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opausal Depression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17초

주간근무 및 교대근무 여성근로자의 여성건강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Women's Health of Female Workers on Daywork and Shiftwork)

  • 이진숙;홍경주;권려원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46-53
    • /
    • 2021
  • 본 연구는 주간근무 및 교대근무 여성 근로자의 일반적 요인 및 여성건강관련 요인들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제7기 2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기초로 하였으며 설문 조사에 참여한 조사자는 모두 10,430명이었다. 그 중 1,995명 근로자의 건강관련 변수와 건강관련 삶의 질 차이를 분석하였다. 여성 근로자의 연령, 결혼여부, 교육수준, 종사상지위, 출산경험은 주간근무 근로자와 교대근무 근로자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반면 소득이나 주관적 건강인식, 스트레스 인지, 우울경험, 초경연령, 폐경연령, 수유기간과 건강관련 삶의 질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교대근무는 산업의 발전과 탄력 근로제를 위하여 불가피하게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교대근무로 인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근로자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적, 국가적인 관심과 대책이 요구된다.

교감단이 우울행동과 면역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Gyogam-dan on Depression and Immunity on Repeated Stress in Ovariectomized Rats)

  • 정현철;김송백;서윤정;조한백;최창민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8-32
    • /
    • 2013
  • 목 적: 본 연구에서는 부인과의 흔한 질환인 갱년기 우울증의 모델로 반복적인 스트레스를 가한 난소적출 흰쥐를 설정하고 교감단이 쥐의 항우울 행동과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표보고자 하였다. 방 법: 난소적출 흰쥐에 2주간 반복적인 스트레스를 주고, 교감단(100 mg/kg, 400 mg/kg)을 경구 투여한 후 행동검사로 Elevated plus maze, Forced swimming test를 실시하였고, 혈액검사로 혈청 corticosterone, IL-$1{\beta}$와 IL-4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뇌내의 IL-$1{\beta}$와 IL-4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 과: 1. Elevated plus maze에서 교감단 100 mg/kg 투여군은 open arms에서의 보낸시간이 대조군에 비해서 차이가 없었으며, 교감단 400 mg/kg 투여군은 open arms에서 보낸 시간이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되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2. Elevated plus maze에서 교감단 100 mg/kg 투여군은 crossing 횟수가 대조군에 비하여 차이가 없었으며, 교감단 400 mg/kg 투여군은 crossing 횟수가 대조군에 비하여 늘어났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3. Forced swimming test에서 교감단 100 mg/kg, 400 mg/kg 투여군은 각각 대조군에 비해서 immobility 시간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0.01). 4. Corticosterone 측정에서 교감단 400 mg/kg을 투여한 후 Corticosterone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5. 혈청내 IL-$1{\beta}$와 IL-4 측정에서 교감단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감소나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 6. 뇌내 IL-$1{\beta}$와 IL-4 측정에서 교감단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감소나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이상의 결과를 보면 교감단은 난소적출 흰쥐의 우울행동의 완화에 유의성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불안 행동검사에서는 유효한 효과가 없었다. 혈청 corticosterone 측정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어 항우울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면역기능에 작용하는 유의성 있는 결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사물탕가향부자(四物湯加香附子)가 난소적출 흰쥐의 우울 및 학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amul-tanggahyangbuja on Depression and Learning on Repeated Stress in Ovariectomized Rats)

  • 이순이;김송백;서윤정;최창민;조한백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17
    • /
    • 2013
  • 목 적: 본 연구에서는 부인과에서 빈용되고 있는 사물탕에 향부자를 가미한 처방을 사용하여 반복적인 스트레스를 가한 난소적출 흰쥐에 대하여 항우울 효과와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난소적출 흰쥐에 2주간 반복적인 스트레스를 주고, 사물탕가향부자(100 mg/kg, 400 mg/kg)을 경구 투여한 후 행동검사로 Morris water maze test, Forced swimming test, Sucrose intake 측정과 Social exploration 관찰을 시행하였으며 혈액검사로 혈청 Corticosterone, IL-$1{\beta}$와 TNF-${\alpha}$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 과: 1. Morris water maze test에서 사물탕가향부자 400 mg 투여군은 실험 3, 4일째 에 사물탕가향부자 100 mg 투여군은 실험 4일째에 acquisition trial 수행의 시간이 대조군에 비해서 단축되는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2. Forced swimming test에서 사물탕가향부자 400 mg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immobility 시간이 유의하게 줄어들었다. 3. Sucrose intake test에서 사물탕가향부자 400 mg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현저히 자당 섭취량이 증가하였고, social exploration 관찰에서 사물탕가향부자 400 mg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현저히 active social behavior가 증가하였다. 4. Corticosterone 측정에서 사물탕가향부자를 투여한 후 corticosterone 수준이 감소하는 변화가 있었지만 유효하지는 않았다. 5. 사물탕가향부자 투여군(100 mg, 400 mg)에서 IL-$1{\beta}$와 TNF-${\alpha}$의 양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결 론: 이상의 결과로 사물탕가향부자는 난소적출 흰쥐의 우울 및 인지력 저하에 유효함을 알 수 있었다.

만성 스트레스 모델에서 사물탕가향부자의 항우울 효과 (The Anti-depressive Effect of Samul-tanggahyangbuja on Chronic Mild Stress in Ovariectomized Rats)

  • 정지혜;최창민;서윤정;조한백;김송백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0-47
    • /
    • 2013
  • 목 적: 본 연구는 만성 스트레스로 인한 갱년기 우울증 모델에서 사물탕가향부자(SGH)의 항우울 효과를 검증하여 실험적 유의성을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난소적출 흰쥐에 4주간 만성 스트레스를 가하고 SGH(100 and 400 mg/kg/day)를 투여한 후 행동검사인 sucrose intake test(SIT), elevated plus maze(EPM), forced swimming test(FST) 및 Morris water maze test(MWMT) 등을 통한 우울행동 변화와 혈청 corticosterone(CORT), IL-$1{\beta}$ 및 IL-4 등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또한 뇌 내 hippocampus와 hypothalamus에서 5-HT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 과: 1. SIT에서 SGH 400 mg/kg/day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자당 섭취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2. EPM에서 SGH 400 mg/kg/day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open arms에 머무는 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1), open arms와 closed arms를 교차하는 횟수도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3. FST에서 SGH 100 mg/kg/day, 400 mg/kg/day 투여군 모두 대조군에 비해서 immobility시간이 유의하게 줄어들었다(SGH 100 p<0.05, SGH 400 p<0.01). 4. MWMT에서 SGH 100 mg/kg/day, 400 mg/kg/day 투여군은 모두 대조군에 비해서 실험 4일째에서 acquisition trials 수행 시간이 유의하게 단축되었고(p<0.05), SGH 400 mg/kg/day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retention trials 수행 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5. CORT와 IL-4 측정에서 대조군과 SGH 투여군 모두 유의한 변화가 없었고, IL-$1{\beta}$ 측정에서 대조군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 SGH 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6. Hippocampus에서의 5-HT 측정에서 SGH 400 mg/kg/day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Hypothalamus에서의 5-HT수준은 SGH 투여군 모두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SGH 100 p<0.05, SGH 400 p<0.01). 결 론: 이상의 결과로 SGH는 만성 스트레스를 가한 난소적출 흰쥐에서 항우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HPA axis, immune system 보다 5-HT system에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 측정 도구 개발: 융복합적 접근 (The Development of Healthy Aging Scale for Middle aged Women: Convergent Approach)

  • 정혜윤;성경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5호
    • /
    • pp.361-37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여성의 노화 도구를 개발하는 것으로 연구대상자는 대도시 중년여성 385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고, 개발과정은 예비문항 개발, 내용 타당도와 신뢰성 검증, 최종 문항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와 타탕도를 검증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본 도구는 9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고, '자기성취감', '신체변화적응', '심리변화적응', '대인관계', '갱년기증상적응', '경제적 안정', '신체건강유지', '사회적 지지', '사회변화적응'으로 명명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도구는 전체 설명변량이 64.03%로 충분하였으며, 전체 신뢰도도 Cronbach' ${\alpha}$값 .90으로 높았고, 우울과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부적 상관관계(r=-.69,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동시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본 도구는 높은 타당성과 신뢰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어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유용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도구는 반복 연구를 통해 추후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를 지지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일부지역 여성건강간호센터 설립 및 여성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조사 (A Study on Women's Health Status for Setting up Women's Health Nursing Center and Developing Health Program)

  • 이은희;최상순;소애영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46-165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dentify the performance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s and health perception over 18 years old women living Wonju city so that the results will be based for setting up women's health nursing center. The subjects were 1080 women selected by stratified and purposive sampling.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 reporting questionnaire and interview from May to June, 1998.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range of age was 18-84 years, The proportion according to women's lifecycle was premarital group 20.0%, delivery and rearing group 49.9%, over middle aged-elderly group 29.8%. 2. The mean menarchial age was 15.2 and menopausal age was 48. Mean frequenices of pregnancy is 2.4 and artificical abortion rate is 36.4%. Primary cause of abortion was unwanted babies 42.8%. The practice rate of family planning was 79.4% and permanent sterilization rate was 37.6%. 3. Fatigue was predominated problem in target population. Depression and headache was predominated in premarital group, headache and nervous felling in delivery and rearing group, arthritis and loss of memory in over middle aged-elderly group. 4. Only 13.7% of the target population make some efforts for their health in compare to 85.9% have attention for their health. Perception of unhealthy rate was 9.1% in premarital group, 24.8% in delivery and rearing group, 30.1% in middle aged-elderly group. 5. The average score of the HPLP(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was 2.41. The variable with the highest degree of performance was interpersonal relationship, whereas the one with the lowest degree was the professional health maintenance.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HPLP according to age, residential area, marital status, educational level, income level. 6. Majority(95.1%) of the target population agreed on necessity for women's health nursing center. Proper location area was presented to women's center and public health center. The priority for health education program was proper diet, family health, stress management, and exercise. In conclusion, we should prepare the education program for women's health according to women's lifecycle, because health perception, HPLP, and education program needed was differentiated in women's lifecycle. Also we suggest that women's health nursing center based community was needed for proper management of women's health.

  • PDF

갱년기장애 및 폐경기증후군 변증진단 도구의 진단결과 도출을 위한 변증별 절단점 연구 (A Clinical Study on the Pattern-Specific Cut-Point for the Pattern Identification Diagnostic Tool for Climacteric and Postmenopausal Syndrome)

  • 이인선;김종원;전수형;지규용;강창완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9-49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was a methodological study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to make a diagnosis of a diagnostic tool for climacteric and postmenopausal syndrome pattern identification (CaPSPI).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une 1, 2018 to October 18, 2018 with ${{\bigcirc}{\bigcirc}}$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IRB's approval (2018-3). To make a diagnosis using CaPSPI, we decided the cut-points for the tool. Three professors of ${{\bigcirc}{\bigcirc}}$Korean Medical University conducted pattern identification diagnosis. The result is marked from 0 to 3, 0 is 'No', 1 is 'Slightly Yes', 2 is 'Yes' and 3 is 'Very Yes'. And if two or more professors' diagnoses are the same, we took the diagnoses as a diagnostic criteria. The decision of pattern by three experts converted to 0-1 scores in two ways. In "method 1", if the diagnosis was zero points, the score was 0 (have no such identification), and the rest was 1 (have such identification). In "method 2", if the diagnosis was zero or 1 point, the score was 0, and the rest was 1. After that, intraclass correlation was calculated for experts agreement. And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A response variable was the results of the experts' diagnosis and an explanatory variable was the results of the pattern identification diagnostic tool. Results: The diagnosis of the three experts showed excellent concordance of more than 0.794 and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diagnostic tool. Both 'Method 1' and 'Method 2'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with the diagnosis of 3 experts and the results of the diagnostic tool. The frequency of cumulative pattern identification diagnosis in 'Method 1' and 'Method 2' were found to be 578 occasions and 203 occasions, respectively. The average number of pattern held by participants in 'Method 1' and 'Method 2' were found to be 5.26 and 1.85, respectively. In both "Method 1" and "Method 2," the yield frequency of liver qi depression was the highest, and the frequency of kidney yin deficiency and liver-kidney yin deficiency was relatively high.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thought that, in diagnosis using CaPSPI of menopausal women, 'method 1' could be used for the health diagnosis and prevention, 'method 2' could be used for the pattern diagnosis. On the conclusion, CaPSPI is thought to be available for pattern diagnosis of menopause women.

사물탕가향부자가 항우울행동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amul-tanggahyangbuja on Anti-Depressive Behavior and Immunity)

  • 장윤정;김송백;최창민;서윤정;조한백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4-29
    • /
    • 2013
  • 목 적: 본 연구는 갱년기 우울증 모델에서 사물탕가향부자(SGH)의 항우울 효능 및 면역반응에 대한 실험적 유의성을 확인함으로써 임상적인 응용에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SGH가 반복적인 스트레스를 가한 난소적출 흰쥐에서 항우울행동 효과와 estradiol level 및 anti-inflammatory cytokine인 IL-4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 법: 난소적출 흰쥐에 2주간 반복적인 스트레스를 주고 동시에 SGH(200 and 400 mg/kg/day)를 경구 투여한 후 행동검사인 Elevated Plus Maze(EPM)를 통한 우울행동과 혈청 estradiol, IL-4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또한 뇌 내 Locus coeruleus(LC)와 Paraventricular Nucleus(PVN)에서 IL-4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 과: 1. EPM에서 SGH 400 mg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open arms에 머무는 시간이 현저히 증가하였고, closed arms에 머무는 시간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2. EPM에서 SGH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open arms와 closed arms를 교차하는 횟수가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3. Estradiol 측정에서 SGH를 투여한 후 estradiol 수준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4. IL-4 측정에서 SGH를 투여한 후 혈청 IL-4 수준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5. 뇌에서의 IL-4 면역반응은 대조군에서 감소하였으나, SGH를 투여한 후 LC와 PVN에서 IL-4 수준의 유의성 있는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 론: 이상의 결과로 사물탕가향부자는 난소적출 흰쥐의 항우울행동과 면역조절에 유효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