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imum residue level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4초

국내 수산용 의약품의 사용과 관리 현황 (Administration and use of aquaculture drugs in Korea)

  • 김진우;조미영;지보영;박명애;김나영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7-75
    • /
    • 2014
  • Aquaculture drugs have used to prevent disease in aquaculture field for many years. In spite of many advantages, overdose and abuse may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s and antibiotic resistances. Many countries try to protect the environment, biospecies and food safety. Recently, Korea enact laws and ordinances such as the Aquatic Animal Disease Control Act. The purpose of this act to contribute to the stable production and control system for aquatic diseases. The Maximum residue limits (MRLs) of aquaculture drugs have been established by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and Drug licensing was in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NFRDI) by Aquatic Animal Disease Control Act. There is 750 items in aquaculture drugs and these are classified into 4 group, which is approval, necessary for prescription, unregulated and safety drug, and banned drug. MRLs of 30 items in aquaculture drug have been established by Food Sanitation Act. Future research is required to determine the suitable for abundant varied fishes of drugs for side effects and safety.

오디 재배양식 및 지역에 따른 균핵병 방제 효과와 농약 잔류 특성 (Pest Control and Analysis of Residual Pesticides of Mulberry Fruit and Leaf against Popcorn Disease by Cultivated Type and Region)

  • 김현복;이영보;임정대;이소라;구본우;권해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435-444
    • /
    • 2020
  • Background: As the Positive List System (PLS) is implemented in broad application to agricultural products, attention to the correct use of pesticides is also needed in the production of mulberry leaves and fruit. In this regard, three types of pesticides against mulberry popcorn disease were applied 2 - 3 times both in the field and greenhouses to prepare safety standards. Residual pesticide analysis was conducted on mulberry fruits and leaves. Methods and results: Three pesticieds, thiophanate-methyl, thiophanate-methyl·triflumizole and fluopyram registered as PLS pesticides for mulberry popcorn disease, were sprayed in the Wanju and in Buan regions, after which residual pesticid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s three pesticieds were either undetected or below the permissible level in mulberry fruit, demonstrating that they were suitable for safe spraying. However, 5.6 mg/kg of thiophanate-methyl was detected in the greenhouse after three application, which was slightly above maximum residue limit (MRL). Furthermore the level of thiophanate-methyl·triflumizole was higher than 0.2 mg/kg ("Gwasang No. 2" variety, spraying twice) or similar to 0.09 mg/kg ("Daesim" variety, spraying thrice) the permissible level (0.1T mg/kg) as the thiophanate-methyl was detected in mulberry leaves in the greenhouse. Conclusions: The spraying frequency for controlling mulberry popcorn disease in greenhouses should be limited to two times or less, especially when mulberry leaves are treated with thiophanate-methyl·triflumizole careful consideration is required if the leaves are to be used as food materials.

MH 및 FA이 황색종 잎담배의 몇가지 대사산물 변화에 미치는 영향 I. MH 흡수율과 잔류량 및 Alkaloid함량의 변화 (Effect of MH and FA on the Change of Several Metabolites in Flue-cured Tobacco (Nicotiana tabacum L.) I. MH Absorption Ratio, Change of MH Residues and Alkaloid contents)

  • 한상빈;육창수;조성진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5-151
    • /
    • 1993
  • Using a flue - cured tobacco variety, KF lH9, recently bred and released to farming, effect of growth regulators(fatty alcohol and C - MH) on the change of alkaloid contents and dynamics of MH uptake and distribution were investigated. An efficient sucker control method was also pursued. Treatment of fatty alcohol at button stage remarkably increased the rate of C - MH uptake. However, except in the plants treated with 2- fold volume of C - MH, residue of C -MH was kept under maximum residue level(80 ppd). C - MH residue in stalk was higher than in foliage in general. Compared to untreated control, leaf weight per unit area was increased by the treatment even in lower leaves where vigorous transfer of C - MH from treated tips was indicated and sucker control higher than 94.9% was achieved with all treatments except for sole half volume C - MH treatment at topping stage. Alkaloid content in foliage was reduced by dual treatment of fatty alcohol and C - MH but increased in stalk and root.

  • PDF

농산물 중 유기염소계 잔류 농약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Level of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Products)

  • 엄미나;장재철;정진아;유영희;지의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46-456
    • /
    • 2001
  • 2000년 7월부터 2000년 10월까지 경기도 지역에 유통중인 17종의 농산물 397건에 대해 안전성을 확보하고 보건위생상 위해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유기염소계 13종을 GC/ECD와 GC/MSD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 농산물 397건 중 endosulfan이 31건(7.8%) 검출되었으며 chlorothalonil이 4건(1.0%) 검출되었다. 농약의 검출범위는 endosulfan 의 경우 상추는 3.7437~0.0488ppm, 시금치 2.1902~0.1423ppm, 아욱 2.4909~0.0786ppm과 겨자잎에서 3.2333~0.3997ppm이었다. Chlorothalonil은 상추에서 5.8097ppm과 시금치에서 0.8962ppm이었다. 잔류허용 기준을 초과하는 농산물은 endosulfan이 5건(1.8%)이었으며 chlorothalonil은 1건(0.3%)이었다. Endosulfan은 산화물 형태인 endosulfan sulfate(45.9%)가 $\alpha$-endosulfan(28.5%) , $\beta$-endosulfan(23.9%)보다 높게 나타나, 농약이 식물체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양보다 식물체 내에 흡수되어 있는 양이 더 많이 잔재할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 PDF

취나물에 사용하는 Methoxyfenozide 및 Novaluron의 생산단계 농약잔류허용기준 연구 (Study of Pesticide Residue Allowed Standard of Methoxyfenozide and Novaluron on Aster scaber during Cultivation Stage)

  • 홍지형;임종성;이초롱;한국탁;이유리;이규승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8-14
    • /
    • 2011
  • 취나물 재배 중 methoxyfenozide 및 novaluron을 살포하고, 0일부터 10일까지 총 7회 시료를 채취하였다. methoxyfenozide와 novaluron온 methanol로 추출한 후 dichloromethane으로 분배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0.4\;mg{\cdot}kg^{-1}$$2\;mg{\cdot}kg^{-1}$수준에서 methoxyfenozide의 평균회수율은 $102.5{\pm}3.03%$$84.4{\pm}2.82%$이었고, novaluron은 $88.7{\pm}2.32%$$90.6{\pm}4.50%$이었다. 재배기간 중 methoxyfenozide의 기준량 잔류반감기는 3.99일이고 novaluron은 3.16일 이었다. 증제량에 따른 희석효과를 배제한 잔류감소곡선은 novaluron의 경우 잔류량 감소의 주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았다. Methoxyfezide와 novaluron을 안전사용기준에 따라 처리시, 최종잔류농도는 MRL이하로 떨어질 것으로 계산된다.

식품 중 테트라싸이클린계 항생물질의 분석 (Determination of tetracycline antibiotics in food)

  • 최동미;정지윤;장문익;임무혁;박건상;홍무기
    • 분석과학
    • /
    • 제18권3호
    • /
    • pp.250-256
    • /
    • 2005
  •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여 동물성 식품 중 테트라싸이클린계 항생물질의 동시분석을 시도하였다. 대상물질은 동물의 질병치료.예방, 성장촉진 및 사료효율 개선에 널리 사용되는 클로르테트라싸이클린, 독시싸이클린, 옥시테트라싸이클린 및 테트라싸이클린이었으며, 대상식품은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우유, 계란, 넙치, 우럭, 참돔, 뱀장어 및 바다가재이었다. 시료를 McIlvaine 완충액 및 20% 삼염화초산으로 추출한 후 $C_18$ 카트리지로 정제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피로 분석하였다. 이동상으로는 0.01M 수산과 아세토니트릴의 혼합용액을 85:15에서 60:40까지 기울기로 사용하였으며 UV의 검출파장은 365 nm 이었다. 평균 회수율은 71-98% 이었으며, 검출한계는 신호대 잡음비 3 이상에서 클로르테트라싸이클린은 0.022, 독시싸이클린은 0.012, 옥시테트라싸이클린은 0.012 및 테트라싸이클린은 0.009 mg/kg이었다. 대부분의 시료에서 클로르테트라싸이클린, 독시싸이클린 및 테트라싸이클린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돼지고기, 넙치 및 참돔(2시료)에서 옥시테트라싸이클린이 각각 0.04, 0.17, 0.05 및 0.08 mg/kg로 모두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지 않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고추 부위별 chlorothalonil, kresoxim-methyl 및 procymidone 농약성분의 잔류 분포 (Residue Distribution of Chlorothalonil, Kresoxim-methyl and Procymidone among Different Parts of Hot Pepper Plants)

  • 이미경;황재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722-726
    • /
    • 2009
  • Chlorothalonil, kresoxim-methyl 및 procymidone 농약성분은 고추 과육 대 꼭지에서의 잔류농도의 비율이 농약성분에 따라 1:2-5로서 고춧가루에 꼭지가 혼입될 경우 고춧가루 중 농약 잔류량이 약 20%만큼 상승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고춧가루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고춧가루 제조 시 꼭지가 혼입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고추 과육 대 고춧잎에서는 실험 농약성분 3종의 잔류농도 비율이 농약성분에 따라 1:11-39로 나타났다. 이것은 현재 실험 농약 3종의 고춧잎에 대한 잔류허용기준의 비설정 조치가 기준 설정 여부의 판단기준에 부합되는 것임을 말한다. 그러나 chlorothalonil 수화제의 경우 고춧잎 식용금지 문구가 부재한데 이것은 식용금지 문구 포함 여부의 판단기준에 부합되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HPLC-UVD/MS를 이용한 농산물 중 ametryn의 분석 (Determination of Ametryn Residue in Agricultural Commodities Using HPLC-UVD/MS)

  • 이수진;김영학;송이슬;정명근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5-133
    • /
    • 2011
  • 국내 미등록 농약인 triazine계 제초제인 ametryn에 대해 HPLC-UVD/MS를 이용한 농산물 시료의 잔류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농산물 시료에 acetone을 가하여 추출된 ametryn의 잔류분은 dichloromethane 분배법과 florisil 흡착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분석대상 시료로 하였다. $C_18$ 컬럼을 이용한 HPLC 분석 시 불순물의 간섭은 없었으며, 대표 농산물 중 ametryn의 분석정량한계(LOQ)는 0.02 mg/kg이었다. 전체 농산물에 대한 회수율은 81.1~91.1%였으며, 농산물 시료 및 처리수준에 관계없이 10%미만의 분석오차를 나타내어 잔류분석 기준이내를 만족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립한 triazine계 제초제인 ametryn의 잔류분석법은 검출한계, 회수율 및 분석오차 면에서 국제적 분석기준을 만족할 뿐만 아니라, LC/MS SIM을 이용한 잔류분의 재확인과정 및 회수율 검증의 결과를 총괄해 볼 때 분석과정의 편이성 및 신뢰성이 확보된 공정분석법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정렬된 잔기 사이의 최대거리와 유사도 그래프에 기반한 단백질 구조 정렬 (Protein Structure Alignment Based on Maximum of Residue Pair Distance and Similarity Graph)

  • 김우철;박상현;원정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4권5호
    • /
    • pp.396-408
    • /
    • 2007
  • 최근 인간 게놈 프로젝트를 통해서 인간의 DNA가 해석된 이후 유전자가 생성하는 단백질의 기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단백질의 기능은 서열의 유사도보다는 진화과정 상에서 잘 보존되는 구조의 유사도에 더 연관되어 있다. 이를 통해 두 개의 단백질 간에 구조 유사성이 관찰되면 이로부터 이들이 유사한 생물학적 기능을 가질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유사한 단백질 구조를 가진 단백질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 단백질 구조 정렬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유사도로 주로 RMSD(Root Mean Square Deviation)를 사용했기 때문에 두 단백질의 정렬 결과가 유사한지 흑은 유사하지 않은지를 직관적으로 판단하기 쉽지 않다. 또한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정렬 결과로 최적의 정렬 결과 하나만을 찾기 때문에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지는 사용자들을 만족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유사도인 MRPD(Maximum of Residue Pair Distance)와 다수의 정렬 결과를 하나의 그래프로 표현하는 SG(Similarity Graph)을 기반으로 여러 가지 정렬 결과를 한 번에 생성하는 단백질 구조 정렬 방식을 제안한다. 단백질 정렬에 MRPB를 유사도로 사용하면 RMSD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유사 정도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신속하게 결과를 얻을 수 있다. SG는 사용자가 다양한 후보 정렬 결과들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정렬결과를 신속히 검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단백질 구조 정렬 알고리즘은 다양한 길이에 따른 다수의 최적 정렬들을 제시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다수의 정렬결과 검색임에도 불구하고 정렬 시간은 기존 방법들과 거의 비슷하다는 장점이 있다.

착색단고추 시설재배시 에토프 입제의 처리방법별 잔류특성 (Residual properties of ethoprophos with treatment methods in sweet pepper under greenhouse condition)

  • 김진배;송병훈;이수형;남홍식;손경애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2-116
    • /
    • 2004
  • 시설하우스에서 재배되고 있는 착색단고추에 대한 ethoprophos의 잔류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흡수와 휘산의 조건으로 비교 시험한 결과 양액관주에 의한 흡수 시험시 처리 후 10일경에는 열매중 잔류량이 피망의 잔류허용기준(0.02 ppm)에 근접하였으며, 30일 후에 최고 0.06 ppm 이었고 40일 후 까지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는 경향을 보였다 휘산에 의한 영향은 밀폐된 시험장치의 지표면에 농약을 처리 후 휘산되는 ehopophos가 열매에 부착되어 72시간 후에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였고 최고 0.62 ppm까지 검출되어 휘산에 의해서도 잔류량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착색단고추 재배기간에 시설내의 해충 방제를 위해 에토프입제를 사용할 경우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