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tor

검색결과 290건 처리시간 0.03초

산업체 PBL기반 기업애로해결형 현장실습 모형 연구: 경북지역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Industry Problem Based Professional Practice Model: Based on Gyeongbuk K University Case Study)

  • 이석문;조영준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93-100
    • /
    • 2020
  • 현장실습의 양적 성장과 더불어 질적 향상을 위해 단기(4주) 및 중기현장실습(8주)의 비중을 낮추고 장기현장실습(12주이상)을 높이는 노력이 대학 현장에서 증가하는 추세이다. 단기 및 중기현장실습의 전공과 연계된 체계적이고 특화된 현장실습 교육커리큘럼 부재와 대학의 현장실습 참여도가 증가할수록 기업들은 현장실습 참여를 선호하지 않고 학생들은 전공수업 부담으로 장기현장실습 참여를 주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업의 애로문제를 현장실습 참여학생들이 현장실습 기간 동안 직접 해결하되 어려운 난제가 있을 경우 관련분야 전공교수의 도움으로 해결하는 기업애로해결형 현장실습 IPBP를 경북지역 K대 사례를 중심으로 제안한다. 참여기업과 win-win 현장실습 문화 구축을 위해서는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업애로해결형 현장실습 IPBP가 하나의 좋은 모형이라고 판단된다.

STEAM 수업에서의 멘토교사 경험이 예비수학교사들의 STEAM 교수 역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entoring Experience in STEAM Classes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for STEAM Education)

  • 한혜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2권1호
    • /
    • pp.1-2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STEAM 수업에서의 멘토교사 경험이 예비수학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 교수 역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사범대학과 연계된 중학교 자유학기제 수학탐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23명의 예비수학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수행되었다. 예비수학교사들의 STEAM 교수 역량의 변화 및 멘토교사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 STEAM 교수 역량 검사와 수업 일기 및 간담회 자료 분석 결과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STEAM 수업에서의 멘토교사 경험은 예비수학교사들의 STEAM 교육에 대한 지식, 교과내용지식, 교수학습방법, 수업상황 및 환경 역량 함양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특히,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STEAM 수업에서의 현장 경험이 예비수학교사들의 STEAM 교육에 대한 이해 향상과 더불어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는데 실질적으로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사서-사서간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전후 인식변화연구 (A Study on Perception Changes Before and After an LIS Student-Librarian Mentoring Program)

  • 노영희;최원태;홍수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17-147
    • /
    • 2014
  • 멘토링 프로그램의 성과가 입증되고 그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예비사서-사서간 멘토링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개발하고 이를 적용해 봄으로써 활성화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대학의 문헌정보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멘티를 모집하고 멘티가 원하는 멘토를 선정한 후 약 3개월간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한 후, 프로그램 전후 설문을 통해 인식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중 핵심적인 연구결과만을 제시하면, 첫째, 예비사서-사서간 멘토링 프로그램은 멘티들의 현장실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진로 및 비전 설정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멘토링 기간은 6개월 정도, 멘토링 시간은 회당 2-3시간이 적당하다고 하였고 멘토 및 멘티에 대한 정보가 멘토링 전에 제공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셋째, 멘토링의 재참여 의지는 두 집단 모두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경제적 지원, 장소지원, 기획된 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한 충분한 정보제공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대중매체의 자살보도 및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uicide Ideation on Suicide Reports of Mass Media and Social Support in College Students)

  • 한수미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33-142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uicide reports by mass media and social support on suicide ideation for college students. Methods: Participants are 350 undergraduate students in one university. This study uses three questionnaire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Suicide Reports, Social Support, and Suicidal Ideation. The SPSS/WIN 12.0 program is used to analyze the data. In particular, the participants' biographical data are analyzed into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degrees of suicide reports, social support, and suicide ideation are calculated into Mean and SD. Moreover, the suicide ideation by suicide report and social support are analyzed by the two-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Results: This study reveals that college students have an average of 30 minutes to one hour news time a day (38.9%) and have at least one suicide report in a month (30.3%). 79.7% participants believe that the suicide report of mass media results in the cause of the copycat suicide. In terms of suicide report and suicide ideation, the types of mass media (F (4,340)=2.41, p<.05) and suicidal urge (F (1,340)=31.23, p<.01), respectively,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suicide ideation. On the other hand, the social support and suicide ideation, whether college students have their mentors (F (1,328)=13.26, p<.001) and/or careres (F (1,328)=26.84, p<.001)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suicide ideation. Conclusion: College students have higher suicide ideation at news by internet site rather than by radio, TV, and so on. Moreover, college students who have a suicide feeling in the last one year, have more suicide ideation than who have not. On the other hand, college students who have a mentor and carer tend to have less suicide ideation.

  • PDF

초임 특수경비원의 직업사회화 과정 분석 (The Process of Occupational Socialization of Special Guard Firstly Appointed)

  • 박옥철;김태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316-327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초임 특수경비원들이 직업사회화 과정에서 산출하는 다양한 경험요소를 규명하여 예비 특수경비원 및 경호경비 교육서비스 전략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초임 특수경비원 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문화 기술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임 특수경비원의 직업사회화 과정은 태동기, 준비기, 적응기, 갈등 및 성숙기로 구분하였으며, 첫째, 태동기는 가정환경, 운동경험, 대학진학 결정이다. 둘째, 준비기는 학과의 비전, 대학 교육과정, 직업준비를 위한 자격증, 멘토이다. 셋째, 적응기는 업무의 특수성, 업무의 전문성, 직업 만족이다. 넷째, 갈등 및 성숙기는 업무 스트레스, 이직, 회사 내 갈등, 자기발전 노력, 직업의 장래성이다. 따라서 특수경비원의 업무향상을 위한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추후 연구를 위한 교육적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골밀도 평가방법과 임플란트 안정성 변화의 관찰 (Observation of the change of the dental implant stability and bone density evaluation methods)

  • 고석민;박성재;김인수;송승일;이인경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9권2호
    • /
    • pp.185-192
    • /
    • 2009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of the subjective and the objective evaluation of edentulous ridge bone quality, and to evaluate the change of the dental implant stability in each bone density group for early healing period after implant installation. Methods: Sixty-seven implants(Osstem implant$^{(R)}$, Seoul, Korea)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bone density by 2 methods. The one was the subjective method which was determined by practitioner s tactile sense, the other was the objective bone type was based on Hounsfield units. The implant stability in each bone type group was assessed by resonance frequency analyzer(Osstell mentor$^{(R)}$). Data were analyzed for the change of the implant stability, and they were compared to verify the difference of groups at the time of installation, 2, 6, 10, 14 weeks postoperatively. Spearman's correlation was used to demonstr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jective and the objective evaluation of the bone density, and analysis of variance(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implant stability at each time point. Results: There was no close relation between the subjective and the objective evaluation of the bone density(r=0.57). In the subjective group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ype 1 and 3 at 10 weeks and between the type 2 and 3 at 14 weeks. In the objective group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 1, 2, 3, 4, and 5 group with regard to RFA from baseline to 14 weeks(P>0.1). Conclusions: The implant stability increased over time during the study, and it was improved with bone density proportionally after 2weeks postoperatively. It is recommended that the decision of bone density is base on Hounsfield unit for implant loading time.

수치해석을 이용한 초음속 연소기 내의 2차원 Cavity의 종횡비 변화에 대한 혼합특성 비교연구 (The Numerical Analysis by the Change on the Length-Height Ratio of 2D Cavity in Supersonic Combustor)

  • 서형석;김기수;전영진;변영환;이재우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7년도 제2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81-86
    • /
    • 2007
  • 스크램제트의 연소실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속도는 초음속으로 체류 시간은 수 ms로 매우 짧다. 이 짧은 시간 안에 연료분사, 공기-연료 혼합, 연소과정이 모두 이루어져야 한다. 공기와 연료의 혼합을 증대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제시되었다. 이중 자유류 마하수 2.5의 단일분사 방법에서의 cavity를 이용한 혼합증대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사용된 코드는 동일조건의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검증하였고 이를 통해 Cavity에 의한 혼합증대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창업 지원 프로그램의 운영방식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Operation Method of Start-up Academy on the Establishment Performance)

  • 이법기;심성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69-7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사관학교의 운영사례와 성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찾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창업사관학교 운영 과정에 산출된 데이터를 이용한 통계적 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성별과 나이에 따른 단기성과의 차이가 있다. 두 번째, 입소자 선정평가는 단기성과와의 상관관계가 없고, 오히려 세부 서류평가 부분은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세 번째, 멘토에 따라 단기성과의 차이가 없다. 전략적 활용 방안은 창업사관학교에 대한 평가에서 창업자의 단기성과에 대한 반영을 축소해야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입소자 선정 평가방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라는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통계분석을 통한 실증연구가 되기에 부적절하다는 점으로 정책 시사점의 근거도 취약성을 내포하고 있다. 그리고 통계분석으로는 케이스 수가 충분하지 못한 점이다. 따라서 향후 여러 대학의 사례를 포함시켜 케이스 수를 늘인 실증연구를 진행코자한다.

청소년의 운동과 식습관 향상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of a Mentoring Program to Improve Exercise and Dietary Habits of Adolescents)

  • 신윤희;안수현;안주림;양고운;오숙경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703-714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mentoring program to improve the exercise and dietary habits of adolescent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a mentoring program for improvement of exercise and dietary habits of adolescents, in which the mentors were nursing students and the mentees were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weekly exercise frequency, weekly exercise time, perception of exercise benefit, frequency of vegetable intake, and dietary habits.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group education, individual approach through the mentor-mentee relationship, and multimedia approaches. Results: At follow-up, the perception of the exercise benefit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intervention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weekly exercise frequency and frequency of vegetable intake in the interven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greater after the intervention than those before the intervention. Conclusion: This mentoring program is potentially of an effectiv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adolescents and will enable nursing students who participate in the program as mentors to gain confidence in their professional capability.

The reliability of Anycheck device related to healing abutment diameter

  • Lee, Dong-Hoon;Shin, Yo-Han;Park, Jin-Hong;Shim, Ji-Suk;Shin, Sang-Wan;Lee, Jeong-Yol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2권2호
    • /
    • pp.83-88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the Anycheck device and the effect of the healing abutment diameter on the Anycheck values (implant stability test, IST).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implants were placed into three artificial bone blocks with 10 Ncm, 15 Ncm, and 35 Ncm insertion torque value (ITV), respectively (n = 10). (1) The implant stability was measured with three different kinds of devices (Periotest M, Osstell ISQ Mentor, and Anycheck). (2) Five different diameters (4.0, 4.5, 4.8, 5.5, and 6.0 mm) of healing abutments of the same height were connected to the implants and the implant stability was measured four times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Anycheck. The measured mean valu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mean implant stability quotient (ISQ) and IST value was 0.981 (P<.01)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meant periotest value (PTV) and IST value was -0.931 (P<.01).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IST values with different healing abutment diameters. CONCLUSION.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Periotest M and Anycheck values and between the ISQ and IST. The diameter of the healing abutment had no effect on the Anycheck val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