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lanoma Cell

검색결과 691건 처리시간 0.027초

Graviola (Annona muricata) 잎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효과 (Antioxidant and Skin Whitening Effect of Graviola (Annona muricata) Leaf Extracts)

  • 조은희;김인혜;이재화
    • 공업화학
    • /
    • 제28권2호
    • /
    • pp.198-20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Annona muricata 잎 추출물(graviola leaf extracts, GLE)의 항산화(antioxidant), 항균(antibacterial), 미백(whitening) 및 주름 개선(anti-wrinkle) 효과 등을 조사하였으며, 항산화(antioxidant) 효과에 대한 활성은 전자공여능 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GLE는 농도 의존적으로 전자공여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LE의 항균 활성은 paper disc법으로 측정하여 나타냈으며, 표준물질인 ampicillin과 비교하여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 CCARM3115에서 비교적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GLE에 대한 미백(whitening) 효과 역시 tyrosinase 저해 활성 측정을 통해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GLE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tyrosinase 활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LE 농도에 따른 L-tyrosine을 DOPA로 바꾸는 데 관여하는 hydroxylation 반응과 관련한 mushroom tyrosinase의 저해 활성은 표준물질인 arbutin에 비해 $125{\sim}250{\mu}g/mL$ 농도 범위에서 특히 높게 나타났다. B16-F10 cell에 대한 melanin 생합성 저해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100{\mu}g/mL$에서 76.7%를 나타났다. 주름 생성과 관련하여서는 elastase 저해 활성 측정을 통해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동일한 농도에서 GLE 및 ursolic acid는 10.5, 56.5%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Annona muricata 잎 추출물(Graviola Leaf Extracts, GLE)이 항산화 및 미백 활성에 상당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미백 화장품 성분으로서 과색소침착 치료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갑상선암(甲狀腺癌)의 임상적(臨床的) 관찰(觀察) (Clinical Observation on Thyroid Carcinoma)

  • 박선양;신영태;조보연;김병국;고창순;이문호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33-40
    • /
    • 1978
  • Clinical features of 147 patients with biopsy-proven thyroid carcinomas were investigated from January, 1972 to April, 1978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ith the following results. 1) The incidence of thyroid carcinomas according to their histopathological classification revealed 76.2% of papillary carcinoma, 19.0% of follicular carcinoma, and 3 cases of occult sclerozing carcinoma, 1 case of giant cell carcinoma and 1 case of metastatic melanoma. 2) The ratio of male to femle patients was 1:8.3 and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papillary and follicular carcinomas. 3) The age distribution showed the peak incidence in the fourth decade (29.3%) followed by the fifth and sixth decades. 4) The average duration of illness from the onset of symptoms was about 5 years while it was 4.4 years and 7.6 years in the papillary and follicular carcinomas respectively. 5) The diameter of the thyroid masses was smaller than 5 cm in 53.6% of the patients, from 5 cm to 10 cm in 40.0% and larger than 10 cm in 6.4%. 6) In 36.4% of the patients with thyroid carcinomas the thyroid masses were fixed to adjacent tissues. 7) Metastasis to the regional lymph nodes was noted in 40.0% of the total cases, and in 45.2% and 17.6% of the papillary and follicular carcinomas respectively, while the lung and bone metastases were found in 10.0% and 4.4% in each type respectively. 8) 88.9% of the patients showed cold areas in the thyroid scans using $^{131}I$. 9) Typical psammoma bodies were observed in 21.3% of the cases in the microscopic examination of the pathological specimens. 10) The initial diagnosis of thyroid malignancy could be made before histological confirmation in 64.5% of the patients. 11) The clinical staging slightly modified from Schulz method revealed 43.6% of the patients in stage I, 26.4% in stage II, 20.9% in stags III and 9.1 % in stage IV. 12) The association with Hashimoto's thyroiditis was noted in 4 cases, with nodular goiter in 3 cases, and with follicular adenoma in 1 case.

  • PDF

경부식도암에 대한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for Cervical Esophageal Cancer)

  • 김대현;백희종;이해원;박종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2호
    • /
    • pp.253-259
    • /
    • 2008
  • 배경: 경부식도암은 흉부식도암에 비해 발생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방사선치료나 항암 약물치료의 역할이 흉부식도암에서보다 상대적으로 높다. 따라서 경부식도암에 대한 수술적 치료의 역할이 흉부식도암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다. 저자들은 경부식도암에 대한 수술적 치료의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9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경부식도암(경흉부식도 암 포함 )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 43명의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추적이 가능하였으며, 최종 추적일은 2004년 2월 28일이었다. 결과: 대상 환자의 평균 나이는 60세$(43{\sim}77)$였고, 남녀 비는 40:3이었다. 조직학적으로 편평상피세포암이 42명, 악성 흑색종이 1명이었다. 식도 재건 방법은 gastric pull-up 32명, 유리 공장 이식 7명, colon interposition 4명이었다. 전체 43명 중 31명(72%)의 환자에서 합병증이 발생하였고, 수술 사망자는 7명(16%)이었다. 수술 후 최종 병기는 I 3명, IIa 14 명, IIb 1명, III 19명, IVa 6명이었다. 수술 사망자를 제외한 36 명 중 16명(44%)에서 종양이 재발하였고, 수술 후 3년, 5년 생존율은 29.3% 와 20.9%이었다. 결론: 경부식도암에 대한 수술은 수술 사망률, 합병증 발생률, 재발률이 높고, 장기 생존율이 낮지만, 방사선치료나 항암약물치료 만으로는 연하곤란의 완전한 해소 및 종양의 완치가 어려우므로 수술이 포함되는 다방법 병합치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천연유래물질 펩타이드 유도체의 제조와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탐색 (Preparation of Natural Compounds-tripeptides Derivatives and Their Melanogensis Inhibitory Activity)

  • 신경훈;이재호;류근석;지경엽;박수남;김재일;조인식;김한영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33-240
    • /
    • 2010
  • 신규 미백 소재 개발을 위하여 tyrosinase의 활성을 억제하는 천연물과,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alpha$-MSH)을 저해하는 펩타이드를 결합한 소재를 고체상 합성법으로 제조하였다[1,2]. Tyrosinase 활성 억제 효능이 있는 천연유래물질을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선정하였으며, 이중에서 상업화 된 물질 17종에 대해 Mushroom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여, 그 중 caffeic acid, coumaric acid를 선별하였다. 펩타이드는 $\alpha$-MSH 분비를 억제하며, tyrosinase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melanostatin을 선정하였으며[3-5], PLG-$NH_2$ (Proline-Leucine-Glycine-$NH_2$) 중에서 유도체화 수율의 저하 원인으로 예상되는 Proline (Pro)의 서열을 다른 아미노산으로 변경하면서 선별된 천연물인 coumaric acid와 caffeic acid에 도입하였다. 또한 최종물질의 원가를 고려하여 acid-amide 형태를 acid형태로 전환한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이들 펩타이드 유도체들에 대해서 B16F1 melanoma cell에서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능을 평가하여 유도체화된 물질이 기존의 천연유래물질이나 펩타이드에 비하여 높은 저해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옥수수겨 유래 하이드록시신나믹애씨드 유도체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The Inhibitory Effect of Hydroxycinnamic Acid Derivatives from Corn (Zea may L.) Bran on Melanogenesis)

  • 김미진;임경란;정택규;윤경섭;최상원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43-149
    • /
    • 2009
  • 옥수수겨로부터 분리 정제한 하이드록시신나믹애씨드 유도체(hydroxycinnamic acid derivatives)는 p-coumaric acid, ferulic acid, N,N'-dicoumaroylputrescine (DCP), N-p-coumaroyl-N'-feruloylputrescine (CFP), N,N'-diferuloylputrescine (DFP) 등으로 분석이 되었으며, 옥수수겨추출물은 이들을 각각 함유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천연 미백 소재 개발을 위하여 옥수수겨에서 유래한 화합물인, 하이드록시신나믹애씨드유도체의 멜라닌 생성에 연관된 생리활성을 알아보았다. 하이드록시신나믹애씨드유도체들의 B16-F1 melanoma cells에서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효과는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여 CFP, DFP 50 ${\mu}g/$ mL에서 각각 44.7 ${\pm}$ 6.0 %, 58.5 ${\pm}$ 3.1 %의 저해율을 보였다. 그리고 세포 내 tyrosinase의 활성은 각각 42.5 ${\pm}$ 14.6 %, 9.0 ${\pm}$ 4.4 %의 저해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옥수수겨 유래 하이드록시신나믹애씨드 유도체들은 세포 내 tyrosinase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사료되며, 미백 효능을 갖는 천연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마우스 흑색종 B16F10세포에서 loganin의 티로시나아제 발현 억제를 통한 멜라닌 생성 억제에 대한 기전연구 (Loganin Inhibits α-MSH and IBMX-induced Melanogenesis by Suppressing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in B16F10 Melanoma Cells)

  • 정희진;방은진;김병무;정성호;이길한;정해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200-1207
    • /
    • 2019
  • Loganin은 Corni fructus의 주요 iridoid glycoside이며 항염증, 항당뇨 그리고 뇌신경보호 효과 등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alpha}-MSH$와 IBMX처리된 B16F10세포에서 loganin의 melanogenesis억제효과의 신호전달 경로를 조사하였다. Loganin의 미백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B16F10세포에서 $1{\mu}m$에서 $20{\mu}m$사이의 농도를 처리하여 세포독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 최대 $20{\mu}m$농도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loganin은 ${\alpha}-MSH$와 IBMX처리된 B16F10세포에서 농도-의존적으로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loganin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신호전달 경로를 Western blotting을 실시하여 조사하였다. Western blot결과에 따르면 loganin은 ${\alpha}-MSH$와 IBMX 처리된 B16F10세포에서 증가된 CREB인산화(Ser133)와 MITF 발현 및 tyrosinase의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켰고 ERK의 인산화를 증가시켜 melanin 생성을 억제하였다. 결론적으로 loganin은 ${\alpha}-MSH$와 IBMX에 의해 유도된 과도한 멜라닌 합성을 CREB인산화와 MITF 및 tyrosinase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고 ERK의 활성화를 통해 멜라닌 합성을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loganin은 과색소 침착과 관련된 피부질환의 보호제로서 활용될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종양 용해성 바이러스-암 치료에서의 새 시대 (Oncolytic Viruses - A New Era for Cancer Therapy)

  • 다니엘 가비르;이르빈 니요니지기에;강민재;김군도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824-835
    • /
    • 2019
  • 최근 수십 년 간 종양 용해성 바이러스(Oncolytic viruses; OV)는 암 치료제로서의 잠재성에 의해 광범위하게 연구되어왔다. 종양 용해성 바이러스는 두 가지의 독특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첫째로 암세포만을 특이적으로 감염시키고 사멸시킬 수 있다는 것이고, 두 번째로는 암이 진행되는 초기 단계에 숨어서 인식되지 않는 상태인 종양 관련 항원들을 인식하는 특정한 적응 면역을 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2015년에는 유전자 변형 종양 용해성 바이러스인 Talminogene laherparepvec (T-VEC)이 미국 식약청(FDA)의 승인을 받았으며, 현재는 다양한 종양 용해성 바이러스들이 단일로 사용되거나 기존의 암 치료 방법인 면역 치료법, 방사선 치료법, 화학 치료법과 함께 사용되어 임상 시험에서 활성이 연구되고 있다. 종양 용해성 바이러스 치료법의 효능은 항 종양 면역 활성과 항바이러스 반응의 균형이 어느 정도인가에 의해 조절되기 때문에, 획기적인 성과에도 불구하고 암 치료를 위한 종양 용해성 바이러스의 개발은 전달 방법, 바이러스를 인식하는 신체 내 항체 및 종양의 복잡성, 가변성, 반응성에 따른 항바이러스의 면역 유도와 같은 다양한 장애물을 극복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종양 내에 직접 종양 용해성 바이러스를 투여하는 방법은 눈에 띄는 부작용이 없이 고형 종양을 줄이는 것에 성공하였으나, 아쉽게도 뇌종양 같은 일부 종양에는 사용할 수 없고 전신 투여가 필요한 단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장애물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종양 용해성 바이러스의 효능을 높이기 위한 형질 전환 유전자의 삽입 혹은 면역 조절 물질과 바이러스를 조합하는 등의 다양한 전략들이 개발되고 있다.

적양배추에서 분리한 다당의 면역 및 항전이 활성 (Immunomodulatory and anti-metastatic activities of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red cabbage)

  • 이수정;신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63-271
    • /
    • 2019
  • 적양배추 유래물의 면역 활성 및 항전이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적양배추 유래 열수추출물 RCW 및 조다당 RCP를 분리하였다. RCW는 중성당이 60%의 높은 비율로 검출되었으며, 이중 Glc가 28.2%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RCP는 중성당과 산성당이 각각 40.0% 및 58.9%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성당 분석 결과, Ara(27.5%)와 Gal (17.2%)가 높은 비율로 검출되었다. RCW와 RCP는 정상세포 및 암 세포에 대한 어떠한 독성도 나타나지 않았으며, 오히려 정상세포에서는 약간의 증식능이 확인되었다. 또한 대식세포 자극을 통한 cytokine 분비능을 측정한 결과, RCW는 IL-6, IL-12 및 $TNF-{\alpha}$ 생산능은 어떠한 농도에서도 확인되지 않았으며, $1000{\mu}g/mL$ 고농도에서 NO 생산능이 확인되었다. 반면에 RCP는 $8{\mu}g/mL$의 저농도에서도 IL-6, IL-12, $TNF-{\alpha}$ 및 NO의 생산능이 확인되었다. 높은 cytokine 생산능을 나타낸 RCP의 NK 세포 활성 및 항전이 활성을 측정한 결과, RCP를 $1000{\mu}g/mouse$농도로 정맥투여할 경우, NK 세포를 무처리군 대비 최대 12배 활성화 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47.3%의 항전이 활성이 확인되었다. 적양배추 유래 면역 활성 다당의 구조를 추정하기 위하여 ${\beta}-Glucosyl$ Yariv reagent와의 반응성을 검토한 결과, RCP $1000{\mu}g/mL$에는 약 9.7%의 $arabino-{\beta}-3,6-galactan$이 검출되었다. 본 결과로부터 적양배추에는 $arabino-{\beta}-3,6-galactan$을 일부 함유하는 RG-I 형태의 다당으로 존재하며, 이들에 의해 강력한 면역 증진 활성이 나타나는 것이라 결론지을 수 있었다.

Whitening and inhibiting NF-κB-mediated inflammation properties of the biotransformed green ginseng berry of new cultivar K1, ginsenoside Rg2 enriched, on B16 and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 Xu, Xing Yue;Yi, Eun Seob;Kang, Chang Ho;Liu, Ying;Lee, Yeong-Geun;Choi, Han Sol;Jang, Hyun Bin;Huo, Yue;Baek, Nam-In;Yang, Deok Chun;Kim, Yeon-Ju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5권6호
    • /
    • pp.631-641
    • /
    • 2021
  • Background: Main bioactive constituents and pharmacological functions of ripened red ginseng berry (Panax ginseng Meyer) have been frequently reported. Yet, the research gap targeting the beneficial activities of transformed green ginseng berries has not reported elsewhere. Methods: Ginsenosides of new green berry cultivar K-1 (GK-1) were identified by HPLC-QTOF/MS. Ginsenosides bioconversion in GK-1 by bgp1 enzyme was confirmed with HPLC and TLC. Then, mechanisms of GK-1 and β-glucosidase (bgp1) biotransformed GK-1 (BGK-1) were determined by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 Results: GK-1 possesses highest ginsenosides especially ginsenoside-Re amongst seven ginseng cultivars including (Chunpoong, Huangsuk, Kumpoong, K-1, Honkaejong, Gopoong, and Yunpoong). Ginseng root's biomass is not affected with the harvest of GK-1 at 3 weeks after flowering period. Then, Re is bioconverted into a promising pharmaceutical effect of Rg2 via bgp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ell assays, BGK-1 shows decrease of tyrosinase and melanin content in α-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challenged-murine melanoma B16 cells. BGK-1 which is comparatively more effective than GK-1 extract shows significant suppression of the nuclear factor (NF)-κB activation and inflammatory target genes,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Conclusion: These results reported effective whitening and anti-inflammatory of BGK-1 as compared to GK-1.

Efficient Anti-Tumor Immunotherapy Using Tumor Epitope-Coated Biodegradable Nanoparticles Combined With Polyinosinic-Polycytidylic Acid and an Anti-PD1 Monoclonal Antibody

  • Sang-Hyun Kim;Ji-Hyun Park;Sun-Jae Lee;Hee-Sung Lee;Jae-Kyung Jung;Young-Ran Lee;Hyun-Il Cho;Jeong-Ki Kim;Kyungjae Kim;Chan-Su Park;Chong-Kil Lee
    • IMMUNE NETWORK
    • /
    • 제22권5호
    • /
    • pp.42.1-42.20
    • /
    • 2022
  • Vaccination with tumor peptide epitopes associated with MHC class I molecules is an attractive approach directed at inducing tumor-specific CTLs. However, challenges remain in improving the therapeutic efficacy of peptide epitope vaccines, including the low immunogenicity of peptide epitopes and insufficient stimulation of innate immune components in vivo. To overcome this, we aimed to develop and test an innovative strategy that elicits potent CTL responses against tumor epitopes. The essential feature of this strategy is vaccination using tumor epitope-loaded nanoparticles (NPs) in combination with polyinosinic-polycytidylic acid (poly-IC) and anti-PD1 mAb. Carboxylated NPs were prepared using poly(lactic-co-glycolic acid) and poly(ethylene/maleic anhydride), covalently conjugated with anti-H-2Kb mAbs, and then attached to H-2Kb molecules isolated from the tumor mass (H-2b). Native peptides associated with the H-2Kb molecules of H-2Kb-attached NPs were exchanged with tumor peptide epitopes. Tumor peptide epitope-loaded NPs efficiently induced tumor-specific CTLs when used to immunize tumor-bearing mice as well as normal mice. This activity of the NPs significantly was increased when co-administered with poly-IC. Accordingly, the NPs exerted significant anti-tumor effects in mice implanted with EG7-OVA thymoma or B16-F10 melanoma, and the anti-tumor activity of the NP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applied in combination with poly-IC. The most potent anti-tumor activity was observed when the NPs were co-administered with both poly-IC and anti-PD1 mAb. Immunization with tumor epitope-loaded NPs in combination with poly-IC and anti-PD1 mAb in tumor-bearing mice can be a powerful means to induce tumor-specific CTLs with therapeutic anti-tumor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