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n-variance efficient portfolio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초

OPTIMAL INVESTMENT FOR THE INSURER IN THE LEVY MARKET UNDER THE MEAN-VARIANCE CRITERION

  • Liu, Junfeng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28권3_4호
    • /
    • pp.863-875
    • /
    • 2010
  • In this paper we apply the martingale approach, which has been widely used in mathematical finance, to investigate the optimal investment problem for an insurer under the criterion of mean-variance. When the risk and security assets are described by the L$\acute{e}$vy processes, the closed form solutions to the maximization problem are obtained. The mean-variance efficient strategies and frontier are also given.

The Admissible Multiperiod Mean Variance Portfolio Selection Problem with Cardinality Constraints

  • Zhang, Peng;Li, Bing
    •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Systems
    • /
    • 제16권1호
    • /
    • pp.118-128
    • /
    • 2017
  • Uncertain factors in finical markets make the prediction of future returns and risk of asset much difficult. In this paper, a model,assuming the admissible errors on expected returns and risks of assets, assisted in the multiperiod mean variance portfolio selection problem is built. The model considers transaction costs, upper bound on borrowing risk-free asset constraints, cardinality constraints and threshold constraints. Cardinality constraints limit the number of assets to be held in an efficient portfolio. At the same time, threshold constraints limit the amount of capital to be invested in each stock and prevent very small investments in any stock. Because of these limitations, the proposed model is a mix integer dynamic optimization problem with path dependence. The forward dynamic programming method is designed to obtain the optimal portfolio strategy. Finally, to evaluate the model, our result of a meaning example is compared to the terminal wealth under different constraints.

최소위험 종목과 비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종목들 분산투자 포트폴리오 최적화 (Portfolio Optimization of Diversified Investments with Minimum Risk Asset and Non-Positive Correlation Assets)

  • 이상운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03-110
    • /
    • 2022
  • 본 논문은 단일 종목에 투자금을 전액 투자하는 것에 비해 다수의 종목에 분산투자하는 것이 투자 위험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는 포트폴리오 최적화 문제를 다룬다. 널리 알려진 Markowitz의 수익률에 대한 평균-분산 기법(MV)은 위험요인인 분산(또는 표준편차)을 감소시키기 위해 지배원리를 적용하여 효율적 투자선에 있는 종목들을 대상으로 분산투자하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였다. 반면에, 본 논문에서는 최소표준편차를 가진 종목을 필수 투자종목으로 선정하고, 필수 투자종목과 비양(음의, 무)의 상관관계를 갖는 종목들을 대상으로 포트폴리오를 형성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실험한 결과 MV에 비해 보다 적은 위험(표준편차)을 보였다.

1차 확률적 지배를 하는 최대수익 포트폴리오 가중치의 탐색에 관한 연구 (An Efficient Algorithm to Find Portfolio Weights for the First Degree Stochastic Dominance with Maximum Expected Return)

  • 류춘호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53-163
    • /
    • 2009
  • Unlike the mean-variance approach, the stochastic dominance approach is to form a portfolio that stochastically dominates a predetermined benchmark portfolio such as KOSPI. This study is to search a set of portfolio weights for the first-order stochastic dominance with maximum expected return by managing the constraint set and the objective function separately. A nonlinear programming algorithm was developed and tested with promising results against Korean stock market data sets.

평균-분산 모형을 이용한 화석에너지원 소비조합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truction of an Optimal Fossil Fuel Mix: A Portfolio-Based Approach)

  • 차경수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0권2호
    • /
    • pp.335-35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Markowitz (1952)의 평균-분산 모형과 지배원리에 입각하여 원유, 석탄, 천연가스로 대표되는 화석에너지원의 최적 소비조합을 구축하려 하였다. 이를 위해 1달러당 열량으로 정의된 화석에너지원들의 편익변동을 동태은닉공통인자 모형을 이용하여 동행부분과 개별 에너지원의 특이적 수급상황에 기초한 변동으로 분해한 후, 그 결과에 기초하여 최적 화석에너지원의 최적 소비조합을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평균-분산 모형에서 최적 소비조합을 의미하는 효율적 프론티어 선상의 소비조합들에서는 사회적으로 도달 가능한 최저 수준의 원유소비 비중을 유지하면서 석탄보다는 천연가스의 소비비중을 높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추구하고 있는 원유 및 석탄의 소비비중 축소전략과도 일치하는 결과라 할 수 있으며, 원유소비의 비중축소가 화석에너지원의 소비로부터 얻을 수 있는 편익향상과 함께 편익변동에 따르는 경제활동의 불안정성을 축소시킬 수 있는 방법임을 지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PDF

퍼터베이션 방법을 활용한 평균-숏폴 포트폴리오 최적화 (Mean-shortfall optimization problem with perturbation methods)

  • 원하연;박세영
    • 응용통계연구
    • /
    • 제34권1호
    • /
    • pp.39-56
    • /
    • 2021
  • Markowitz (1952)의 분산투자 모형 발표 이후 포트폴리오 최적화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마코위츠의 평균-분산 포트폴리오 최적화 모형은 수익 분포가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가정하에서 성립한다. 그러나 실생활에서는 수익 분포가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는 경우가 존재한다. 또한 분산은 이상치의 영향을 많이 받는 민감한 지표이다. 이런 분산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하방위험인 숏폴(Shortfall)을 위험 지표로 적용함으로써 수익 분포에 대해 최적화가 가능한 평균-숏폴 포트폴리오 모형이 제안되었다. 또한 Jorion (2003)과 Park(2019)은 포트폴리오의 위험도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적은 수의 자산으로 구성(sparse)되고 안정적(stable)인 포트폴리오를 얻는 퍼터베이션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평균-숏폴 포트폴리오 모형에 퍼터베이션 방법과 adaptive Lasso를 적용하여 사용되는 자산의 수가 적으면서 안정적이고 쉽게 적용 가능한 포트폴리오 모형을 제안한다. 그리고 실증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모형의 타당성을 입증한다.

평균/VaR 최적화 모형에 의한 전환사채 주식전환 비중 결정 (Determination Conversion Weight of Convertible Bonds Using Mean/Value-at-Risk Optimization Models)

  • 박구현
    • 경영과학
    • /
    • 제30권3호
    • /
    • pp.55-70
    • /
    • 2013
  • In this study we suggested two optimization models to determine conversion weight of convertible bonds. The problem of this study is same as that of Park and Shim [1]. But this study used Value-at-Risk (VaR) for risk measurement instead of CVaR, Conditional-Value-at-Risk.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Markowitz portfolio models, which use the variance of return, our models used VaR. In 1996, Basel Committee on Banking Supervision recommended VaR for portfolio risk measurement. But there are difficulties in solving optimization models including VaR. Benati and Rizzi [5] proved NP-hardness of general portfolio optimization problems including VaR. We adopted their approach. But we developed efficient algorithms with time complexity O(nlogn) or less for our models. We applied examples of our models to the convertible bond issued by a semiconductor company Hynix.

GPD 기반의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포트폴리오 최적화 (Finding optimal portfolio based on genetic algorithm with generalized Pareto distribution)

  • 김현돈;김현태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6호
    • /
    • pp.1479-1494
    • /
    • 2015
  • 최적의 포트폴리오를 선택하기 위한 연구는 평균-분산모형을 시작으로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다. 과거에는 위험자산의 확률분포가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여, 투자자가 보유한 위험자산의 분산이 최소화되고 기대수익률이 최대가 되도록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실제 위험자산의 분포에는 극단적인 사건들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정규분포보다 훨씬 꼬리부분이 두꺼우며, 또한 왼쪽꼬리와 오른쪽꼬리가 대칭적이지도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위험자산의 확률분포를 극단치 이론에서 널리 사용되는 일반화 파레토분포 (GPD)로 모형화하였고 체계적인 위험의 추정을 위하여 VaR를 이용하는 한편, 최적의 포트폴리오의 탐색을 위해서는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제안 방법의 적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국내 증시에서 최적 포트폴리오를 탐색해 보았으며, 그 결과 GPD로 투자자산의 위험을 추정하였을 때 가장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eUCP 적용원리의 규명과 신용장거래질서 확대 개편방안의 모색 (A Theoretical Study on the Implication of Substantial Harmonization between the eUCP and UCP)

  • 김기선
    • 무역상무연구
    • /
    • 제25권
    • /
    • pp.75-98
    • /
    • 2005
  • With the advent of new customs and practice of electronic records, the eUCP provides some useful guidance to accommodate the presentation of the paper documents electronically and also provides necessary rules to allow the UCP and eUCP to work together. There is no denying the fact that many of the UCP articles are not impacted by the presentation of electronic equivalent of paper documents, so the integrated application of the UCP and eUCP will be broad enough to allow for developing practice in this area. This study discusses some theoretical implication for efficient utilization of the global usages of letter of credit through the finding of optimal solution in the state of uncertainty caused by the electronic presentation of documents. This study suggest that the decision rules be developed to show how individuals choose optimal portfolio between the eUCP and the UCP that maximize their expected utility in letter of credit transaction, and also suggest that the optimal portfolio be determined at the point of tangency between the efficient trading line and the highest indifference curve in the mean-variance plane. This study finally recommends three rebuttable doctrines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UCP and UCP such as linkage characteristics, generation lap propensity, and homothetic application rule, which may be the critical standards for understanding of the integrated usages of the eUCP and UCP.

  • PDF

효율적 거래포트폴리오의 선택에 의한 국제간 전자상거래방식의 전략적 활용방안 (Portfolio Efficient Transaction Choice Strategies based on the Global Electronic Commerce)

  • 김기선
    • 통상정보연구
    • /
    • 제3권2호
    • /
    • pp.1-16
    • /
    • 2001
  • 본 연구는 국제 간의 무역거래에 있어 전자상거래 방식이 거래의 주체들이 선택하는 거래방식 포트폴리오 내에서 어떻게 조화되고 결정되는지, 그리고 이를 전략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일반화 가능한 논리는 무엇인지를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첫째, 기대효용극대화 모형에 입각한 비교정태 분석을 통해 위험회피자로서의 효용을 갖는 거래 주체들은 총 거래 자산에 대한 한계기대효용이 영(零)이 될 때까지의 금액을 전자상거래 방식에 배분하는 거래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 둘째, 거래 주체의 기대 효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 거래 포트폴리오는 본 연구가 준용하고 있는 평균-분산 모형에 의한 효율적 거래선과 자신의 위험 회피도를 반영하는 평균-분산 무차별 곡선이 접하는 점에서 결정된다. 셋째, 국제간 전자 상거래 방식의 가치는 Rf거래방식의 수익률과 리스크 프레미엄의 두 요소에 의해서 결정되어 질 수 있는 바, 거래하고자 하는 총 부와 전자상거래 방식의 수익률이 정(正)의 상관관계가 있을 때에는 전자상거래 방식이 선택되기 위해서는 자신의 리스크를 상쇄하고도 남을 만큼의 매력도, 즉 Rf거래방식보다 더 높은 기대 수익률이 보장되어야한다. 넷째, 반면에 거래하고자 하는 총 부와 부(負)의 상관관계가 있을 때에는 수익률의 포기가 전제가 되므로 전자상거래 방식이 국제 무역거래방식에서 주된 거래조건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안정적 거래보증의 기능이 거래 주체들에게 수긍되어야 한다. 끝으로, 국제간 전자상거래 방식의 리스크 분석과 그 규모 결정 여부에 대한 궁극적 해답은 선택된 거래 포트폴리오내에서 거래되는 총 부의 수익률에 전자상거래 방식이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느냐는 척도, 즉 공분산 리스크로 평가되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