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32초

임상간호사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Affecting Factors on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the Clinical Nurses)

  • 김주현;이은희;현혜진;길정희;김진순;박양숙;박진숙;이호연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1권2호
    • /
    • pp.143-148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ffecting factors on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the clinical nurses. Methods: This study was a trans-sectional survey research.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6 clinical nurses.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and medical record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perceived health status, job satisfaction, familial support.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depression. The significant affecting factors on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the clinical nurses were depression, famil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These 3 factors explain 18.6% of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the clinical nurses.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the empirical evidence that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the clinical nurses are closely related to depression, famil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This results can be used to develop health promoting program for clinical staff nurses.

  • PDF

일개 광역시 도시 여성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이에 미치는 요인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Its Related Factors in Urban Elderly Women)

  • 나윤주;최연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7224-7230
    • /
    • 2014
  • 본 연구는 일개 광역시 도시 여성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요인들 간의 직간접적인 관계를 파악하여 도시 여성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안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행되었다. 2011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자료 중 대구지역 7개구 65세 이상 여성노인 704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건강증진행위, 사회적 지지, 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을 변수로 포함하였으며 건강관련 삶의 질은 EQ-5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건강관련 삶의 질 점수는 $0.81({\pm}0.20)$로 나타났으며 영역별 문제는 통증/불편감(62.5%), 운동 능력(53.9%) 일상활동(38.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건강관련 삶의 질은 연령, 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사회적 지지, 건강증진행위, 소득수준에 의해 직접효과가 있었으며 이들 변수에 의하여 삶의 질을 28% 설명하였다. 건강증진행위, 사회적 지지, 소득수준, 연령은 건강관련 삶의 질에 직접효과 뿐 아니라 간접효과도 나타났다. 따라서 도시 여성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건강관련 삶의 질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고 건강증진행위를 증가시키는 포괄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는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국내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건강결정요인: 통합적 문헌고찰(2018~2020)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South Korea: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2018~2020))

  • 김유림;이현경;이혜연;이미경;김수경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30-444
    • /
    • 2021
  • Purpose: This study is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to analyze health problems and social determinant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South Korea. Methods: An integrative review was conducted according to Whittemore & Knafl's guideline. An electronic search that included publications from 2018 to 2020 in the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CINAHL, RISS, and KISS databases was conducted. Of a total of 67 records that were identified, 13 finally met full inclusion criteria. Text network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identify keywords network trends using NetMiner program. Results: The health problem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classified into mental health (depression, anxiety, suicide and acculturative stress) and health risk behaviors (smoking, risky drinking, smartphone dependence and sexual behavior). As social determinants affecting the health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biological factors such as gender, age, and visible minority, and the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acculturative stress, self-esteem, family support, and ego-resiliency were identified. The sociocultural factors were identified as family economic status, residential area, parental education level, and parents' country of birth. As a result of text network analysis, a total of 41 words were identified.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mental health and health risk behaviors should be considered as interventions for health promo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Our findings suggest that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broaden the scope of health determinants to account for the effect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health care system.

신체활동 및 운동 중재 프로그램에 의한 건강상태의 변화 (The Change of Health Status through the Intervention of Community Health Center bas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Program)

  • 김은영;이태용;이무식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9권1호
    • /
    • pp.77-89
    • /
    • 2004
  • 운동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일개 군의 주민 중 운동중재 프로그램에 참여한 134명을 대상으로 2003년도 4월부터 8월까지 4개월 간의 중재기간을 거쳐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운동 중재 프로그램은 신체 활동 및 운동에 대한 홍보책자, 소책자, 리플랫 등의 인쇄물이며, 중제기간동안 보건소직원이 우편과 방문을 통해 대상자에게 전달하였다. 신체활동 및 운동 중재 프로그램으로 인한 효과평가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운동중재 프로그램의 실시전과 후의 운동 실천율과 운동빈도, 운동시간, 운동상태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SF 36을 이용하여 건강상태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운동 중재 프로그램 실시전 운동 실천율이 35.1%에 불과하였으나, 49.3%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1주일에 3회이상, 1회 30분이상의 운동권고안을 이행한 비율은 중재 프로그램 실시전후로 12.0%에서 33.9%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운동참여횟수와 운동시간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지난 1주간의 운동참여 횟수에서는 0.9회이었던 것이 2.1회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3. SF-36을 이용한 건강상태 변화에 있어서는 일반적 건강영역에서 중재 프로그램 실시 전후 점수의 증기기 발견되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활력과 정신건강영역에서는 오히려 점수의 하락이 있었으나, 그 외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으나 긍정적인 방향으로의 점수변화가 있었다. 4. 운동 중재 프로그램 실시 전후의 운동상태 변화에 따라 비운동군, 운동시작군, 운동지속군, 운동포기군으로 나눈 후 이들 집단에 따른 점수변화를 살펴본 결과 모든 집단에서 신체적 기능상태 영역의 평균 점수가 증가하였고 특히 운동 시작군에서는 중재프로그램 실시전 평균 점수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5).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단기간임에도 불구하고 인쇄물을 이용한 운동 중재프로그램이 지역주민의 운동실천율 증가와 운동빈도 및 운동시간의 향상에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건강상태의 변화에서는 혼재된 결과를 보임으로써 운동 중재 프로그램이 건강에 영향을 주었는지 명확한 결론을 도출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지역주민의 운동 실천율 향상과 이로 인한 건강상의 효과를 위해 효과적인 전략 및 정책의 수립이 필요하다 하겠으며, 이를 위해 개인의 특성과 운동상태 등을 고려한 개별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함이 필요하다 하겠다.

  • PDF

요가프로그램이 농촌지역 여성노인의 체력, 우울,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Yoga on Physical fitnes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Women in Rural area)

  • 허정분;박남희;김윤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099-2106
    • /
    • 2010
  • 본 연구는 요가 프로그램이 농촌지역 여성노인의 체력, 우울,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비동 등성 대조군 전후설계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경상남도 H군 농촌지역 여성노인 총 40명으로 실험군, 대조군 각각 20명이며, 실험군에게는 주 3회 12주간의 요가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요가를 실시한 실험군은 체력에서 평형력과 유연성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하였으며, 근력과 지구력에서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우울수준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삶의 질에서는 신체적 영역 점수가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정신적 삶의 질 영역에서는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에 요가프로그램은 농촌지역 여성노인의 평형력과 유연성을 증가시키고 우울을 감소시키며 신체적 삶의 질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효과적인 간호중재임을 확인하였다.

경도인지장애 재활프로그램으로의 가드닝 프로그램 (Gardening Program As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 홍광표;진혜영;이혁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59-67
    • /
    • 2022
  • 본 연구는 고령자의 적극적인 활동을 유도하고 치유적 기능 및 사회적 활동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가드닝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 실시 전후의 결과를 관찰함으로써 가드닝 프로그램에 의한 효과를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노인요양시설 2곳에서 노인20명을 대상으로 30회의 가드닝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우울에 대한 척도는 실습위주의 프로그램으로 개선효과가 나타났으며, 가드닝 프로그램에 의하여 노인들에게 활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가드닝 프로그램에 의해 삶의질이 높아진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뇌의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정상 신생아 어머니와 고위험 신생아 어머니의 신생아에 대한 지각 및 교육요구도 비교 (The Educational Needs and Perception of the Mothers of High Risk Infant and Normal Neonate)

  • 이미자;서현선;홍유희;김소연;유은주;박송자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9권1호
    • /
    • pp.18-2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ducational needs and perception of mothers of normal neonates and high risk infants. This research was designed as a descriptive study. Data were collected for two months from April 2002 to March 2002. Subjects were 41 mothers of high risk infants and 60 mothers of normal neonates in one general hospital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Measurement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educational needs scale developed by Cho Kyoul Ja et al and the neonatal perceptive inventories scale developed by Broussard. They ask mothers to rate each item on a four point Likert type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8.0 program. The variables were listed as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X2 test, t-test,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mothers of primi pregnancy was higher than the mothers of multi pregnancy. The educational needs on management of diseases such as prevention of infection, symptoms of disease, mental development, attachment promotion, congenital metabolism test, management of convulsion, care of vomiting and fever were higher than general care of infants such as immunization, measurement of temperature, hiccough care, follow up care. The informations must be included in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o reduce the mothers' stress level. In conclusion, in order to promote positive mother infant relationship, nurse need to give information and educate the mothers of high risk infant and normal neonate.

  • PDF

일부 공공보건기관 방문보건요원의 교육요구도 조사 (Education Need of the Visit ing Health Service Workers in Gwangju and Jeollanam-do Public Health Facilities)

  • 김영락;김신월;정은경;최진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7권1호
    • /
    • pp.51-64
    • /
    • 2002
  • 전라남도의 무작위 추출된 10개 시 군과 광주광역시 5개 구의 방문보건사업 담당직원 200명 중 우편설문조사에 응답한 14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방문보건 사업과 관련된 교육훈련경험 여부와 만족도, 응답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한 방문보건서비스 관리 지식 정도 그리고 향후 방문보건사업에 필요한 교육훈련에 대한 요구도에 대해 조사하여 향후 방문보건요원의 교육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 중 3년 동안 한가지 이상의 중앙교육 훈련 경험자는 43명(29.9%), 광역자치단체의 교육훈련 경험자는 57명(39.6%),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의 교육훈련 경험자는 53명(36.8%) 등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점수화 한 결과 중앙 교육($2.38{\pm}0.57$)이 광역자치단체 교육($2.18{\pm}0.57$)과 기초자치단체 교육($2.13{\pm}0.54$)보다 높았다. 2. 조사대상자의 방문보건서비스 관리 지식 정도는 환자 및 질병관리 영역 중 투약 및 검사, 상처 및 욕창 관리, 환자 개인위생, 고혈압환자 관리, 당뇨환자 관리, 관절염환자 관리 그리고 전염성질환자 관리, 고위험 가족 및 가정환경 관리 영역 중 환경위생 관리, 안전 및 사고 관리 그리고 감염관리, 건강증진관리 영역이 5점 만점에 평균 3점 이상이었으며, 재활 및 요양 영역은 전반적으로 평균 3점 이하의 점수를 보였다. 3. 조사대상자의 방문보건서비스 관리 지식 정도는 간호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는 경우 높았으며, 중앙 교육 중 노인보건, 재활 등 실무영역과 정신보건전문간호사, 광역자치단체 교육 중 보건진료원보수교육, 정신 보건교육, 그리고 기초자치단체 교육의 건강증진영역, 노인보건, 재활 등 실무영역, 정신보건영역과 급성질환 관리영역에 대한 교육훈련 경험이 있는 경우 높았다. 4. 조사대상자의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도는 노인건강 관리과정이 가장 높았고, 최근 업무가 새롭게 추진되고 있는 노인보건, 호스피스, 치매노인관리, 재활, 건강증진 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방문보건사업 업무별로는 방문보건사업전반이 가장 높았고 방문보건사업에서 실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야가 교육의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방법으로는 공무원 집단교육(47.0%)을, 교육전담 주체는 광역자치단체 (30.4%)를, 교육방식은 실습(57.7%)을, 교육횟수는 년 2-3회(44.5%)를, 교육기간은 3-5일(41.0%)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지역사회 주민에게 효과적인 방문보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방문보건사업에 대한 지식 정도를 높일 수 있는 교육훈련의 기회를 확대하고 방문보건요원의 교육요구도에 근거하여 교육훈련을 개선해야 할 것이다.

  • PDF

Prisoners' Perception of Tobacco Use and Cessation in Chhatisgarh, India - The Truth from Behind the Bars

  • Tiwari, Ram Vinod;Megalamanegowdru, Jayachandra;Parakh, Abhinav;Gupta, Anjali;Gowdruviswanathan, Shailarani;Nagarajshetty, Praveen Malavall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호
    • /
    • pp.413-417
    • /
    • 2014
  • Background: Prisoners represent a population group that is disadvantaged, socially deprived and underprivileged, needing particular attention with regard to provision of necessary oral health care, health promotion and motivation and tobacco cessation. Considering the situation in prisons, smoking and tobacco chewing are burning issues related to health deterioration and economic loss that seem to be overlooked by the public health sectors. Aim: To assess prisoners' perception of tobacco use and cessation in Chhatisgarh, India. Materials and Methods: A pre-tested, close ended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in the form of extensive face to face interviews, to assess perceptions regarding tobacco use and cessation in the central jail of Durg District of Chhattisgarh state, India. Results: Prevalence of tobacco usage amongst the prisoners was found to be 61%. Some 27% reported smoking, 44% used tobacco in the chewable form and 29% indulged in consuming tobacco in both forms i.e. smoked as well as chewed. Results suggest several recommendations for policy relevance such as provision of a prison dentist, a tobacco cessation counseling program and targeted eradication of oral cancer by educating the prisoners. Conclusions: Health is a fundamental human "right of everyone to the enjoyment of the highest attainable standard of physical and mental well-being". This applies to prisoners just as it does to every other human being. The alarming findings in the study suggest the need for dental treatment facilities and tobacco cessation counseling in prisons.

Clinical Dental Hygienists' Experience of the Prevention Based Incremental Oral Health Care: Applying Focus Group Interviews

  • Bae, Soo-Myoung;Lee, Hyo-Jin;Shin, Bo-Mi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7-117
    • /
    • 2020
  • Background: In this study, we tried to comprehensively explore clinical dental hygienist's experience of a prevention-based incremental oral health care program, which was pilot-operated by dental clinics, define prevention-based incremental oral health care as experienced in the field, and identify factors to be considered.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five dental hygienists who participated in an ongoing oral management pilot project in 2016. The interview was conducted by a researcher, and the co-research team attended as progress assistants and recorded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main dictations, and non-verbal characteristics.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underwent thematic analysis to examine the questions of the study as the main ax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65 meaningful statements were extracted by code, integrated into 24 sub-categories, and structured into 11 categories. Finally, four keywords were drawn: characteristics, facilitating factors, conflicting factor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prevention-based incremental oral health care. Regarding prevention-based incremental oral health care in dental clinics, dental hygienists were highly aware of the physical and mental burdens of personalized treatment and education for each individual. They were responsible for the patient and for facilitating changes in the behavior of the client, leading to professional satisfaction. The dental team's cooperation and supportive attitude were found essential to continue oral health care in the dental clinic. Conclusion: Through dental team-based treatment philosophy sharing and collabor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prevention-based incremental oral health care in dental clinics. In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for establishing a sustainable preventative management system for public health pro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