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a Addiction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2초

매체 중독 예방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텔레비전 중독, 인터넷 중독, 휴대전화 중독 및 충동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Prevention Program for Media Addiction on Television Addiction, Internet Addiction, Cellular Addiction, and Impulsiven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구현영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9권4호
    • /
    • pp.270-281
    • /
    • 2013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위한 매체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선행 연구와 관련 문헌 및 전문가의 자문을 토대로 초등학생을 위한 매체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초등학교 4-6학년생 58명(실험군 29명, 대조군 29명)을 대상으로 텔레비전 중독, 인터넷 중독, 휴대전화 중독 및 충동성에 대한 사전조사를 실시하였고, 실험군에게는 주 2-3회, 4주간 10회기의 매체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사후 조사와 프로그램 종료 1개월 후 추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에게는 동일한 시기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매체 중독 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텔레비전 중독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인터넷 중독, 휴대전화 중독, 충동성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따른 변화 양상이 다르지 않았다. 결론 초등학생을 위한 매체 중독 예방 프로그램은 텔레비전 중독 예방에 효과적이었다. 매체 중독 예방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올바른 텔레비전 사용 습관을 기르도록 도와서, 이후 심각한 문제 행동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Tiktok 서비스 이용자의 몰입과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n Flow & Addiction of Tiktok Service Users)

  • 주이모;이상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25-132
    • /
    • 2021
  •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OTT의 중간영역에서 시장을 확대하고 있는 SFV 플랫폼인 Tiktok 서비스의 이용자가 인식하는 몰입과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들은 Tiktok 이용자가 증가하면서 중독에 이르는 경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았다. 미디어 소비 시간이 부족한 이용자는 긴영상보다 짧은 영상을 제작하고 공유하며 외생변인에 의해 애착에 영향을 받는다. 또한 애착은 대인관계 및 서비스에 대한 애착으로 구분되는데, 애착의 경로는 몰입과 중독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자들은 본 연구를 통해 동영상 미디어서비스의 중독에 이르는 경로를 자기노출과 애착, 몰입과 중독 등으로 설정하여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실무적 공헌점이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더욱 다양화되고 있는 동영상 중심의 미디어 서비스에 적용이 가능하며, 향후 출현하는 새로운 미디어에 활용가능하다는 측면에서 후학의 연구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소셜미디어 위챗의 지속 이용의도와 중독의 영향요인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Sustainable Use Intention & Addiction of Social Media WeChat)

  • 강아리;배승주;권만우;이상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245-255
    • /
    • 2021
  • 본 연구는 위챗 소셜미디어 플랫폼의 사회적, 오락적 요인이 이용자의 몰입과 중독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실증 연구이다. 연구자들은 소셜미디어 위챗 이용자들의 중독이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소셜미디어 연구가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 등에 그치고 있어 이용자의 몰입, 중독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실증분석을 통하여 위챗 사용의 중독에 이르는 경로를 사회적 요인(사교성, 지불성)과 오락적 요인(오락성, 생활 관련성)으로 설정하고 위챗 이용자 체험이 사용 의도와 만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고 이용자의 위챗 몰입과 중독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위챗의 사교성 등 기능적 요인이 인지된 용이성 및 유용성에 영향을 주고, 이에 대한 사용과 만족이후 몰입과 중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소셜미디어의 중독적 사용관련 연구에 새로운 이론적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Cell 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 구현영;박현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6권1호
    • /
    • pp.56-65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cell 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548 adolescents in two middle schools and four high school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which were constructed to include a cell phone addiction scale, an impulsiveness scale, media specific factors, and cell phone us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Of the adolescents, 88.7% reported being average users, 8.4%, heavy users, and 2.9%, cell phone addicted. Cell phone addic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mpulsiveness and media specific factors.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cell phone addiction were gender, sending and receiving text messages on weekends, monthly call charges, impulsiveness, recreational reasons, and cultural reasons. Conclusion: The above findings indicate that cell 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is influenced by gender, text message use, call charges, impulsiveness and media specific factor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grams for cell 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should be based on these factors which influence cell phone addiction.

인스타그램 외모관련 사진활동, 외모비교가 신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인스타그램 중독수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Appearance-Related Photo Activity and Appearance Comparison on Body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Instagram Addiction-)

  • 이민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81-94
    • /
    • 2019
  • Social media is an essential part of everyday life in modern society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mmunicating the ideal body image. With the increased prevalence and high popularity of social media,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addictive use of social media have become a social issue. Utilizing social comparison theory, this study examined (1) the effect of appearance related photo activities on body satisfaction through appearance comparison and (2) the moderating effect of Instagram addiction in relationships among appearance related photo activity, appearance comparison, and body satisfaction. We tested the proposed relationships between research variables using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on a sample of 346 young female Instagram users. The sample was divided into two groups of high and low addicted Instagram us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appearance related photo activity positively influenced appearance comparison for both high and low addiction groups. For the high addiction group, the effect of appearance comparison on body satisfac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is relationship was significant and negative for the low addiction group.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Instagram addiction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related photo activity and appearance comparison.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여가관련변수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성향 (University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Propensities according to Self-efficacy and Leisure-related Variables)

  • 류미현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2권1호
    • /
    • pp.63-79
    • /
    • 2014
  • Recently, in our society, the use of smartphones has been widespread and changed our lives positively; however, the excessive use of smartphones has also produced many side effects. In particular, we can see that the reckless use of smartphones has constantly increased smartphone addiction propensities. University students, too, show smartphone addiction propensities more and more gradually;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erform research related with smartphone addiction propensities with university students as the subjects. Since it is more and more important to perform leisure activities to prevent smartphone addiction and reduce addiction propensities, it can be said that the research on the correlation between leisure activities and smartphone addiction propensities is significant. The major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martphone addiction propensities, their tolerance and disturbance of adaptive function were relatively higher than other factors. Second, overall smartphone addiction affects the variables of gender (male), school year (freshmen), economic leisure constraints, time leisure constraints, and the adequacy of travel behavior, sports behavior, media use behavior, reading behavior, volunteer work and religious behavior. The adequacy of the media use behavior variables showed the greatest impact.

Psychological phenomenon analysis of short video users' anxiety, Addi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 Peng, Chen;Lee, Jong-Yoon;Liu, ShanSha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8권1호
    • /
    • pp.27-39
    • /
    • 2022
  • Short videos are becoming more popular in mobile Internet age. Not only people's media consumption patterns have been changed by the rise of this new media form, but also it has posed challenges to public psychological well-being. For many netizens, their entertainment needs have been met by watching short videos. However, many side effects, such as addiction and anxiety, reduce users' subjective well-being instead of satisfying the entertainment motivation after watching short videos. Therefore, it has become a significant research problem in short videos to figure out how to get audiences to watch short videos on a regular basis while avoiding side effects like anxiety and addiction and improving audiences' subjective well-being. Based on the theory of Internet addiction, this study analyzed short video users using the 2×2×2 research method and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of use, addiction, anxiety, and subjective well-being of short video users. The results showed that short video users with different usage length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diction, anxiety, subjective well-being, and online social support; innovative different short video us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diction and anxiety, as well as a triadic relational interaction of short video users' anxiety under the interaction with self-efficacy and online social support.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advancement of internet addic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assisting short video users in avoiding addiction and anxiety, and improving the subjective well-being of short video users, thereby promoting the growth of the short video industry.

A Study on the Artistic Representation of the Cellular-Phone Addiction and the Personal Data Leakage of Modern Society

  • Lee, Joohun;Baek, Jiseo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7권2호
    • /
    • pp.65-72
    • /
    • 2015
  • Althoug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network has brought great convenience in modern lives, amongst the aggravated complexity in the contemporary society, modern minds who have failed to create genuine relationships undergo a sense of alienation and solitude that may appear as a type of social pathology called cellular-phone addiction. Also, while the emergence of the information age seemingly brings about benefits including diverse acquisition regarding knowledge and broader communication, underneath exists side effects involving leakage of private information. Especially, being excessively addicted to relationship network may induce one to become insensitive towards leakage of private information without recognizing, and thereby instigating yet another social problem. Media art is very practical in terms of suggesting a critical perspective concerning social phenomena and elevating them into a work of art by rendering them artistically. Particularly, when social problems of the modern days are expressed through digital technology, media art provides the audience with a foundation that will enable them to sympathize without hostility. This dissertation calls attention to the contemporary problems regarding cellular-phone addiction and possible hazards of information leakage based on media art, while at the same time proposing the production process of a media art work that attempts to raise awareness and sympathy on such social issues.

스마트미디어중독 예방체계 실태와 융복합 정책 연구 (A Study on the Condition of Prevention System and Convergence Policy for Smart Media Addiction)

  • 장승옥;전호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8호
    • /
    • pp.33-4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미디어 중독예방 지원체계의 현황과 문제점을 탐색해보고 스마트미디어 중독을 예방하는 융복합정책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문헌연구를 토대로 진행된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사회의 스마트미디어 중독예방체계로는 스마트쉼센터, 한국청소년복지상담개발원, 아이윌센터 등 정부산하기관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 예방체계들은 연령별,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대상 맞춤형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획일적으로 규제중심이라는 것이 문제로 지적되었다. 선진국 사례를 통해 제시된 정책방안으로 규제보다는 책임감 있는 사용의 교육, 가족 참여를 유도하는 개입의 강화, 유해환경 차단시스템을 확충, 그리고 지자체, 민간기관의 협력을 통한 중앙정부의 통합적 관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스마트미디어 중독은 새롭게 주목을 받는 문제이므로 우리사회의 기준에 부합하는 예방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청소년의 소외감과 스트레스 반응의 관계에서 스마트미디어 중독과 행동활성화체계(BAS)의 조절된 매개효과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Smart Media Addiction Caused by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BAS) on Adolescents' Alienation and Stress Responses)

  • 원소희;최유리;서경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619-62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소외감과 스트레스 반응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소외감과 스트레스 반응을 스마트 미디어 중독이 매개하는 모형에서 행동활성화체계(BAS)의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참여자는 수도권에 위치한 중·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361명의 남녀 학생들이다. 조절된 매개효과는 PROCESS Macro 3.5 모델 7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의 소외감과 BAS는 스마트미디어 중독이나 스트레스 반응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스마트미디어 중독도 스트레스 반응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스트레스 반응에 대한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에서는 소외감과 BAS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했으며, 소외감의 조건부 간접효과는 BAS 수준이 매우 낮은 집단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런 결과는 소외감을 느끼는 청소년이 스마트미디어 사용에 몰입하여 스트레스 반응을 경험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시사하며, 그런 영향은 BAS 수준이 높을수록 더 심각하다는 것을 암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