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2초

영유아보육이 아동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영유아보육 정책의 실태와 전망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on Children's Mental Health (I) - Status and Prospects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ies of Korea -)

  • 반건호;홍민하;이연정;곽영숙;정유숙;이소영;김봉석;손석한;정운선;양재원;방수영;황준원;오소영;한재현;이종원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4권1호
    • /
    • pp.3-12
    • /
    • 2013
  • Most preschool children in Korea attend kindergarten (KG) or a child care center (CCC). CCCs, which focus on caring for the child, belong to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n the other hand, KGs are responsible for education, and belong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order to resolve the decline in population due to low birthrates, the government is expanding the free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ies. CCCs and KGs are combined together to form the 'NURI curriculum' and supporting funds have been increased in both governmental departments. In addition, economic support is provided for homeschooling households. Because this is a nationwide policy and applies to every single household, thorough preparation regarding the effect and side effects must be made. This policy is currently being implemented, and as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sts, great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influence on the population. Therefore,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intends to investigate the effects and problems of the nationwide policy by analyzing the current condition of Korea's free child care and education and foreign policies. In the current paper, we reviewed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Korea's free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as well as suggested future directions.

남녀 노인의 우울과 소득의 종단적 상호관계 (A Longitudinal Study of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Income among Korean Older Men and Women)

  • 이정;전경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451-463
    • /
    • 2022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d income, and gender differences in these relationships among older adults in South Korea. Methods: Using 2015 to 2019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we studied 6,070 older adults (2,394 men and 3,676 women) aged 60 years over in 2015. The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was employed to explore the effect of an individual income on depression and the reverse causal link-that of depression on income. Results: The study found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income and depression. Incom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depression. Higher-income was linked to decreased risks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CES-D) scores among older adults (B = - 0.121, p < 0.001). Estimates of the reverse causal link show that higher CES-D scores were also linked to income reduction among Korean older adults (B = - 0.007, p < 0.001). In addition, we also observed gender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income on depression but not in the reverse causal link. Income has more detrimental to psychological consequence for older men (B = - 0.108, p < 0.001) than older women (B = - 0.057, p < 0.001). Conclusion: The finding implies that both psychological and social protection policies for the elderly are needed in view of gender perspective.

한국 농촌지역 자살에 대한 심리부검 연구 (An Study of Psychological Autopsy of Suicides in Korean Rural Area)

  • 최명민;김도윤;김가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1호
    • /
    • pp.55-8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자살사망자가 많은 한국사회 중에서도 자살률이 높은 농촌지역 자살사건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경로를 파악하고 이에 기반을 둔 자살예방 대책을 강구하기 위하여 자살원인을 후향적으로 조사하는 심리부검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개인의 심리적 측면 뿐 아니라 사회문화적 요인에 초점을 두며 유가족 지원사업을 병행하도록 기획되었다는 점에서 기존의 심리부검연구들과 차별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유가족이 동의한 25사례를 조사분석한 결과 농촌지역 자살위기자의 전형적 특성을 파악하고 남성노인, 여성노인, 청장년층 귀향자 유형에 따른 사회문화적 영향요인을 규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자살원인과 경로를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농촌지역 자살의 심리사회적 요인 상호작용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장단기별 농촌지역 자살예방 대책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 PDF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 (Personal Factors Affecting the Suicidal Ideation of Elderly)

  • 유용식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31-24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노인자살의 위험요인을 확인하고 자살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제천시에 거주하는 노인종합복지관, 노인교실, 시니어클럽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2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영향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은 심리적 요인에서 스트레스, 우울감, 고독감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트레스, 우울감, 고독감이 높을수록 노인의 자살생각 정도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또한, 노인의 자살생각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요인은 스트레스로 나타났으며, 다음은 고독감, 우울감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제언하면 첫째, 노인 자살예방을 위해 심리적 치료 및 예방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노인의 정신건강 지원제도나 교육 및 서비스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스트레스 대처·완화·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

인지체조-뉴로피드백을 활용한 통합 간호의 효과 (The Effect of Integrated Nursing using Cognicise and Neurofeedback)

  • 원희욱;허계영;김준범;신지은;이원우;손해경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4-122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integrated nursing using cognicise and neurofeedback on cognition and α waves among elderly individuals. Methods: This quasi-experimental single group pretest-posttest study included 29 Korean adults aged 65 years or older who participated at a senior welfare center in Y city from February to May 2019. Each integrated nursing session consisted of cognicise (10 minutes) and neurofeedback (20 minutes). Subjects participated twice a week for 10 weeks. Structured questionnaires to assess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 (K-MMSE-DS) were applied. Alpha waves were measured using BrainMaster. Results: Following the integrated nursing program, alpha waves improved in F3 (t=2.41, p=.023), C3 (t=3.00, p=.006), C4 (t=2.60, p=.015), P3 (t=2.43, p=.022), O1 (t=2.30, p=.029), T3 (t=3.05, p=.005), T4 (t=2.28, p=.030), T5 (t=2.91, p=.007), Fz (t=2.30, p=.029), Cz (t=2.73, p=.011), and Pz (t=2.23, p=.034). Most subjects experienced improvement in concentration after participating in the interventio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for the use of a neuroscientific approach including brain wave measurement to improve cognitive health among community-living elderly people.

노인의 알코올 사용, 우울 및 자존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lcohol Use, Depression, and Self-esteem on Suicidal Ideation of the Aged)

  • 곽윤복;고성희;김현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9호
    • /
    • pp.221-228
    • /
    • 2013
  • 본 연구는 노인의 알코올 사용, 우울과 자존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지역 3개 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재가노인 245명이었다. 연구도구는 한국판 알코올 사용 장애 선별검사(AUDIT-K), 한국판 노인우울척도 단축형(GDSSF-K), 자존감척도(Self-esteem Scale) 및 자살생각척도(Scale for Suicidal Ideation)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s correl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와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우울은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자존감이 낮을수록, 종교가 없는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쁜 경우 자살생각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사회 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자존감을 향상시키며, 종교적 활동을 돕고 건강상태를 증진함으로써 노인의 자살생각을 낮추고 더 나아가 자살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행위중독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정 - 귀인정서이론 적용 - (Process of Social Stigma on Behavioral Addictions -The Attribution Affection Theory applied -)

  • 박근우;서미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3호
    • /
    • pp.241-265
    • /
    • 2017
  • 본 연구는 사회적 낙인이 행위중독의 치료를 방해하는 주요 요인이라는 전제하에 행위중독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정을 검증하여 반낙인 전략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모형은 정신장애에 대한 대중의 정서적, 행동적 반응을 설명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는 귀인정서이론과 수정된 귀인정서이론을 적용하여 구성하였다. 즉, 행위중독의 원인을 성격이나 의지, 생활습관 등 개인적으로 통제 가능한 것으로 귀인할 경우 분노를 매개로 사회적 거리감이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행위중독의 원인을 개인이 통제할 수 없는 생물학적 요인으로 귀인할 경우 동정을 매개로 돕는 행동이 나타나거나(귀인정서이론), 오히려 위험하다는 인식으로 인해 두려움이 증가하여 사회적 거리감이 가중되는(수정된 귀인정서이론) 두 가지 경로가 존재할 수 있다.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경상남도의 성인 383명을 대상으로 도박중독과 인터넷 게임중독의 모의 사례를 무작위로 제시하고 사례가 보이는 문제의 원인, 그들에 대한 정서적, 행동적 반응을 질문하였다. 그 결과 모든 경로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예측력을 가졌다. 따라서 개인적 원인으로 귀인할 경우 분노를 매개로 사회적 거리감이 증가하였다. 생물학적 원인으로 귀인할 경우 두 경로 모두 의미 있는 예측력을 가졌으나 동정을 매개로 돕는 행동을 예측하는 경로의 간접효과가 더 컸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연구자들은 행위중독이 치료가 필요한 정신건강의 문제임을 강조하는 반낙인 전략을 제안하였다.

  • PDF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우울·불안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 과의존을 통한 자존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Depression and Anxiety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through Internet Overdependence)

  • 김지연;김현하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8권2호
    • /
    • pp.269-290
    • /
    • 2021
  • 본 연구는 중학생들이 경험하는 학업스트레스와 우울·불안의 관계를 인터넷 과의존이 매개하여 중학생의 우울·불안을 자존감이 조절하는지에 대한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업스트레스 척도, 인터넷 과의존 척도, 우울·불안 척도, 자존감 척도를 이용하여 2019년 공개된 13차년도 한국복지패널 아동데이터 383명 자료(중학교 1학년 114명, 2학년 138명, 3학년 131명)에 대해 SPSS 21.0과 SPSS PROCESS Macro 모델14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스트레스가 우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터넷 과의존의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인터넷 과의존과 우울·불안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학업스트레스가 우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인터넷 과의존이 이를 매개하며, 인터넷 과의존과 우울·불안의 관계를 자존감이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중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가 증가하면 인터넷에 과의존을 하게 되며, 우울·불안이 증가하여 정신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해 자존감이 보호요인으로 중요함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시사점,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에 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음악 기반 슬링운동 프로그램이 치매환자의 인지, 보행 및 기능적 운동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usic-based Sling Exercise Program on Cognition, Walking, and Functional Mobility in Elderly with Dementia: Single-blin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박현주;강태우;오덕원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43-152
    • /
    • 2019
  • PURPOSE: This examined the effects of a sling exercise based on music on the cognition, physical performance of patients with dementia. METHODS: Thirty subjects with dementia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allocated randomly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or control group, with 15 subjects in each group. All subjects underwent the exercise program for an average of 60 minutes per day for 16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sling exercise based on music, and the control group performed the general exercise program. Assessments were made using the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10 m walk test (10MWT), Tinetti mobility test (TMT), and Katz's Index of Independence in activity daily living (KIIADL) to detect changes in the cognitive level and physical performance before and after the 16-week training period. A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within-group chang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 independent t-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between-group differenc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α=.05 for all variable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within-group changes in the MMSE-K, 10MWT, TMT, and KIIADL (p<.05). The control group showed a significant change in only the KIIADL (p<.05).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garding the change in MMSE-K and KIIADL after the interventions (p<.05). CONCLUSION: A music-based sling exercise program effectively improves cognition, physical performance, and ADL in patients with dementia. Further studies with a wider range of subjects and scientific equipment will be needed to strengthen the results of this study.

일 도시 감정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증의 연관성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Depressive Disorder Among Emotional Laborers in a City)

  • 장준호;이유정;이상준;양종철;박태원;박종일;정상근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4-31
    • /
    • 2020
  • Objective :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depressive disorder among emotional laborers in a city. Methods : A total of 677 emotional laborers living in Jeonju-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completed survey questions regar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job stress (using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24, KOSS-24), and depression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association between job stress and depression. Results : Our results indicated that 34.9% of the participants had a high risk of total job stress and 21.7% of participants had depression. In th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emale sex (OR=1.66, 95% CI=1.01-2.72) and total job stress (OR=3.84, 95% CI=2.57-5.75)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after adjusting for confounding factors. Among the subscales of job stress, job demand (OR=3.06, 95% CI=1.99-4.72) and occupational climate (OR=1.88, 95% CI=1.19-2.97)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But insufficient job control, interpersonal conflict, job insecurity, the organizational system and lack of rewards were not. Conclusion : Among the emotional laborers, job stress, particularly job demand and occupational climate, were major contributing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Early screening and preventive strategies focusing on job stress could reduce the impact of depression in emotional labor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