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a art

검색결과 1,001건 처리시간 0.026초

언론인의 직무 스트레스와 대처방안 척도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 일간지 취재기자를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job stress of journalists and indicators of countermeasures -Focusing on daily newspaper reporters and journalists in area of Seoul-)

  • 박생규;조성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6155-6162
    • /
    • 2013
  • 본 연구는 서울지역에 본사를 둔 일간지 취재 기자들을 대상으로 업무를 수행하면서 겪고 있는 직무 스트레스와 대처방식 척도에 관한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는 일간지 취재기자 170명에 대해 2013년 3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 대인면접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test와 일원 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을 하였고, 실증분석은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다. 연구 분석결과 첫째, 직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으면 직무 스트레스는 낮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흡연을 많이 하는 경우와 스트레스 해소방법이 '예술 활동'인 경우 스트레스 대처방법이 높아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직무 스트레스가 높으면 대처방식도 높아 유의한 차이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언론인들의 원활한 업무수행이 가능할 수 있는 근무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적인 정책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 된다.

게슈탈트 시지각 이론에 의한 3D 애니메이션의 조형성 -한국 영화 <웰컴투 동막골>을 중심으로- (Formative Properties of 3D Animation based on the Theory of Gestalt -Centering of Korean film -)

  • 김경은;윤영두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9-284
    • /
    • 2006
  • 미디어의 발달로 표현의 영역이 넓어진 영화 예술분야도 급속도로 성장해 왔다. 최근 한국 영화에서도 특수 효과(SFX)의 하나인 컴퓨터 그래픽스(CG)를 이용한 디지털 영화에 관심과 인력이 형성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형태가 갖는 게슈탈트 이론에 근거하여 한국 영화에서 3D 애니메이션이 삽입되어 2005년 최고의 흥행을 이루었던 <웰컴투 동막골>을 중심으로 그 조형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3D 애니메이션을 영화에 삽입함으로써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실사에서 느낄 수 없는 환영성이나 가상적인 세계를 이끌어 갈 수도 있으며 이는 촬영상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자유로운 공간성이 적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각의 대상에 전체성을 부여하며 완결을 필요로 하는 게슈탈트 이론에 의해 부분적인 애니메이션의 설정일지라도 영화의 의미를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영화의 장면에 악센트를 부여하는 음악 기법 연구 (A Study on the Compositional Manners for Emphasizing the Dramatic Lines in Film)

  • 신혜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437-442
    • /
    • 2016
  • 음악과 영화는 시간예술로서의 공통점을 갖고 있다. 음악은 영화의 대사와 장면의 빈 공간을 채우거나 특정 장면의 앞이나 뒤에 나옴으로써 사건의 흐름을 암시하고 장면의 여운을 지속시키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영화음악 작곡가들은 인물의 성격 묘사와 이미지의 부여, 극적인 장면의 강조 등 영화의 대사만으로 부족한 효과들을 음악을 통해 구축하고자 하며 영화의 특정 장면이나 인물의 성격에 맞는 적절한 음악을 찾기 위해, 혹은 창조하기 위해 고심한다. 그들은 모티브나 선율, 리듬이나 화음, 음악 스타일 등 음악의 요소를 특정 캐릭터나 장면의 분위기와 연관시키려는 시도를 함에 있어 극작가와 맞먹는 영감을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1950년대를 전후로 한 영화음악 작곡가들의 작곡 기법들을 중심으로 주제의 사용방식, 조성 구조와 작품 속에서 다양하게 나타나는 주제들 간의 상호 연관, 리듬 패턴 등을 분석함으로써 장면의 효과를 깊게 하거나 스토리의 한 측면에 집중하게 만드는 음악적 악센트의 방법들을 연구하고자 한다. 알렉스 노스나 휴고 프리드호퍼, 버나드 허먼, 데이비드 랙신 같은 할리우드 작곡가들의 작곡 기법을 중심으로 하여 영화의 중요 시퀀스와 음악의 악센트가 어떻게 조화를 이루는 가를 실제 장면과 음악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영화 심의 문제 해결을 위한 민간 자율 심의 기구의 필요성 모색 (A Study of voluntary deliberation agency for resolving problems in film censorship)

  • 서대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537-544
    • /
    • 2014
  • 영화는 어떤 미디어보다 파급력이 크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방식으로든 검열과 등급이 존재해왔다. 하지만 검열은 양날의 칼과 같다. 청소년 보호와 사회의 미풍양속을 보존하려는 의지를 앞세우게 되면 예술가들의 자유로운 창작의지를 꺾게 되고, 그 반대가 되면 사회적 혼란을 가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세계 각국은 이 모순적인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검열 제도를 두고 있다. 최근에는 검열과 등급에 관한 문제를 주로 민간에 이양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우리 영화계는 여전히 일종의 변형된 공공기관인 영상물등급위원회에서 이 문제를 다루고 있다. 그러면서 윤리와 도덕의 수호자로 오인할 수 있는 사태를 양산해서 영화계의 공분을 사고 있다. 최근 영화 심의에 나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민간이 자율적으로 심의와 등급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주체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민간 심의 기구의 필요성을 타진해 볼 것이다.

플래퍼 패션의 미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esthetic Sense of Flapper Fashion)

  • 김경진;금기숙
    • 복식
    • /
    • 제61권2호
    • /
    • pp.1-19
    • /
    • 2011
  • As modern society advances, women's self-consciousness and attitudes toward beautiful appearances have changed. Amid this trend, the young and slim body of adolescent girls expressed in contemporary fashion incites fantasy on continuing youth among women. In modern society, women's youth is frequently regarded as a subject of consumption and a sex product in the mass media. In this regard, the study is focused on examining desire and psychology of worshipping women's youth and beauty in connection with flapper fashion in the 1920s. In the process, the study took a look at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flapper fashion and conducted an analysis on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sense of flapper fashion as follows: First,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include a short skirt that expresses straight lined shape and the beauty of exposure, lighter clothing, thick make-up, short hair style and black or vivid colors, and they lead to exceptional and innovative aesthetic sense in flapper fashion. Flapper fashion style is focused on completely denying outdated fashion worn by women in the age right before. Second, pursuit of mature, graceful and classical beauty that had continued in previous ages has gone through complete changes in the flapper era in the name of pursuit of youth, and the flapper fashion expresses sensual image through the exposure of slim arms and legs of a young girl. I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esthetic sense of youth and sensuality inherent in the flapper fashion was generated. Third, women's free-spirited lifestyle at that time and 'aesthetic sense of freedom and amusement that reflected the speed of machine civilization could be found in the flapper fashion. Material and decoration of the flapper fashion pertained to clothing that enabled a free expression through rapid movements. Aesthetic sense of the flapper fashion generated in the process could be defined as women's internal determination to express individual and free-spirited ideas through the use of fashion when tradition and order of the old age were torn down. And this aesthetic sense is continuously affecting modern fashion design.

스테레오 비전 기반 Light Drawing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Digital Light Drawing System based on Stereo Vision)

  • 박원배;박창범;백두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30-137
    • /
    • 2010
  • Light Drawing은 사진 촬영 기법 중 하나로, 어두운 방이나 밤에 빛이 나는 물체의 움직임을 노출 기법을 이용하여 촬영 한 것이다[1]. 사용자가 Light Drawing을 만들려 한다면 장 노출 카메라가 필요하고, 어두운 환경이 필요함으로 제한사항이 따르며 사용자는 3차원 공간에 그림을 그리는 것에 어려움을 느낀다. 반면에 포토�斌� 같은 컴퓨터 드로잉 툴을 사용하여 Light Drawing 효과를 낼 수 있다. 그러나 마우스나, 타블렛과 같은 입력 장치는 실제로 그림을 그리는 행위와 차이가 나기에 사용자들의 흥미를 반감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Light Drawing을 손쉽게 제작 가능한 디지털 컨텐츠를 제안한다. 스테레오 비전을 이용하여 빛의 3차원 위치 정보를 계산하고 Drawing Effect를 이용하여 3차원 가상 공간에 Light Drawing을 구현하였다.

20세기 후반 MIT의 건축설계 교육과 기요르기 케피쉬의 기초디자인 프로그램의 특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Teaching Architectural Design in Post-War America - Gyorgy Kepes' Basic Course at MIT's Department of Architecture -)

  • 배형민
    • 건축역사연구
    • /
    • 제15권2호
    • /
    • pp.39-54
    • /
    • 2006
  • Focusing on the emergence of the basic course in American schools of architecture, in particular Gyorgy Kepes' courses at MIT, this paper studies the transformation of architectural pedagogy during the years after World War II. Kepes centered his architectural pedagogy on the picture plane, which was to function as the primary media for applying the principles of Gestalt psychology, that is the identification of the whole and its parts and the reciprocity between the internal human organism and the outside world. Kepes hence introduced a set of unconventional visual practices that were not readily assimilated to architectural conventions. Paralleling the establishment of the basic course, MIT also formulated a functionalist and spatial pedagogy with its two initial design studios, courses 4.721 and 4.722. These studios shared the notion that architectural design evolved from the inside toward the outside, an idea that took hold not just in the pragmatic environment of MIT's studios but also in conservative academic programs as well as in popular magazines, picture books, and exhibitions for the consumer public. The architectural surface became inseparable from the objects of art, furniture, and design, all of which were to be the generators of space. Hence, during the 1950s, the architectural surface provided a specific locus of intersection between the visual fundamentals of the basic course and the working principles of architectural design. Kepes, however, had by this time become disillusioned with architecture's potential as the medium of unity. Though he maintained the Gestalt logic of identity, he expanded it toward the goal of grander synthesis of society and consciousness freeing himself from the constraints of disciplinary instruction. In the case of Kepes, the mediating role of the picture plane was foregone in a regressive turn toward a primal, innocent, and direct experience.

  • PDF

게슈탈트 시지각 이론을 활용한 자연사 프로젝션 맵핑연구 (A study on the natural history projection mapping contents using Gestalt Visual Perception Theory)

  • 박기덕;정진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465-471
    • /
    • 2020
  • 본 논문은 과학관의 자연사 아날로그 표본정보는 디지털정보체계의 시스템을 바탕으로 현 트랜트에 필요한 아날로그와 디지털형태의 융합형 콘텐츠로써 자연사 콘텐츠의 표본정보체계 방향성을 구현하였다. 자연사 표본배열의 디지털 정보전달형 콘텐츠에 적합한 효율성과 주목성을 극대화하고 데페이즈망 기법과 자연사 표본정보에 필요한 수컷, 암컷, 채집날짜, 채집자, 표본 소장처등의 정보체계를 표본과 빔프로젝션 맵핑을 결합하여 관람자에게 디지털 디오라마 전시효과를 극대화하였다. 디지털 자연사 정보를 증감시키고 빔프로젝션 맵핑을 도구로써 자연사 콘텐츠 배열은 게슈탈트 시지각 원리를 활용하여 집단성, 폐쇄성, 단순성, 연속성 원리를 활용 및 주목성을 높혀 기존 자연사 표본배열의 한계점을 자연사 디지털디오라마의 역동성과 퍼포먼스로 연출하였다. 노랑나비 생태계 환경을 연출하고 게슈탈트 이론을 접목하여 나비의 배열과 신사임당의 초충도 작품을 재해석하여 8폭병풍 미디어아트 연출하였다. 또한 큰줄흰나비의 날개 엣지부분과 면적은 프로젝션 맵핑도구로 게슈탈트 원리를 활용한 패턴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었고, 관람자에게 디지털 표본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전시 활용의 가치를 높히고 자연사 디지털디오라마 활용방안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용담화 에탄올 추출물의 항노화 작용 연구 (Study on the Anti-aging Activity of Gentianae sino-ornata Ethanol Extract)

  • 최형욱;리순화;김은주;김수경;이장천;임규상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2
    • /
    • 2015
  • Objective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xtract ofGentianae sino-ornata(GSO) on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skin.For this purpose, several functions of GSO were analyzed in terms of skin-lightening activity and wrinkle improvement. Methods :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neutral red (NR) assay, and GSO showed highly efficacy i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level of tyrosinase and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in media was analyzed by ELISA kit, and the expressions of p-JNK and p-ERK was measured by Western blot. To elucidate inhibitory effects of GSO on melanin synthesis, I determined the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production in B16F10 cells. Results : MMP-1 production in UVB-stimulated HDF cells was inhibited by GSO treatments, and also GSO inhibited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p-JNK and p-ERK. GSO significantly reduced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synthesis in B16F10 cells. Conclusions : From these results, GSO appears to be effective on skin elasticity increase, wrinkle improvement, whitening as anti-aging activity.

현대 스포츠패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rn Sport-Fashion)

  • 임은안;채금석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9호
    • /
    • pp.1308-1319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is to analyze the aesthetics characteristics of our modern sports fashion, and thereby, discuss them in the light of the overall mentality or the 20th century, and thus, present the conditions or sports fashion design meeting modem people's divers aesthetics values and desired. Modern sports fashion sues can be categorized into futurist sports style, erotic sports style and American sheet sports style. And the 20th century mentality characterized by changes of lifestyle, identity and aspiration has influenced the aesthetic features of such sports fashion sues, which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futurist sports style applies the functional items and details of active sportswear to design, while heralding a positive and hopeful message of technology and future by using the material of hi-tech functions and senses. This sports style was affected much by shift from social status, attraction and wealth to demonstration of state-of-the-art science, pursuit of functionality in terms of shapes and materials, convenience through See combinations of sportswear items or design elements. Second, the erotic sports style based on minimalism attempted to express the erotic body beauty indirectly by exposing some parts of body or using the material pressed against the body. This sports style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changes of sexual identity such as neutral sexualism, bi-sexualism and homo-sexualism. Lastly, the American street sports style was born from black Americarns' sports and dances. This spors style pursues “youth” beyond TPO concept As mass media and commercial sports developed, the young generation copied sports stars' uniforms or fashions to share honor, wealth and youth with them. In sort, the American sheet sports style was affected much by the so-called “heroism”. Such a changed object of aspiration influence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American shot sports style direc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