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urity Model

검색결과 514건 처리시간 0.027초

Improvement of the Automobile Control Software Testing Process Using a Test Maturity Model

  • Jang, Jin-Wook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4권3호
    • /
    • pp.607-620
    • /
    • 2018
  • The problem surrounding methods of implementing the software testing process has come under the spotlight in recent times. However, as compliance with the software testing process does not necessarily bring with it immediate economic benefits, IT companies need to pursue more aggressive efforts to improve the process, and the software industry needs to makes every effort to improve the software testing process by evaluating the Test Maturity Model integration (TMMi). Furthermore, as the software test process is only at the initial level, high-quality software cannot be guaranteed. This paper applies TMMi model to Automobile control software testing process, including test policy and strategy, test planning, test monitoring and control, test design and execution, and test environment goal. The results suggest improvement of the automobile control software testing process based on Test maturity model.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 IT organization's test process improve method.

EA 성숙도 모델의 적용 사례분석 및 개선방안 (An Improvement Study of EA Maturity Models based on a Case Application Analysis)

  • 이석균;이영민;류성열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9-71
    • /
    • 2009
  • Korean government has operated EA by the act on efficient introduction of information system and operation. etc. But the utilization and the evaluation system for EA don't prepare well. In this study. we analyzed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of EA maturity models that is developed by some domestic and foreign government departments in logical view. and then we derive evaluation scopes and factors of the models. Also. we applied the models to EA maturity for the B organization and measured maturity levels. We identify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the models. We propose evaluation scopes, levels and factors between the models and solutions for evaluation ambiguity by evaluators and maturity improvement through the identified results.

SSE-CMM 기반 기술적 보안 성숙도 수준 측정 모델 연구 (A Study on Models for Technical Security Maturity Level Based on SSE-CMM)

  • 김점구;노시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25-31
    • /
    • 2012
  • 정보보호수준 검증방법은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정보보호 제품, 시스템, 서비스를 개발하려는 조직의 개발능력을 평가하는 SSE-CMM(System Security Engineering-Capability Maturity Model)모델이 있다. CMM은 소프트웨어 개발업자의 개발능력을 평가하고 개선시키며 조직 전체의 성숙도 수준을 측정하는 모델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보안엔지니어링 프로세스의 개선과 능력을 평가하는데 조직차원이 아닌 개별 프로세스의 능력수준 평가에 그치고 있다. 본 연구과제에서는 이들 기존연구를 근간으로 기술적 관점에서 정보보호수준 성숙단계를 정의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정보보호취약점 진단, 기술보안체계 검증, 기술보안 이행실태 진단으로 구성한다. 제안하는 방법론은 업무현장에서의 범위와 수준에서 정보시스템의 현재 상태, 취약점 실태, 정보보호 기능 이행과 기능만족도 수준을 평가한다. 제안된 방법에 의한 평가결과는 정보보호 개선대책 권고모델 수립 근거로 활용하여 정보보호 개선의 활용을 목표로 하고 있다.

미래 제조시스템 성숙도평가 프레임워크 (Framework for Assessing Maturity of Future Manufacturing System)

  • 이정철;장태우;박종경;황규선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5-178
    • /
    • 2019
  • 스마트공장 등으로 변화하는 경쟁 환경 속에서 제조시스템의 현 수준을 측정하고 개선 목표와 과제를 도출, 추진하여 제조경쟁력의 수준을 높이는 것이 기업의 기본적 활동이 되고 있다. 그러나 기업의 미래 제조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구성요소 분석과 성숙도평가에 관한 연구는 부분적으로 진행되고 있고 초기단계에 있다. 본 연구는 제조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모델, 개발프로세스, 프레임워크 등에 대한 기존 연구를 분석하였다. 또한 스마트공장 관련 성숙도평가 연구들을 통해 미래 제조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을 도출하여 구조모델을 설계하였다. 평가모델, 변환모델까지 포함하는 메타모델을 설계하고 프레임워크 개발 프로세스를 도출하여 미래 제조시스템의 성숙도평가를 위한 통합적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또한 실제 스마트공장 평가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제시된 프레임워크는 미래 제조시스템의 성숙도평가를 위한 기반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중회귀모형을 이용한 수완부 골성숙도의 추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estimating skeletal maturity of hand-wrist using multiple regression model)

  • 김경호;유형석;김석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853-864
    • /
    • 1997
  • 성장의 잠재력에 대한 평가는 개체의 성숙도를 나타내는 여러 생리학적 지표(physiologic indicators)들에 의해 이루어지며 그 중 골성숙도(skeletal maturity)는 성적성숙도(serual maturity)와 신장의 성장변화와 밀접 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치아발육과의 상관관계에 대해선 논란이 많은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하악 견치를 포함한 일부 치아의 발육이 골성숙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7세에서 15세까지의 한국인 남, 녀 아동 387명 의 수완부 방사선 사진과 파노라마 사진을 이용하여 Fishman 방법과 Greulich와 Pyle 방법에 의해 골성숙도를 평가하였으며 변형된 Demirjiran방법에 의해 치아의 성숙도를 평가하여, 수완부 방사선 사진의 도움 없이 골성숙도를 추정할수 있는 방법을 구하고자 다중회귀모형을 이용한 수완부 골성숙도의 추정에 관한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성숙 지수의 추징을 위한 아래의 다중회귀모형은 84%의 설명력을 나타내며 연대연령, 성별, 하악 견치의 회귀계수는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다. 골성숙 지수 = 0.60x연대연령 - 1.67x성별 + 0.88x하악 견치 - 0.05x하악 제2대구치 - 10.3 2. 골연령의 추정을 위한 아래의 다중회귀모형은 87%의 설명력을 나타내며 연대연령, 성별, 하악 견치의 회귀계수는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다. 골연령 = 0.75x연대연령 - 0.55x성별 + 0.71x하악 견치 + 0.09x하악 제2대구치 - 5.77 (성별: 남자=1, 여자=0., 하악 견치, 제2대구치 : 각 발육단계별 평균연령)

  • PDF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이용한 고등학생의 진로 성숙도 관련 요인 분석 (A Prediction Model of Factors related to Career Maturity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 서지영;김민주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95-102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career maturity amo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design was adopted using secondary data from the 2012 Korean Welfare Panel Study (KoWePS). The participants were 496 high school students who completed the supplemental survey for children, which included items on career maturity, self-esteem, study stress,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parents, peer attachment, depression and anxiety. Descriptive statistics, the chi-square-test, the t-test, and a decision tree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 decision tree identified five final nodes predicting career maturity after forcing self-esteem as the first variable. The highest predicted rate of high career maturity was associated with high self-esteem, experience of career counseling, and high teacher attachment. The lowest predicted rate of high career maturity was associated with low self-esteem and low attachment to friends. Conclusion: Factors influencing career maturity were varied by levels of self-esteem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fferent approaches to enhance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levels of self-esteem.

이러닝 지원정책 활용성숙도 분석을 통한 정책 효과성 제고 방안 (Measures for e-Learning Policy Effectiveness Improvement through Analysis of Maturity of Korean Policy Application)

  • 노규성;박상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11-19
    • /
    • 2013
  • 본 연구는 한국 정부의 이러닝 기술개발(R&D) 지원 정책에 대한 이러닝 공급업체의 정책 활용 성숙도를 분석하고, 기업 경영상 애로사항이 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정책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12년 이러닝 산업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실태조사 자료 중 정부의 정책에 대한 기업의 인지, 경험, 향후 이용의향 설문 항목을 활용하여 6단계의 성숙도 모델이 도출이 되었으며, 이에 대한 운영, 기술개발, 마케팅 등 경영상 애로사항이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이러닝 업체들은 자금 관리, 개발 기술의 사업화에 어려움이 많을수록 기술개발 지원정책 활용 성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원 정책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상관관계를 통한 조직의 테스트 프로세스 개선 가이드 방안 (Guideline for Test Process Improvement of Test Organization Through Correlating TMMi with TPI NEXT)

  • 김기두;박용범;김영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2권12호
    • /
    • pp.823-82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기본적인 TMMi 레벨 인증으로부터 정형화된 올바른 테스트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높이고자 한다. 조직의 테스트 성숙도 수준 평가 모델인 TMMi과 테스트 프로세스를 개선 모델인 TPI NEXT의 분석을 통해 상관 관계도를 제안하고, 그 기반에서 조직의 테스트 성숙도 측정으로 테스트 프로세스 향상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의 테스트 성숙도 상호관련 메트릭의 보완 및 개선 통해 성숙도 측정을 도식화 한다. 제한된 레벨 수준의 사례로 TMMi와 TPI NEXT의 상관 관계도와 보완한 테스트 성숙도 상호관련 메트릭을 통해 조직의 테스트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가이드를 보여준다.

진로성숙도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A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career maturity)

  • 이정민;박철용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2호
    • /
    • pp.333-342
    • /
    • 2012
  •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결정효능감과 진로정체감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이 세 가지 요인들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대구 소재의 3개 대학의 재학생 259명이다. 진로결정효능감은 취업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음의 영향이, 진로성숙도에 간접적인 양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정체감은 취업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음의 영향이, 진로성숙도에 간접적인 양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취업스트레스는 진로성숙도에 직접적인 음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보호 산업의 기술성숙도에 따른 비즈니스 모델 상관성 분석 (Business model correlat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technology maturity of the information security industry)

  • 임헌욱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65-171
    • /
    • 2019
  • 국내 정보보호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어 정보보호 산업의 발전을 위해 성장성이 우수한 비즈니스 모델을 찾아 보안산업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보보호 산업의 주요 생산품을 유사한 업종별로 구분하여 종속변수로 정하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기술성숙도에 따라 구분하였으며, 독립변수는 매출액, 사원수, 업력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결과 86개 기업 대상 평균 매출액은 87.98억원, 업력은 13.51년, 사원수는 64.3명 이었으며, SPSS 통계분석 결과 기술성숙도에 따른 업종과 매출액의 상관관계는(r = -.729) 유의수준 5%이내에서 상관이 있으며, 회귀분석 결과 (p=.047 < 0.05)는 유의미하였다. 따라서 기술성숙도에 따른 업종 분류와 매출액은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