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an barrier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32초

콘크리트 교량 방호벽의 균열원인 및 패턴 분석에 대한 연구 (Study on Cracking Causes and Patterns in Median Barrier and Guardrail Concrete in RC Bridge)

  • 최세진;최정욱;권성준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19-26
    • /
    • 2014
  • 콘크리트 방호벽 및 중앙분리대는 교량의 부속시설이지만, 슬립폼 시공과 넓은 비표면적으로 인해 초기재령 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본 연구에서는 대형 교량의 방호벽과 중앙분리대 콘크리트의 외관조사 및 비파괴실험을 수행하여 균열의 원인과 발생 균열의 패턴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시공기간을 고려하여, 건조수축, 수화열 해석이 수행되었으며, 현장의 환경조건을 고려하여 소성수축 특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대상구조물의 균열 원인은 철근위치에 따른 소성침하균열, 소성수축 및 건조수축에 의한 복부균열, 재료분리에 따른 상부균열로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균열원인과 발생 패턴을 도식화하였으며, 시공 및 재료분야에서 균열제어대책을 제안하였다. 해상위 교량에 설치하는 중앙분리대 및 방호벽 콘크리트는 환경조건 (풍속, 온도, 습도)에 매우 민감하여 초기재령균열이 쉽게 발생하므로 재료선택 및 시공방법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Factors Influencing Roadkill Hotspot in the Republic of Korea

  • Kim, Kyungmin;Yi, Yoonjung;Woo, Donggul;Park, Taejin;Song, Euigeun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2권4호
    • /
    • pp.274-278
    • /
    • 2021
  • Road structures play an important role in collisions involving vehicles and wildlife. Our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various types of road structures on the risk associated with roadkill. We surveyed 50 previously identified roadkill hotspots, ranked from one to five according to roadkill density. We collected nine types of road structure data on each hotspot road section. Structure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were grouped together, resulting in five categories, namely, median barrier, high edge barrier, low edge barrier, speed, and visibility. We examined the existence of each road structure category at each hotspot rank. The cumulative link model showed that the absence of bottom blocked median barrier increased the roadkill hotspot rank. Our study concluded that a visual obstacle in the middle of roads by the median barrier decreases wildlife road crossing attempts and roadkill risk. We suggest that future roadkill mitigation plans should be established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트럭 공차중량, 중앙분리대 피복두께 및 열화수준에 따른 중앙분리대 충돌해석모델의 민감도 분석 (Evaluation of Impact Resistance for Concrete Median Barrier Depending on Vehicle Curb Weight, Concrete Cover Depth and Level of Deterioration)

  • 이재하;이일근;정유석;김경진;김우석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0권4호
    • /
    • pp.297-306
    • /
    • 2017
  • 국내 고속도로 콘크리트 중앙분리대는 SB5-B(270kJ)의 충돌등급에 저항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대형 화물차량의 충돌사고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SB6(420kJ) 등급으로의 상향이 필요하다. 충돌등급 상향을 위한 새로운 중앙분리대 단면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실제 충돌시험을 수행하여 기준 통과여부를 결정하며, 충돌시험 수행을 위한 적정 단면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충돌해석을 통해 선정한다. 이러한 충돌해석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서는 차량 모델, 콘크리트 단면 열화상태, 콘크리트 피복 두께 등 다양한 변수에 대한 정확한 변수 선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차 중량, 단면 열화, 콘크리트 피복 두께에 대한 변수연구를 수행하여 충돌저항성능 저감을 확인하였다. 전체 중량뿐만 아닌 공차 중량에 따라 중앙분리대의 충돌저항성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10cm 이하의 콘크리트 피복 두께에서는 충돌저항성능이 민감하게 증가 또는 감소한다. 단면 열화가 발생할 경우 중앙분리대의 충돌저항성능의 감소가 발생하여 열화정도에 따른 보수 및 보강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과 차량의 충돌해석을 수행할 경우 트럭의 공차중량 비율, 콘크리트의 피복두께 및 열화에 대한 영향이 상세하게 고려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위험도기반 가치공학적 기법을 적용한 고속도로 교통안전시설 최고가치평가 : 중앙분리대 적용사레를 중심으로 (Evaluation of Best Value for Safety Facilities on Highway Using Risk-based VE Approach - A Case Study of Median Barrier -)

  • 지동한;오영태;최현호;김성훈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143-154
    • /
    • 2008
  • 다양한 제반 위험요소가 상존하는 고속도로 교통안전시설의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증가로 인하여 교통안전시 설에 대한 체계적인 성능, 비용 및 효과 분석 프로세스가 요구되어지고 있다. 교통안전시설은 도로사용자의 직 간접적인 사고위험성이 상존하는 중요한 시설물임을 고려하여 위험도의 정량적 평가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안전시설의 가치분석 수행시 정량적 위험도분석 결과를 적용한 합리적인 가치분석(VE)기법을 제시하였으며, 고속도로 개선 전 후 중앙분리대에 적용하여 가치평가를 수행하였다. 또한 기능분석을 통해 중점개선대상 기능 도출기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개선 전 중앙분리대 문제점의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며 향후 다양한 교통안전시설의 가치대안 창출 시 적용 가능하다.

충격량을 고려한 중앙분리대 설계기준에 관한 연구 (Design Criteria of the Median Barrier Considering Impulse Measurement)

  • 박제진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67-176
    • /
    • 2008
  • 최근의 교통사고 발생현황에 비추어 볼 때 전체 사망자는 감소하고 있는 반면, 중앙선 침범에 의한 사망자는 여전히 전체 사고의 높은 구성비를 나타내어 교통사고 피해 현황(사망, 부상)에 있어서 중앙선 침범이 안전운전 불이행에 이어 두 번째로 주요한 교통사고 원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사고를 줄이기 위한 대책의 일환으로 중앙분리대에 방호울타리를 사용하고 있으나, 해당 시설물에 대한 명확한 설계기준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특히, 중앙분리대 설계기준에 있어서 현행의 충격량 산정의 방법은 일률적인 속도와 침범각도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주행행태를 고려하지 못한 채로 제시되고 있으며, 충격량 산정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보다는 개발된 방호울타리의 성능시험 평가를 통해 현장에 적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의 주행특성을 고려하여 주행속도를 적용하고 도로의 기하구조에 따른 침범각을 산정하여 보다 현실적이며 합리적인 충격량을 산정한다. 합리적인 충격량의 산정은 중앙분리대의 과대설계로 인한 국고의 낭비와 과소설치로 인한 안전문제를 해결하는데 일조할 것이다.

상용 프로그림을 이용한 콘크리트 중앙분리대 방호울타리들의 구조적 안정성에 대한 비교 분석 (Comparison Analysis on the Structural Stability of Concrete Median Barriers Using Commercial Software)

  • 주재웅;이성관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7-184
    • /
    • 2002
  • The concrete median barriers are the most popular safety appurtenances that can be installed on narrow medians and are effective in keeping uncontrolled vehicles from crossing into opposing lanes of traffic. It is necessary to install and maintain median barriers because it is very difficult to reserve enough room required for medians in KOREA. And concrete median barriers are accepted as the actual alternatives for median barriers, mostly because they require almost no maintenance even after serious collisions. Typical concrete median barriers are 810mm high and have 596mm high glare screens on top of them. But we have experienced a number of “climb” and “roll-over” accidents of heavy vehicles until now, and most of all, there have been some serious accidents caused by the part of broken glare screens. We have performed many computer simulations for the evaluation of the crashworthiness of concrete median barriers, and through the simulations we have tried to find a proper type of concrete median barrier.

  • PDF

SB4 등급 방현기능 콘크리트 방호울타리의 방호성능 평가 (Evaluation of the Protection Performance of SB4 Class Concrete Barrier with Anti-Glare Function)

  • 주봉철;홍기남;윤정현;이재하;김정호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93-102
    • /
    • 2021
  • 본 논문은 방현기능을 갖는 SB4등급 중앙분리대용 콘크리트 방호울타리를 개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개발 단면은 높이와 하면의 폭이 각각 1,270mm와 560mm이다. 단면 중앙에는 방호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와이어 매쉬가 배치된다. 충돌해석은 이 단면이 강도 및 탑승자 보호 성능을 만족하며 울타리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예측하였다. 실물 충돌시험에서도 이 단면은 강도 및 탑승자 보호 성능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트럭 충돌 시 콘크리트 방호울타리 2곳에 손상이 관찰되었다. 향후 콘크리트 중앙분리대용 방호 울타리 충돌해석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국내 시판 차량에 대한 모델 개발과 지속적인 충돌해석 기법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