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u Structure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31초

국내 대학도서관 웹사이트 메뉴구조와 용어 분석 (A Study on the Menu Structure and Term of Academic Library Web Site)

  • 최흥식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37-161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 웹사이트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웹사이트 메뉴구조와 용어를 제안하는데 있다. 메뉴구조는 7가지의 웹사이트 메뉴패턴을 기준으로 분석하였고, 용어는 빈도순에 의한 항목을 분석하였다. 메뉴구조의 분석결과는 전반적으로 2가지 이상의 메뉴구조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었고, 구조패턴은 <테이블>과 <프레임 + 테이블> 메뉴패턴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메뉴에 사용된 용어는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어서 체계적인 재분류와 절제된 표현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서관 웹사이트 제작자와 일선 사서들의 메뉴구조와 용어선정 문제에 도움을 주고, 이용자에게 도서관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개념적 혼동과 이해부족 문제를 해소할 것으로 기대 된다.

Screen Size를 고려한 최적 Menu Structure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avigation Menu Structure with Screen Size)

  • 김성민;최재호;정의승;최광수;전명훈;박준호;안정희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380-385
    • /
    • 2008
  • 자동차 환경에서 운전자가 주행 Workload라는 Main Task의 제약조건 하에서 Navigation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Navigation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에 대한 빠른 이해가 필요하며, 이에 부합하는 Navigation Interface 설계를 위해 Navigation의 Screen Size의 제약 조건 하의 Menu Structure의 Width와 Depth 기반의 정보량의 수준과 이에 따른 Menu Structure Type의 연구가 중요한 Issue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운전 상황과 유사한 환경을 구축하여 Navigation의 7인치와 4인치의 터치 스크린 기반의 Interface 환경에서 운전자에게 각각 다른 Menu Structure를 제시하고, 수행도와 선호도를 비교하였다.

  • PDF

Electronic Information Guide 메뉴 구조가 정보검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enu structure for electronic information guide on information search)

  • 오창영;정찬섭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1-53
    • /
    • 1999
  • The effect of menu width and depth on the efficiency of information search and menu preference was investigated to identify an optimal menu structure for EIG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Information search time increased stepwisely as the menu width exceeded 6 items and linearly as the level of menu depth increased. Th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error rate and the number of depth levels seems to be caused by the increase in the items to be remembered. When a menu structure was constructed by combining different menu depths and widths, it was observed that making the menu width wider rather than the depth deeper allows better information search. The menu structure rated as the most preferable and the easiest to user was that of pyramidal form. Such a result seems to come from its structural similarity to general categories which people get used to and implies that one should consider user preference as well as efficiency of search when he/she designs an EIG menu.

  • PDF

인간의 연상 구조에 적합한 메뉴의 설계 및 평가: 활성화 확산 모델 접근 방법 (Design and Evaluation of Hierarchical Menu Structure Related to Human Association Structure: Spreading Activation Model Approach)

  • 박상수;명노해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26
    • /
    • 2004
  • In this study, the usability evaluation of a menu-structure was performed using spreading activation model with respect to human's memory retrieval. Spreading Activation Model is effectively used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information retrieval, so it can be used as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modeling of the process of human's information retrieval. For spreading activation test (SAT), subjects were presented with 67 pairs of menu titles, which consist of a menu title in the high level menu item and a menu title for the next lower level menu item, from Korea University's web site. For performance tests, three scenarios were developed with longer reaction times and ambiguous associations found in the SAT to reflect the existing problems of the website. As a result, the SAT was found to bean effective tool to enhance the website usability because the SAT could bea substitute for the performance test with a high correlation $({\rho}=0.735,\;{\alpha}=0.05)$. After remaining menu titles with slow reaction times and ambiguous associations found in SAT, the website usability was significantly improved with faster reaction times and less ambiguous associations proven with smaller number of web-page visits. Therefore, the SAT could be used as a methodology to design and evaluate the user-centered menu structure related to human's association structure.

Eye-Tracking Method를 이용한 메뉴구조 설계 및 평가 (Information Architecture Design Using Eye-tracking Method)

  • 박종순;명노해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33-39
    • /
    • 2007
  •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은 복잡한 정보 구조로 인한 인지적 과부하로 메뉴로 부터 효과적인 정보 인출의 방해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인지적 과부하를 완화하기 위해서 현재까지 크게 두 가지 방법(메뉴의 폭과 깊이에 관련된 물리적 방법과 메뉴 타이틀에 관련된 어의적 방법)을 사용하여 효과적인 메뉴구조를 만들기 위하여 노력하여 왔다. 본 연구는 visual search에 수반되는 Fixation과 Fixation Duration을 사용한 또 다른 어의적 방법론을 제안하여 메뉴구조 설계 방법으로서의 효능을 입증하고자 한다. 특히, Fixation은 인간의 인지 모델에 따라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Fixation을 통해 정보 구조와 인지 모델간의 일치 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인지적으로 잘 설계된 메뉴 구조는 Fixation 수와 Duration이 잘못 설계된 메뉴구조보다 적다는 가설이 성립된다. 이러한 가설의 검정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Eye-Tracking 장비를 사용하여 메뉴 수정 전 후의 Fixation 수와 Duration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수정 후의 Fixation 수와 Duration이 유의하게 감소됨으로서 수정 후의 메뉴구조가 수정 전보다 효과적인 메뉴구조임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visual search에 수반되는 Fixation과 Fixation Duration을 사용한 메뉴구조 설계 방법론이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것이 증명되었다.

  • PDF

디지털미디어 메뉴 타이틀의 인지차이와 메뉴 방향에 따른 시선주목도 차이 (Optokinetic Differentiation through the Menu Layout and Cognitive Degree of Service Menu Title for Watching Digital Media)

  • 이상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11-119
    • /
    • 2010
  • 본 연구는 디지털 케이블방송과 IPTV와 같은 디지털 미디어 서비스의 메뉴 구조에 대한 시선추적 연구이다. 최근 디지털 미디어 서비스의 초기 메뉴 구조는 수평 구조 또는 수직 구조로 제공되고 있는데, 디지털 케이블의 사례와 IPTV의 사례를 볼 때 발전과정은 상이하나, 서비스의 구성이 유사하여 메뉴 타이틀 및 방향에 대한 실험을 통해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이 된다. 연구자는 연구주제로 사용자가 메뉴를 조작하면서 인지하는 메뉴 타이틀 인지 정도와 메뉴의 제공방향에 대한 시선 도달시간이 상이한지 확인하고, 논의하는 것으로 정하였다. 연구는 Vertical Type과 Horizontal Type으로 구분된 실험을 통해 각 9가지의 결과를 도출하는 것으로 초기 메뉴에서 선순위로 노출되는 실시간 방송의 경우 수직구조의 메뉴에서, 지상파 및 영화VOD와 같은 후순위 메뉴 서비스의 경우는 수평 구조에서 피험자의 시선이 빠르게 이동한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기존 미디어사업자들의 메뉴 구조진화를 간접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향후의 진화 방향을 설정할 때 실무적으로 도움이 되는 유용한 결과이다.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도구로서 Trajectory Mapping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rajectory Mapping Method as a User Interface Design Tool for Mobile Devices)

  • 이석원;명노해
    • 산업공학
    • /
    • 제22권1호
    • /
    • pp.17-25
    • /
    • 2009
  • In mobile device's user interface, menu organization is very important as well as menu structure because small display of mobile device. Menu items should be organized based on user knowledge structure to design user-centered interface. Traditionally, MDS (Multidimensional Scaling) have been most often used to expose users' perceived organization of menu items. But, information that MDS reveals is just relative spatial location of concepts and not relevant to concepts connection. Unlike MDS, Trajectory Mapping explicitly finds users' cognitive links between perceived concepts. This study proposes a Trajectory Mapping technique for eliciting knowledge structure, especially a set of cognitive pathways linking menu items, from end user. With twelve participants, MDS and Trajectory Mapping were conducted using cellular phone's menu items. And user knowledge structure was analyzed through Visual Concept Map that combination of results of MDS and Trajectory Mapping. After then, menu items were organized according to users' perceived organization. Empirical usability test was also conducted. The results of usability test showed that usability, in terms of task performance time, number of errors, and satisfaction, for newly organized interface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 to original interface.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design a user-centered interface. In other words, Trajectory Mapping technique can be used as a design tool of user interface for imposing user knowledge structure on the interface.

PC통신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메뉴 구조에 대한 GOMS 분석 (GOMS Analysis of Database Menu Structure for PC Communication Services)

  • 윤철호;노병옥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01-107
    • /
    • 2000
  • This study reviews several database menu structure for pc communication services to examine the efficiency of database menu structure. Database menu systems of 5 major pc communication companies were analyzed by GOMS methodology, a description of the knowledge that a user must have in order to carry out tasks on system. Also, each database access time of 4 pc communication companies were measured with internet pc environment in laboratory. It is recommened that another menu design strategies (for example, broad-shallow rather than narrow-deep) should be adopted because current menu structures have inefficient procedures to access those database.

  • PDF

메뉴 구조의 평가 방법론으로서 활성화 확산 모델의 타당성 검증: Eye-Tracking 접근 방법 (The Validation of Spreading Activation Model as Evaluation Methodology of Menu Structure: Eye Tracking Approach)

  • 박종순;명노해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3-112
    • /
    • 200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validate Spreading Activation Theory (SAT) for an evaluation methodology for menu structure through Eye-Tracking approach. When a visual search is on the way, more eye fixations and time are necessary to visually process complex and vague area. From the aspect of recognition, well-designed menu structures were hypothesized to have fewer numbers of fixations and shorter duration because well-designed menu structures reflecting the users' mental model would be well matched with the product's menu structure, resulting in reducing the number of fixations and duration time. The results show that the shorter reaction times for SAT had significantly fewer numbers of fixation and shorter duration time as the hypothesis for this study stated. In conclusion, SAT was proved to be an effective evaluation methodology for menu structure with the eye tracking equipment. In addition, using SAT instead of the real performance experiment would be useful for designing user-centered systems and convenient information structures because SAT was proven to be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design and evaluation of menu structures.

제한된 화면공간에서의 메뉴설계 (Design of a menu on a limited screen space)

  • 곽지영;최재호;조항준;한성호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1994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창원대학교; 08월 09일 Apr. 1994
    • /
    • pp.93-102
    • /
    • 1994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provide guidelines for the design a menu on a limited screen space. Printers, facsimiles, copiers, etc. usually employ a small LCD, which provides either 8 or 16 characters to present functions and system status. Menu type, menu structure, and experience in menu structure were manipulated by using a within-subjects experimental design. The results imply that design recommendations for a menu on a limited screen space should be different from those for an ordinary CRT scre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