 동질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학습자들은 다양한 학습 활동 주제에 따라 학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교수자들은 시뮬레이션, 애니메이션, 수리 활동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연구자들은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다른 요인을 찾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수업 반성 저널의 메타 분석 활동을 통한 초등 예비교사의 생산적 반성 증진 (Facilitati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roductive Reflection on Their Science Teaching through Meta-Analysis of Their Reflective Journals)

  • 윤혜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2호
    • /
    • pp.322-334
    • /
    • 2014
  •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aimed to increase productive reflec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rough meta-analysis of their own reflective journals. The meta-analysis activities are expected to enhance their learning effectively as a kind of self-assesment. During 8 week simulation teaching, 26 pre-service teachers kept individual journal writing and the meta-analysis activities were implemented twice (after the 3rd and 8th week). Right after the first meta-analysis, the pre-service teachers' productive reflection increased clearly. However this would not guarantee the effect would last long time period. By analyzing 8 week reflective journals, reports on meta-analysis activities and small group interview, this study shed light on practical ways of enhancing reflective teacher education.

문제중심학습법으로 학습한 간호학생의 메타인지, 비판적 사고력, 자기효능감간의 관계 (Correlations among Meta Cognition, Critical Thinking and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Studying through Problem Based Learning(PBL))

  • 황윤영;박창승;주민선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46-155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degree of meta cognition, critical thinking and self-efficacy and to identify correlations among the meta cognition, critical thinking, and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studying through PBL. Method: The subjects were 140 nursing students who had studied through PBL over three terms at C Colleg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to September, 2005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SPSS 10.0. Results: The mean score of meta cognition was 40.14 (SD=6.02), critical thinking was 181.46 (SD=14.49), and self-efficacy was 942.93 (SD=167.0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eta cognition and self-efficacy and age. Also, meta cogni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ppropriateness to nursing and interest in nursing knowledge, and critical thinking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ppropriateness to nursing, interest in nursing knowledge, interest in lab on campus and interest in clinical practicum.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meta cognition, critical thinking and self-efficacy. Conclusion: Based on above results, further research should be done about many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ies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any teaching methods for improving nursing students' meta cognition, critical thinking and self-efficacy.

  • PDF

ICT 활용 교수-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2000년 이후에 발간된 국내 논문을 중심으로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Academic Achievement Using ICT Teaching-Learning: Focused on Theses and Journal Paper in Korea since 2000)

  • 구병두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53-68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ICT를 활용한 교수-학습방법이 전통적인 교수-학습방법에 비해 학생의 학업성취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가를 메타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1년도부터 2014년 2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ICT를 활용한 교수-학습 관련 석 박사학위논문과 학술 논문 103편 가운데 133개의 효과크기 수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본 연구의 분석대상 가운데 85%가량은 ICT 활용 교수-학습방법이 전통적인 교수-학습방법에 비하여 학생의 학업 성취에 효과가 뚜렷한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학교 급별에 따른 ICT 활용 교수-학습의 학업성취 효과 크기는 초등학교 학생과 대학생이 중학생과 고등학생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실시 교과목에 따라서는 예체능과 사회 교과의 평균 효과크기가 다른 교과목에 비하여 ICT 활용 교수-학습의 효과가 큰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그동안 선행된 많은 ICT 활용 교수-학습과 관련된 개별연구들의 각기 다른 학업성취 효과에 메타분석을 적용하여 보다 강력한 결론을 내렸다. 또한 이러한 보다 강력하고 통합된 결론을 통해서 이 분야의 후속 연구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와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PDF

다중 클래스 데이터셋의 메타특징이 판별 알고리즘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 of Meta-Features of Multiclass Datasets on the Performance of Classification Algorithms)

  • 김정훈;김민용;권오병
    • 지능정보연구
    • /
    • 제26권1호
    • /
    • pp.23-45
    • /
    • 2020
  • 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판별 알고리즘을 활용한 의사결정 역량제고가 필요하다. 하지만 대부분 특정 문제영역에는 적합한 판별 알고리즘이 어떤 것인지에 대한 지식은 많지 않아 대부분 시행착오 형식으로 최적 알고리즘을 탐색한다. 즉, 데이터셋의 특성에 따라 어떠한 분류알고리즘을 채택하는 것이 적합한지를 판단하는 것은 전문성과 노력이 소요되는 과업이었다. 이는 메타특징(Meta-Feature)으로 불리는 데이터셋의 특성과 판별 알고리즘 성능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아직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며, 더구나 다중 클래스(Multi-Class)의 특성을 반영하는 메타특징에 대한 연구 또한 거의 이루어진 바 없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다중 클래스 데이터셋의 메타특징이 판별 알고리즘의 성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 분석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중 클래스 데이터셋의 메타특징을 데이터셋의 구조와 데이터셋의 복잡도라는 두 요인으로 분류하고, 그 안에서 총 7가지 대표 메타특징을 선택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사용하던 IR(Imbalanced Ratio) 대신 시장집중도 측정 지표인 허핀달-허쉬만 지수(Herfindahl-Hirschman Index, HHI)를 메타특징에 포함하였으며, 역ReLU 실루엣 점수(Reverse ReLU Silhouette Score)도 새롭게 제안하였다. UCI Machine Learning Repository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벤치마크 데이터셋으로 다양한 변환 데이터셋을 생성한 후에 대표적인 여러 판별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성능 비교 및 가설 검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메타특징과 판별 성능 사이의 유의한 관련성이 확인되었으며, 일부 예외적인 부분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는 향후 메타특징에 따른 분류알고리즘 추천 시스템에 활용할 것이다.

개미 집단 시스템에서 TD-오류를 이용한 강화학습 기법 (A Reinforcement Loaming Method using TD-Error in Ant Colony System)

  • 이승관;정태충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1B권1호
    • /
    • pp.77-82
    • /
    • 2004
  • 강화학습에서 temporal-credit 할당 문제 즉, 에이전트가 현재 상태에서 어떤 행동을 선택하여 상태전이를 하였을 때 에이전트가 선택한 행동에 대해 어떻게 보상(reward)할 것인가는 강화학습에서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조합최적화(hard combinational optimization)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메타 휴리스틱(meta heuristic) 방법으로, greedy search뿐만 아니라 긍정적 반응의 탐색을 사용한 모집단에 근거한 접근법으로 Traveling Salesman Problem(TSP)를 풀기 위해 제안된 Ant Colony System(ACS) Algorithms에 Q-학습을 적용한 기존의 Ant-Q 학습방범을 살펴보고 이 학습 기법에 다양화 전략을 통한 상태전이와 TD-오류를 적용한 학습방법인 Ant-TD 강화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강화학습은 기존의 ACS, Ant-Q학습보다 최적해에 더 빠르게 수렴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