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toring need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3초

의과대학생의 멘토링 프로그램 필요 요구 및 희망 진로와의 연관성 (Who needs mentoring program among medical students?)

  • 오승민;신홍임;전우택;양은배
    • 의학교육논단
    • /
    • 제10권2호
    • /
    • pp.45-52
    • /
    • 2008
  • Purpose & Method : To describe medical students' need on the mentoring program and relationship with career choice, 186/251 (74.1%) of first-and second-year medical students at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were surveyed. Result : 66.1% of medical students replied that he/she would volunteer as a mentee in mentoring program. Medical students' need area in mentoring program was specialty choice (62.9%). research development(18.8%), adapting to school life (13.9%) and effective learning skill (2.7%). 47.2% of medical students replied that his/her wishful career and working place is university faculty. Medical students who replied that he/she would volunteer as a mentee showed more needs on the research mentoring program(P=0.0112) and faculty career(P=0.0185) than those who replied that he/she would not volunteer as a mentee. Conclusion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mentoring program. this analysis on medical students' need should be considered.

초임 과학교사 지원을 위한 멘토링의 효율성 연구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the Mentoring System to Support Beginning Science Teachers)

  • 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3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초임교사를 포함하여 수업전문성 개발이 요구되는 교사를 지원하기 위한 방편으로써 멘토링 체제의 효과와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수업전문성 제고를 통한 교사의 책무성 제고가 요청되며, 여기서 현장 경험 속에서 교사의 수업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멘토링이 주목되고 있다. 멘토링이란 개별 교사의 전문성과 경력발달과 연계하여 해당 교사가 전문적으로 그리고 개인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으로 때로는 전문가-초보 관계로 운영된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전문성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멘토링 체제 도입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교과별로 멘토-멘티를 최소 3쌍 정도 구성하여 멘토링을 시범운영해 본 결과를 토대로 멘토링 체제 도입과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단원의 전 차시 수업에 대하여 멘토와 멘티가 수업동영상을 만들고 그 동영상을 활용하여 수업컨설팅에 초점을 둔 멘토링(video-based discussions)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참여교사의 개인적, 집단적 발전을 촉진할 수 있었다. 멘토와 멘티가 협력하여 수업에서 드러난 증거에 기반을 둔 공동탐구를 수행함으로써 반성적 경험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과학과 멘토링 체제 적용 결과를 멘토링의 필요성과 목적, 초임교사 지원을 위한 멘토링의 필요성, 역할 기대에 비추어본 멘토의 자격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였다. 결론에서는 멘토링 체제 운영상의 유의점을 논의하였다.

신입간호사에 대한 멘토링 프로그램의 개발 효과 (Effects of Mentoring Program's Development about New Nurses)

  • 박미란;이미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43-5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신규간호사의 전문적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행하였다. 멘토링 프로그램은 연구팀과 전문위원회에 의해 49명의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3개월간의 시안 프로그램 적용 후 전문상담과 워크샵을 통해 개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멘티에서 멘토링 프로그램 만족도 평균은 4.31점으로 멘토인 경력간호사 3.77점보다 높았다. 가장 높은 점수는 '멘토링 프로그램의 필요성'이었고, 가장 낮은 점수는 '멘토링 프로그램 기간 및 회의횟수'였다. 추가로 멘토링 기간 연장에 대한 의견을 반영하여 최종 6개월로 변경하였다. 따라서 추후 멘토링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적인 양적, 질적 연구를 통해 프로그램 보완이 필요하며, 본 연구결과로 간호 인력의 확보 및 유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정책정보멘토링서비스 수요분석 및 활성화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mand for and Creation of Policy Information Mentoring Service)

  • 노영희;곽승진;강정아;정은지;심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83-11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정책정보멘토링서비스 수요자의 요구를 분석함으로써 정책정보멘토링서비스를 개발함에 있어 염두에 두어야 할 사항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책정보멘토링서비스의 참여대상자가 될 정책관련 관계부처 공무원, 정책연구소 연구원, 정책정보서비스 실무기관 담당자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정보멘토링서비스에 대한 요구는 매우 높게 나타났고, 이 서비스에 대한 참여의사도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책정보멘토링서비스 개발 시 중점을 두고 개발해야 하는 사항은 정책정보제공서비스의 전문성 및 양 질적 향상, 정책정보 정보원 제공 서비스로 나타났고, 정책정보멘토링서비스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서비스에 참여할 기관들과 먼저 협약을 맺고 협력기관이 구성원들의 멘토 및 멘티로 활동을 권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정책정보멘토링서비스가 성공하기 위해서 운영자측에 요구되는 조건은 멘토/멘티 인력 확보, 멘토/멘티에 대한 교육, 전문적인 멘토/멘티 활동을 위한 소속기관의 재정 지원협력 보장, 정책분야와 관련된 기관과의 연계 등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멘토링 기능과 경력 몰입의 관계에 대한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조절 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ing Function and Career Commitment in Registered Nurses)

  • 주인서;배을규;김대영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05-419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ing function and career commitment in registered nurses. Methods: A total of 396 registered nurses from 19 hospitals located in Incheo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and AMOS 18.0 program. Results: The mentoring func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how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commitmen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howe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ing function and career commitment. Conclusion: To enhance the level of career commitment perceived by registered nurses, hospital organizations need to implement effective mentoring programs and develop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nurses.

청년 창업 멘토링이 기업가정신과 초기 기업의 창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심층 인터뷰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Youth Startup Mentoring on Entrepreneurship and Early Startup Business Performances -Centered on In-depth and Focus Group Interviews-)

  • 안혜진;이승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560-575
    • /
    • 2020
  •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창업 멘토링이 (예비) 창업자의 기업가 정신과 초기 기업의 창업 성과에 미치는 실질적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참여자들의 숨겨진 의도를 분석하기 위해 문헌연구법, 심층 인터뷰,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연속적으로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멘토링에 대한 기대가 높았던 참여자일수록 부정적인 평가를 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멘토링을 기대 이하라고 말한 경우도 다수였다. 둘째, 창업 멘토링은 기업가정신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끼쳤으며 그중에서도 창조·혁신 분야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드러난다. 셋째, 창업 멘토링은 창업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기관이 멘토-멘티 사이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필요가 있다. 넷째, 대다수의 참여자가 창업 멘토링에 대해 낮은 만족도를 표하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창업 지원 기관의 의도와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와 향후 창업 멘토링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동료멘토링을 활용한 중등 예비음악교사들의 교사로서의 자기효능감 향상과 동료멘토링 인식에 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Utilizing Peer Mentoring for Teachers' Self-efficacy Improvement and Peer Metoring Perception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 김은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05-318
    • /
    • 2017
  • 본 연구는 중등 예비음악교사들을 대상으로 동료멘토링을 활용하여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의 자기효능감 요인들 즉, 상황경험, 간접경험, 언어적/사회적 설득, 감성적/생리학적 상태의 향상과 동료멘토링 인식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멘토와 멘티로 구성된 팀활동과 멘티의 수업시연 및 동료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교사로서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대한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인터뷰와 성찰저널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로서의 자기효능감 요인들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료멘토링의 인식에 대한 결과 분석에서 멘티의 경우 멘토들의 조언을 통해 상호작용과 소통을 통해 다양한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는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예비음악교사들의 교사로서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해 다양한 교수법을 활용한 교육실습 및 실무경험의 기회가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멘토링 기능, 자아개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ntoring Function, Self-Concep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Major Satisfaction on College Life Adaptation)

  • 윤지원;박미라;제남주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7권2_2호
    • /
    • pp.377-388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basic data to help college students adapt to college life by grasping the effects of mentoring skills, self-concep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major satisfaction on college life adapt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17 to January 27, 2024, targeting college students from one university in C city located in G-do.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entoring function of the subjects averaged 4.11 points (out of 5 points), the self-concept was 4.29 points (out of 5 points),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4.04 points (out of 5 points), the major satisfaction was 4.45 points (out of 5 points), and the college life adaptation was 3.91 points (out of 5 points). The factor that most influenced the subjec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wa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llowed by self-concept, mentoring function, and major-art fiel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70.2%. Specifically,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higher the self-concept, and the higher the mentoring function, the higher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s (non-curricular programs) are needed to adapt to college life for college students, and subsequent studies ne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developed programs.

Does Early Incubating Improve the Performance of Start-ups?: Evidence from TIPS in Korea

  • KOO, JAHYU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40권2호
    • /
    • pp.75-96
    • /
    • 2018
  • Recently, the government has been pursuing various policies to create new industries and jobs through the invigoration of start-ups. For the sustained growth of start-ups, it is necessary to look not only at the supply of risk capital but also at policies for venture capital firms that nurture and foster start-u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effects of the nurturing and fostering role of risk capital, such as mentorship on the performance of start-ups, and to do this we analyzed the effects, as a newly introduced form of venture capital, of mentoring by an accelerator and investor ties on the performance outcomes of start-ups. We find that mentoring and investor ties for start-up enterprises positively influence follow-up investment in start-ups. In addition, this study finds that with a younger CEO of a start-up, it is more likely that the performance of the start-up will improve. Meanwhile, when examining increases in employment as a measure of the business performance of start-ups, mentoring and investor ties a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crease of employment at start-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promote policies that strengthen the mentoring role of venture capital in Korea's equity finance policies and in the government's SME support policies.

기업가적 기민성과 멘토링 및 멘토링 횟수와 기업성과 관계에서 기회인지의 매개효과 영향 (Mediating Effect of Opportunity Recognition Among Entrepreneurial Alertness, Mentoring, & Number of Mentoring on New Ventures' Performance)

  • 박미정;이선호;황보윤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4호
    • /
    • pp.1-24
    • /
    • 2021
  • 최근 정부는 제2 벤처 붐 확산을 위해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지원 규모도 늘리고 있다. 그러나 창업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창업가가 갖추어야 할 기업가정신 교육이나 멘토링이 중요한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정부 지원프로그램에 선정된 기업 중 일부에서는 사업화 자금만을 목적으로 하고 기업가정신 교육이나 멘토링 등의 프로그램 참여를 기피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정부 창업지원사업에 선정된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제공되고 있는 멘토링의 내용과 횟수, 그리고 기업가적 기민성이 기회인지를 매개로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함으로써 기업가적 기민성과 멘토링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본 연구 실증분석에 따르면 첫째, 기업가적 기민성의 하위요인인 연합-연결력을 제외하고는 관찰-탐색력과 평가-판단력은 기회인지를 매개로 기업의 성과(재무, 비재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금조달, 기술지원, 경영지원 멘토링은 기회인지를 매개로 기업의 재무 및 비재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멘토링 횟수 또한 기회인지를 매개로 기업의 재무, 비재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기업가적 기민성 하위요인 중 연합-연결력이 기회인지를 매개로 기업성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볼 때 프로그램 운영자들이 프로그램 설계와 운영시 창업자의 전략적 의사결정 기회를 침해하지 않는 방안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재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 창업지원 사업에서 창업기업에 제공되는 멘토링이 중요하다는 것이 실증적으로 규명된 만큼 각 창업기업의 성과목표에 맞는 맞춤형 멘토링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기여점은 기업가정신에 관한 연구에서 핵심 구성 요소로 다루어지고 있는 기업가적 기민성과 기회 인지, 그리고 실무적 측면에서 창업기업 성과에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는 멘토링과 멘토링 횟수에 대한 요인들을 기업성과 영향 요인으로 이론적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이다. 아울러 멘토링을 지원하는 창업기업 지원 기관들에게 논리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