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a Ecosystem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32초

코로나 19는 기자들의 취재관행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 팬데믹 전후의 근무형태 변화에 대한 기자 인식을 중심으로 (How "Covid-19" Affected Reporters' News Coverage?: Focusing on Reporters' Perception of Changes in Work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 양영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1-21
    • /
    • 2021
  • 이 연구는 코로나 19 팬데믹이 지난 1년 동안 한국 언론사 기자들의 취재 관행, 조직 내부 관행, 뉴스 생산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종합일간지, 경제일간지, 뉴스통신사, 방송사에 근무하는 취재 기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하였다. 그 결과, 기자들은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재택근무를 하고 있으며, 출입처가 통제되거나 폐쇄되어 현장 취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자들은 취재원을 직접 만나기 어려워 전화나 SNS를 통한 간접 취재와 온라인 브리핑에 의존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뉴스의 다양성과 현장성이 떨어지고 현장 감시기능이 약화하고 있다는 인식을 보였다. 또한, 조직 내 회의나 모임이 사라져 아이디어 교감이나 선후배 간 취재 노하우 전수에도 애로가 있다고 언급하였다. 현재 진행형인 코로나 19가 국내 언론의 취재 관행, 조직 내부 관행, 뉴스 생산 등 미디어 생태계에 불러온 변화를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방송콘텐츠의 컨버전스 양상과 세계관 설정에 관한 고찰 : '유산슬'과 '펭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vergence Pattern of Broadcasting Contents and the Establishment of World View : Focused on 'Usanseul' and 'Pengsoo')

  • 장해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20-29
    • /
    • 2021
  • 다플랫폼 미디어 환경이 조성됨에 따라 방송콘텐츠 분야에서는 방송사를 엄격하게 구분 짓거나 타 프로그램의 언급을 조심스러워하던 그동안의 경직된 분위기에서 벗어나 서로 간의 경계를 허물며 컨버전스를 통한 콘텐츠 제작 흐름이 포착되고 있다. 또한 그 방식이 한쪽의 인지도나 프로그램 인기 척도에 따라 수직적으로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상생과 공존의 윈윈 전략으로서 수평적으로 행해졌다는 점에서 상당히 고무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흐름의 저변에서 급격하게 재편되고 있는 미디어 생태계에 적응하고 살아남기 위해 서로 간의 경계를 초월하는 현상을 포착하고 그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현되는 컨버전스 유형과 독보적 가치를 유지하기 위한 세계관 설정에 주목했다. 그리고 이러한 움직임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던 '유산슬'과 '펭수'를 연구대상으로 선정, 그 초기 양상을 분석하여 레거시 미디어가 기존의 관행을 깨면서까지 선택한 전략들은 무엇이며 이러한 변화들이 앞으로 방송콘텐츠를 기획하는 데에 있어 어떠한 시사점을 갖는지 살펴보았다.

The Rise of Blockchain Technology: Overcoming Theoretical Poverty and It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Countries

  • Park, Han Woo;Ozel, Bulent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8권2호
    • /
    • pp.1-8
    • /
    • 2019
  • The blockchain is still new and unfamiliar. But blockchain appears to shake an entire technology innovation system. Blockchain is rapidly drawing attention in that it will be able to fundamentally revolutionize industry ecosystem. While cryptocurrency transactions and market capitalization have been popular in mass media, several platform operators in non-cryptocurrency areas such as jewelry, social networks, and entertainment, are also moving to introduce blockchain technology in full swing. In this brief note, we intend to present integrated theoretical strands to summarize various prospects for blockchain technology. Further, we want to provide a reflection as to whether this new technology gives opportunities, challenges, or risks to future society. Particularly, we point out one of its alternative and promising adoption that gives way to new forms of decentralized and autonomous organizations (DAOs).

시화 갯벌식생범위의 시-공간적 변이 분석 (The Analysis of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n the Vegetation Area of the Siwha Tidat Flat)

  • 정종철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3호
    • /
    • pp.349-356
    • /
    • 2011
  • This research is aim to analyze of changing landscape and according to phenological cycle from image information of coastal environment obtained by multi-media were analyzed by camera and satellite image. The digital camera and satellite image were used for tidal flat vegetation monitoring during the construction of Sihwa lake. The vegetation type and phenological cycle of Sihwa tidal flat have been changed with the Sihwa lake ecosystem. The environment changes of Sihwa tidal flat area and ecological change were analyzed by field work digital camera images and satellite images. The airborne, UAV and satellite images were classified with the changed elements of coastal ecological environment and tidal flat vegetation monitoring carried out the changed area and shape of vegetation distribution with time series images.

Roles of Fungal Volatiles from Perspective of Distinct Lifestyles in Filamentous Fungi

  • Farh, Mohamed El-Agamy;Jeon, Junhy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6권3호
    • /
    • pp.193-203
    • /
    • 2020
  • Volatile compounds (VOCs) are not only media for communication within a species but also effective tools for sender to manipulate behavior and physiology of receiver species. Although the influence of VOCs on the interactions among organisms is evident, types of VOCs and specific mechanisms through which VOCs work during such interactions are only beginning to become clear. Here, we review the fungal volatile compounds (FVOCs) and their impacts on different recipient organisms from perspective of distinct lifestyles of the filamentous fungi. Particularly, we discuss the possibility that different lifestyles are intimately associated with an ability to produce a repertoire of FVOCs in fungi. The FVOCs discussed here have been identified and analyzed as relevant signals under a range of experimental settings. However, mechanistic insight into how specific interactions are mediated by such FVOCs at the molecular levels, amidst complex community of microbes and plants, requires further testing. Experimental designs and advanced technologies that attempt to address this question will facilitate our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s of FVOCs to agriculture and ecosystem management.

Case Study on Nest's "Internet of Energy (IoE)" Business Model: Based on Strategic Choices for Connected Product

  • Song, Minzhe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1권1호
    • /
    • pp.89-96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Nest Labs (Nest)'s business strategy. The activities based on strategic choices for monetizing connected product are investigated. Nest's capacity and functionality is to offer a seamless integration of devices, platforms, and services and the "Works with Nest" offers an ecosystem fulfilling the needs of different partners. For monetizing customer data, Nest provides a seamless customer experience supported by product incentives. Nest introduces open APIs to connect its connected products to the wider Internet of things (IoT) and open to "If This, Then That." The Nest app controls them from one single place. Nest partners with 32 energy providers as of 2017 and they provide energy from renewable and non-renewable energy sources. Nest also creates a sales channels in direct and indirect route and expands is business model to other industries such as home-rental service, 'AirBnB' to help consumers become more energy-efficient at home.

European Creator Economy's Web3.0 Business Model Case Study

  • Song, Minzhe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3권1호
    • /
    • pp.57-68
    • /
    • 2024
  • In this paper, we are interested in how creator economy startups allowing creators to make money from doing that they love. So, we look at European creator economy startups among Web3.0 business model landscape surveyed in 2022, because the US is home of Web2.0 giant platforms like YouTube. Totally seventeen European startups are investigated, and the theoretical logic is the disruptive innovation. We firstly review the survey published in 2022 and utilize the theory of the disruptive innovation to design the research framework including questions with each type of the disruptive innovation. In this paper, we firstly show, Kalao and Gem as NFT ecosystem platforms aim at service convenience. Secondly, Talkbase, Passionfroot, Bildr, Customuse, and Earnr aim at providing creator tools for under-skilled customers. Lastly, when it comes direct monetization with a decentralized business model, CrowdPad, Admix, GOALS, Realm, Dropstar, Pianity, Sonomo, Stage11, Miiji, and ReadyPlayerMe are representative. Despite the relatively small data size, the results are meaningful as they contribute to a more profound comprehension of the Web3.0 business models and offer guidance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나노물질의 환경 매질별 노출 사례 조사 (Case Studies for Nanomaterials' Exposure to Environmental Media)

  • 엄하늬;노진규;이병천;박수민;이종협;김영훈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6호
    • /
    • pp.1056-1063
    • /
    • 2012
  • 최근 나노기술의 급격한 발전은 산업 및 바이오의약 등 다양한 분야에 새로운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나노물질을 이용한 나노소비재의 증가와 함께 환경으로의 나노물질 노출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최근 나노물질의 인체 및 환경 영향이 주요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환경 중에 비의도적으로 노출된 나노물질은 다양한 환경 매질에 축적되고 언젠가는 우리들에게 재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환경 매질(대기, 수계, 토양)에 노출된 나노물질의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나노물질의 환경 내 거동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나노물질의 환경 매질별 노출 사례를 조사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작업장(실험실)에서는 주로 대기 노출이 지배적이지만, 환경중으로 노출될 경우 최종적으로 수계 및 토양으로 노출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기존의 하수처리장 설비로는 완벽하게 나노물질을 제거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확인하여, 나노폐기물 처리에 관한 새로운 방법론 개발이 절실함을 확인하였다. 보다 다양하고 깊이있는 환경 노출 연구를 위해서는 현장 모니터링 장비의 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추가적으로 다양한 분석법을 제안하였다. 본 총설에서 정리한 나노물질의 환경 매질별 노출 사례 연구들은 향후 나노물질의 환경 거동 평가 및 나노폐기물의 적절한 처리방법 모색에 기본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청라환경공원 조성 설계연구 (A Landscape Design Study on Chung Ra Pro-Environmental Park)

  • 신현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4-126
    • /
    • 2004
  • The recognition of the environment and its importance have generated various types of parks, such as the ecological put the environmental put and the natural academy. They are considered the connecting media for the creation of space as a new paradigm in design for the 21st century from the late 1990s, environmental designs in space planning have been created from various angles of Perspectives including restoration of the natural ecosystem and introduction of natural circulation systems. Based on the aye facts and through theoretical examination of environmental park models, this research (1) establishes the concept and the significance of environmental parte; and, based on this, classifies the types of industrial sublimity; (2) presents environmental designing principles and standards; and (3) presents the "Chung Ra pro-Environmental Park plan" based on these ideas.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research results: First, while existing city parks are human-oriented, interior-oriented, and shape-centered, an environmental park considers human and nature equally and gives great importanc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of the subject. It is a mark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at considers the natural ecosystem. Therefore, the environmental park is the 21st Century′s type of an open park for creating new forms of nature, as well as for incorporating culture and values through education. In such an environmental system, nature, culture, and human beings pursue balance, harmony, and security through mutual recognition. Second, in a broad sense, the types of environmental park can be classified into Cultural Restoration, Ecological Conservation, and Environmental Replacement. Third, by selecting Chung na environmental park in Incheon, which is a filtration plant lot, as a research subject, I have presented alternative planning for environmental parte in which culture and nature coexist on the basis of environmental planning principles and standards.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특징 : 그 패러다임과 정책 방향 (An Exploratory Study on Paradigms, Policies in the Digital Convergence Era)

  • 한학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호
    • /
    • pp.455-461
    • /
    • 2012
  • 본 연구는 디지털 융합시대에 국가 경쟁력의 핵심으로 자리 잡고 있는 방송정보통신산업 구축에 필요한 생태계 정책과 기술혁신 패러다임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모든 매체가 인터넷으로 집중되는 상황을 고려한 추진 전략 및 정책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 것이다. 방송정보통신 산업은 컨버전스 시대의 특성을 기반으로 자생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송과 통신 간의 전략적 협력적 파트너십과 그에 따른 융합미디어의 이용자 중심 미디어 환경체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뉴미디어 체제의 구축은 플랫폼과 콘텐츠, 서비스, 그리고 생태계 관점에서 선순환적인 성공전략 수립을 전제로 소비자의 사회적 합의를 기반으로 한 열정적인 정책의 변화 요구 도출이 전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디지털 융합 인프라와 환경은 세계 최고 수준인 우리나라의 스마트미디어의 글로벌화 및 통합방송정책 수립의 동향과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IT 기술 중심에서 융 복합 비즈니스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통신사, 포털 등 다양한 IT기업들의 생태계 구축 경쟁이 심화될 전망이다. 둘째, 스마트 디바이스와 클라우드 서비스의 결합은 스마트 시대 미디어 산업계의 아이콘이다. 셋째, IT 산업은 기존의 PC 중심에서 웹 기반 서비스 구조로 전환돼 웹이 하나의 거대한 운영체제와 같은 플랫폼으로 진화될 것이다. 넷째, 미디어산업은 스마트화, 소셜화 등의 특성으로 지속적인 영역 확장이 이루어질 것이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공공 이용권 개념 정립 및 저작권법 개정을 통한 플랫폼 간 끊임없이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져야 하고, 산업 활성화 위주의 정책 보완 및 규제 완화, 방송통신 융합서비스의 체계적 연구가 선결되어야 할 주요 과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적 시각에서 방송정보통신 매체정책 및 제도의 개편방안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재정립하여 발전적 혁신 모형을 제안하고 미디어 영향력 측정 및 정책 이니셔티브에 대한 객관적 평가체계의 수립을 향후 과제로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