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imum residue level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7초

Residues of Diazinon in Growing Chinese cabbage: A study Under Greenhouse Conditions

  • Khay, Sathya;El-Aty, A.M. Abd;Lim, Kye-Taek;Shim, Jae-Han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4-179
    • /
    • 2006
  • Chinese cabbage, Braccica campestris has long been consumed as a staple food for Koreans in various forms of fresh, salted, and fermented Kimchi. Cultivation of the crop under greenhouse has become a general practices to fulfill its off-seasonal consumer's demand. However, agricultural practices of the crop have always accompanied with heavy applications of pesticides caused by severe outbreaks of diseases and pose under warm and humid circumferences. Since dissipation patterns of pesticide residues in/on the crop under greenhouse conditions ate quite different from those in the open-air, changes of diazinon, O,O-diethyl O-2-isopropyl-6-methylpyrimidin-4-yl phosphornthioate, in/on the Chinese cabbage applied by foliar spraying under greenhouse were studied. Diazinon 34% EC was applied with dilution of recommended and double dose to the crop. The shoots of crop were harvested immediately after this application and at regular intervals over a 10-day. After sample preparations, the diazinon residue was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 equipped with electron capture detector (GC/ECD). Initially deposited amount of the chemical in/on the crop right after applications with recommended and double doses were 8.3 and 15.2 mg/kg, respectively. The residue levels after 10 days of application were 0.03 and 0.09 mg/kg with 1.3 and 1.5 days of half-life in/on the crop, respectively. In consequent 10 days of pre-harvest interval (PHI) for diazinon EC formulation in/on Chinese cabbage under greenhouse condition was fulfill maximum residue level set by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0.1 mg/kg).

소형수도재배구중(小型水稻栽培區中) Carbofuran 의 흡수(吸收) 이행(移行) 및 잔류특성(殘留特性) (Absorption , Translocation and Residue of Carbofuran in Miniature Paddy Agrosystem)

  • 이영득;박형만;박영선;박창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1-37
    • /
    • 1987
  • 수도재배환경중(水稻栽培環境中) carbofuran의 흡수(吸收), 이행(移行) 및 잔류양상(殘留樣相)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소형수도재배구(小型水稻栽培區)를 이용(利用), carbofuran 입제(粒劑)를 2수준(水準)으로 살포(撒布)하고 시기별(時期別)로 수질(水質), 수도체(水稻體),토양(土壤) 및 수확물중(收穫物中) 잔류수준(殘留水準)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수면살포(水面撒布)한 carbofuran 입제(粒劑)는 빠른 속도(速度)로 용출(溶出)되어 수질중(水質中) carbofuran 농도(濃度)는 처리(處理) 1일이내(日以內)에 최고치(最高値)에도 달하였다. 용출(溶出)된 carbofuran은 수도체(水稻體)로 흡수(吸收), 이행(移行)되어 처리(處理) 1∼3일(日) 후(後)에 최고치(最高値)에 도달하였으며 그 이후(以後) 완만한 감소(減少) 경향(傾向)을 보였다. 수질중(水質中) carbofuran의 반감기(半減期)는 4일(日)이었고 토양중(土壤中)에서의 반감기(半減期)는 처리수준(處理水準)에 따라 8∼12일(日)이었다. 수확물중(收穫物中) carbofuran 잔류량(殘留量)은 현미(玄米)의 경우 0.01∼0.02ppm이었으며 볏짚에서는 0.37∼0.07ppm의 범위(範圍)였다.

  • PDF

배추에 살포된 몇 가지 농약제제에 따른 성분의 휘산과 비산 (Drift and Volatilization of Some Pesticides Sprayed on Chinese Cabbages)

  • 이자영;한일근;이상윤;여익현;이서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73-381
    • /
    • 1997
  • 배추 재배시 살포된 농약의 비산 휘산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유기인계인 chlorpyrifos, EPN, pirimiphos-methyl, phenthoate, 유기염소계인 tetradifon, dicofol, 피레스로이드계인 bifenthrin 농약을 이용하여 포장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들의 잔류량 분석은 다성분 분석법을 이용하였는데 농약성분에 따라 다르나 회수율은 78${\sim}$92%로 우수하였으며 표준편차도 ${\pm}0.68{\sim}3.52%$로서 재현성이 있었다. 농약의 살포량은 농약사용지침서에서 권하는 량으로 하였으며, 1차실험시에는 바람이 불어오는 첫 구간에 농약을 살포하였고, 2차 실험시에는 풍향에 관계없이 정중앙에 살포하고 방사형으로 시료를 채취하였다. 실험결과 살포농약 대부분이 비산이나 휘산으로 인해 인접 작물에 전이 잔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살포 중 비산되는 양은 농약성분과 풍향, 거리에 따라 달리 나타났으며 살포구간의 농작물 중 농약잔류량에 비하여 비살포구에서의 농작물 중 농약잔류량 비율은 3m거리에서 평균 0.66%, 6m 거리에서 0.10%, 9m 거리에서 0.05%이었고 근접지역에서는 최고 1.83%에 이르렀다.

  • PDF

Effect of Pesticide Residue in Muscle and Fat Tissue of Pigs Treated with Propiconazole

  • Jeong, Jin Young;Kim, Byeonghyeon;Ji, Sang Yun;Baek, Youl Chang;Kim, Minji;Park, Seol Hwa;Kim, Ki Hyun;Oh, Sang-Ik;Kim, Eunju;Jung, Hyunju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1022-1035
    • /
    • 2021
  • This study estimated the effect of exposure to propiconazole through implementation and residues in finishing pigs. We analyzed the expression of fibrosis-related genes and performed histological analysis of the blood, liver, kidney, muscle, ileum, and fat tissues. The animals were exposed for 28 d to different concentrations of propiconazole (0.09, 0.44, 0.88, 4.41, and 8.82 mg/kg bw/d). Quantitative, gene expression, and histological analyses in tissues were performed using liquid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real-time PCR, and Masson's trichrome staining, respectively. Final body weight did not differ among groups. However, genes involved in fibrosi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ially regulated in response to propiconazole concentrations. Glucose, alanine aminotransferase, and total bilirubin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ose in the control group, while alkaline phosphatase level was decreased (p<0.05) after exposure to propiconazole. The residue limits of propiconazole were increased in the finishing phase at 4.41 and 8.82 mg/kg bw/d. The liver, kidney, and ileum showed blue staining after propiconazole treatment, confirmed by Masson's trichrome staining.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opiconazole exposure disturbs the expression of fibrosis-related genes. This study on dietary propiconazole in pigs can provide a basis for determining maximum residue limits and a better understanding of metabolism in pigs and meat products.

Residual Level, Histology, and Blood Biochemistry of Tebuconazole: A Repeated Dose 28-Day Oral Toxicity Study in Pigs

  • Jeong, Jin Young;Kim, Minji;Park, Seol Hwa;Kim, Byeonghyeon;Oh, Sang-Ik;Kim, Eunju;Jung, Hyunju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712-722
    • /
    • 2022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sidual properties of tebuconazole-treated pigs. Twenty pig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0.25, 1.25, 2.5, 12.5, and 25 mg/kg bw/d) of tebuconazole for 28 d. Blood biochemistry, histology, and residual levels were analyzed using the VetTest analyzer, Masson's trichrome staining kit, and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respectively. The final body weigh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Alkaline phosphatase, blood urea nitrogen, cholesterol, and gamma-glutamyl transpeptidase leve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ontrol after exposure for 14 d. However, alanine aminotransferase levels showed changes only after exposure to pesticides for 28 d. The biochemical parameters were separat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14 d versus 28 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Based on variable importance plots, blood urea nitrogen/creatinine ratio, blood urea nitrogen, glucose, and gamma-glutamyl transpeptidase are candidate biomarkers for tebuconazole exposure. The residual levels were observed at T4 (12.5 mg/kg bw/d) and T5 (25 mg/kg bw/d) in the liver and fat tissues, respectively. Fibrosis increased in the liver, kidney, and fat tissues, depending on the tebuconazole concentration. In conclusion, the residue limits of tebuconazole and the physiological changes caused by dietary tebuconazole in pigs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maximum residue limits of pork and pork products.

경엽 및 관주처리에 따른 배추 중 Trifloxystrobin의 안전성 평가 (Risk Assessment of Trifloxystrobin in Chinese Cabbage by Foliar Application and Drenching)

  • 안설화;이상복;안문호;김재덕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7-31
    • /
    • 2007
  • HPLC에 의한 배추 중 trifloxystrobin의 회수율은 $84.6{\sim}95.3%$이었고 대사산물인 CGA321113의 회수율은 $86.4{\sim}87.3%$이었으며, 검출한계는 모두 0.04 mg $kg^{-1}$이었다. 경엽처리시 배추 중 trifloxystrobin 잔류량은 수확 5일과 6일전 2회 처리, 수확 3일과 7일전 3회 처리에서 모두 농약잔류허용기준(temporary MRL, 0.5 mg $kg^{-1}$)을 초과하였다. 관주처리 배추에서의 trifloxystrobin 잔류량은 기준량(1500배 희석액 주당 150 mL) 및 배량(1500배 희석액 주당 300 mL)처리에서 각각 0.16, 0.31 mg $kg^{-1}$으로 MRL 미만이었다. 따라서 살균제 trifloxystrobin(22% 액상수화제)를 사용하여 배추 재배시 농약잔류허용기준에 의하여 토양처리가 안전할 것으로 사료되며 경엽처리시 안전사용기준으로 부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시설 내 오이(Cucumis sativus L.) Penthiopyrad 재배 중 및 Pyriofenone의 잔류특성과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 설정 (Establishment of Pre-Harvest Residue Limits and Residue Characteristics of Penthiopyrad and Pyriofenone in Cucumber (Cucumis sativus L.) Under Greenhouse Condition)

  • 임수빈;김지윤;허경진;김희곤;허장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3-49
    • /
    • 2017
  • 본 연구는 시설재배 작물인 오이의 생산단계 중 penthiopyrad 및 pyriofenone의 시간경과에 따른 잔류량을 감소식으로 회귀식을 계산한 후, 생물학적 반감기를 산출함으로써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하여 농가의 안전한 농산물생산에 기여하고자 수행하였다. Penthiopyrad 및 pyriofenone는 작물보호지침서의 안전사용기준에 준하여 기준량 1회 처리하였고, 각각 포장 1과 포장 2 지역으로 나누어 처리하였다. 약제살포 2시간 후를 0일차로 하여 0, 1, 2, 3, 5, 7, 10일차에 시료를 채취하였다. 두 약제 모두 추출 및 정제를 위해 acetonitrile, dichloromethane, SPE $NH_2$ cartridge 를 사용하였고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정량한계는 0.005 mg/kg이었다. 분석정량한계의 10배, 50배 수준으로 농약을 처리하여 수행한 결과 penthiopyrad 및 pyriofenone의 회수율은 각각 92.8~.95.4%, 81.0~89.8%이었으며, 표준편차는 두 약제 모두 10% 미만이었다. 오이 중 두 약제에 대한 포장 1, 포장 2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penthiopyrad의 경우 각각 2.6일과 2.5일, pyriofenone의 경우 각각 2.5일과 2.4일로 나타났다. Penthiopyrad 및 pyriofenone의 잔류량을 바탕으로 오이 수확 10일 전 잔류량이 3.44 mg/kg, 4.63 mg/kg이하로 나타난다면 수확 시 두 약제의 잔류량은 MRL (Penthiopyrad: 0.5 mg/kg, Pyriofenone: 0.7 mg/kg) 수준 이하일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오이 중 penthiopyrad 및 pyriofenone의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된다면 오이 재배농가에서 유통단계 뿐만 아니라 생산단계에서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Aflatoxin M1 in Pasteurized Market Milk in Korea

  • Hwang, Kyu-Choon;Hwang, Joo-Yea;Kim, Hyoun-Wook;Oh, Mi-Hw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76-378
    • /
    • 2012
  • Aflatoxin M1, ingested as aflatoxin B1 via contaminated feedstuff and later converted into, is a major problematic target for milk safety control among the aflatoxin class. Korean government has controlled level of AFM1 in milk at 500 ppt as maximum residue level (MRL), and more recently, government also publicized the proposal for more strict control on fungal toxins about infant and baby foods. In this study the levels of Aflatoxin M1 (AFM1) of 42 marketed milk samples were determined with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to evaluate the status on the contamination of Aflatoxin M1. The evaluated ELISA performances of limit of detection (LOD) and th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_{50}$) were 5 pg/mL (ppt) and 49 ppt, respectively. In all 42 samples, AFM1 appeared above the 5 ppt, with the average of 21 ppt and the range of up to 90 ppt. Only 3 (7%) of samples showed the level of contamination above the EU MRL (50 ppt). Although there was incidence of higher level of contamination compared with previous reports, the result of this study requires more intensive study to control of AFM1 in milk and infant foods.

인삼의 GAP (우수농산물인증) 관련요소 분석 (Analysis of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in Panax ginseng C.A. Mayer)

  • 유용만;오세찬;성봉재;김현호;윤영남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20-226
    • /
    • 2007
  • 우리나라 인삼의 대표적 재배지인 금산군에서 GAP인삼 생산을 희망하는 10농가를 선발하여, GAP인삼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농약 및 중금속의 잔류 그리고 미생물 등의 위해요소가 오염되었는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검토 대상은 경작되고 있는 인삼을 비롯하여 인삼밭의 토양, 수질 등 3종류로 하였다. 토양에서의 농약잔류를 검사한 결과, 인삼농가 및 일반농가 토양에서 자주 사용되는 Carbendazim등 81개의 농약을 선발하여 분석하였으나, 인삼에 등록된 농약별 최대잔류허용수준을 초과하지 않고 모두 적합판정의 결과로 나타났다. 또한 인삼재배 토양에 중금속의 오염우려가 되는 비소 등8종류의 조사 하였으나 기준치 보다 적게나와 전부 적합 판정을 받았다. 한편 관개수 및 농약희석 살포 등으로 사용되는 수질을 조사한 결과도 조사된 10농가가 모두 안전하였다. 참여농가 밭에서 직접 채취한 인삼에서 24종의 농약을 분석한 결과도 적합 판정으로 나타났다. 조사농가 수삼에 존재하는 위해성 미생물 검사에서 Pantoea spp등 2종의 Gram 음성균과 1종의 그람양성균(Staphylococcus sciuri)이 동정되었으며, 일반세균 수는 $1.5{\times}10^3$ cfu/ml 로 다른 농산물보다 적은 수로 발견되었다. 따라서 이번 조사한 금산 지역에서는 GAP 인산재배 생산에 적합한 토양, 수질을 보였으며, 기존 생산한 인삼에서도 GAP 농산물 생산 기준에 적합하였다.

생산단계 참외 중 Metalaxyl-M 및 Flusilazole의 잔류허용기준 설정연구 (Determination of Pre-Harvest Residue Limits of Pesticides Metalaxyl-M and Flusilazole in Oriental Melon)

  • 김다솜;김경진;김해나;김지윤;허장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7
    • /
    • 2014
  • 본 연구는 참외에 대한 살균제 metalaxyl-M과 flusilazole의 잔류량 변화를 측정하여 약제별 잔류특성을 파악하고, 반감기를 산출함으로써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PHRL, Pre-Harvest Residue Limit)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공시 약제인 metalaxyl-M과 flusilazole은 안전사용기준에 준하여 7일 간격으로 1회, 2회살포하였으며, 살포 2시간 후를 0일차로 하여 0, 1, 2, 3, 5, 7, 9, 11일차에 수확하였고, 잔류량의 경시변화 결과를 토대로 생물학적 반감기를 산출하였다. 시료는 QuEChERS방법을 이용하여 전처리하였으며, metalaxyl-M의 경우 GC/NP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flusilazole은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참외 중 metalaxyl-M과 flusilazole의 LOQ (Limit of quantitation)는 각각 0.02 mg/kg, 0.01 mg/kg이었으며, metalaxyl-M 회수율은 95.7-103.2%이었고, flusilazole은 100.2-106.8%이었으며, 표준편차는 모두 10% 미만이었다. 참외 중 각 농약에 대한 생물학적 반감기는 flusilazole의 경우 1, 2회 처리구에서 12일이었으며, metalaxyl-M의 경우 23일이었다. 본 연구결과, metalaxyl-M 및 flusilazole의 수확 10일 전 PHRL은 각각 1.5, 0.3 mg/kg로 나타났으며, 수확 시 metalaxyl-M, flusilazole의 잔류농도는 MRL을 초과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