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rix Metalloproteinase(MMP)

검색결과 634건 처리시간 0.029초

The Potential Roles of Cyclooxygenase-2 and Matrix Metalloproteinase-9 in Cytomegalovirus-Infected Atherosclerotic Aorta and Coronary Artery

  • Eom, Yong-Bi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23-131
    • /
    • 2003
  • Inflammation appears to have a major role in the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Cyclooxygenase-2 (COX-2) is involved in the inflammatory response via the generation of prostanoids that, in turn, are involved in the produc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a vascular infection with cytomegalovirus (CMV) may induce a chronic inflammatory reaction and activated inflammatory cells may express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cyclooxygenase-2 (COX-2) and matrix metalloproteinases-9 (MMP-9). To confirm the hypothesis,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s for CMV late antigen, COX-2, MMP-9, macrophage, and T-lymphocyte were performed on CMV-infected atherosclerotic lesions. The immunoreactivity for COX-2 and MMP-9 was evident in all cases of atherosclerosis along with plaques, mainly in macrophages/foamy cells, intimal and medial smooth muscle cells, and endothelial cells of the intima. Within the intima, the increased immunoreactivity for COX-2 and MMP-9 was colocalized to the area stained with CMV late antigen. Sections from control specimens showed no immunoreactivity for CMV late antigen, COX-2 and MMP-9. These data seem to support the hypothesis that CMV may participate in a pathogenetic mechanism for atherogenesis or progression of atherosclerosis.

  • PDF

신세포암종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9 발현의 분석 (Analysis of Matrix Metalloproteinase-9 Expression in Renal Cell Carcinoma)

  • 김지윤;박동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3권1호
    • /
    • pp.82-89
    • /
    • 2006
  • 최근 여러 종양에서 단백분해효소의 분비와 암의 악성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이를 신세포암종 환자의 예후 측정인자로 사용하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제 4형 collagenase 중 대표적인 MMP-9의 발현정도를 정상 신조직과 신세포암종 조직에서 비교하였고, 또 암의 침윤 및 전이정도와의 관계와 다른 임상적 인자들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암의 단계적 진행과정에서의 MMP-9의 발현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정상 신 조직에 비해 신세포암종 조직에서 MMP-9의 발현이 증가되며 암의 크기가 크고 혈관침범이 있으며 병기가 높을수록 MMP-9의 발현이 증가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MMP-9 발현의 증가가 신세포암종의 발생과정 및 암의 후기 진행에 관여함을 시사하므로 향후 신세포암종의 예후척도로 사용되어 치료방침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Over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11 in Thai Prostatic Adenocarcinoma is Associated with Poor Survival

  • Nonsrijun, Nongnuch;Mitchai, Jumphol;Brown, Kamoltip;Leksomboon, Ratana;Tuamsuk, Pany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5호
    • /
    • pp.3331-3335
    • /
    • 2013
  • Background: The incidence of prostate cancer, one of the most common cancers in elderly men, is increasing annually in Thailand. Matrix metalloproteinase 11 (MMP-11) is a member of the extracellular matrix metalloproteases which has been associated with human tumor progression and clinical outcome. Aim: To quantify MMP-11 expression in prostatic adenocarcinoma tissues and to determine whether its overexpression correlates with survival outcome, and to assess its potential as a new prognostic marker. Materials and Methods: Expression of MMP-11 was analyzed using immunohistochemistry in 103 Thai patients with prostatic adenocarcinoma. Overall survival was analyzed using Kaplan-Meier methods and Cox regression models. Results: Immunoreactivity of MMP-11 was seen in the stroma of prostatic adenocarcinoma tissue samples, high expression being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oor differentiation in Gleason grading, pathologic tumor stage 4 (pT4), and positive-bone metastasis (p<0.05), but not age and prostatic-specific antigen (PSA) level. Patients with high levels of MMP-11 expression demonstrated significantly shorter survival (p<0.001) when compared to those with low levels.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MMP-11 expression and pT stage were related with survival in prostatic adenocarcinoma [hazard ratio (HR)=0.448, 95% confidence interval (95%CI)=0.212-0.946, HR=0.333, 95%CI=0.15-0.74, respectively]. Conclusions: Expression of MMP-11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rvival in prostatic adenocarcinoma. High levels may potentially be used for prediction of a poor prognosis.

Matrix Metalloproteinase-9 as a Prognostic Factor in Gastric Cancer: A Meta-Analysis

  • Zhang, Qiong-Wen;Liu, Lei;Chen, Ru;Wei, Yu-Quan;Li, Ping;Shi, Hua-Shan;Zhao, Yu-We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6호
    • /
    • pp.2903-2908
    • /
    • 2012
  • Background: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is associated with disruption of basement membranes of blood vessels and promotion of metastasis through the lymphatics. However, its prognostic value for survival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remains controversial. Method: We therefore conducted a meta-analysis of the published literature in order to clarify the impact of MMP-9. Clinical studies were selected for further analysis if they provided an independent assessment of MMP-9 in gastric cancer and reported analysis of survival data according to MMP-9 expression. Results: A total of 11 studies, covering 1700 patients, were included for meta-analysis. A summary hazard ratio (HR) of all studies and sub-group hazard ratios were calculated. The combined HR suggested that a positive MMP-9 expression had an impact on overall survival: 1.25 (95% confidence interval 1.11-1.40) in all eligible studies; 1.13 (1.06-1.20) in 8 studies detecting MMP-9 by immunohistochemistry; 1.36 (1.12-1.65) in 7 studies from Asia. Only one study for DFS showed a significant impact on disease free survival (HR 1.73, 95%CI 1.27-2.34).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ed that MMP-9 protein expression might be a factor for a poor prognosis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However, the association was rather weak, so that more prospective studies should further explore the prognostic impact of MMP-9 mRNA and correlations between MMP-9 and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Treponema lecithinolyticum lipopolysaccharide에 의한 matrix metalloproteinase-9의 발현 (Effect of Treponema lecithinolyticum lipopolysaccharide on matrix metalloproteinase-9 expression)

  • 남정아;문선영;이진욱;차정헌;최봉규;유윤정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5권3호
    • /
    • pp.675-685
    • /
    • 2005
  • Bone resorption involves sequential stages of osteoclast precursor mig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osteoclast precursors into multinucleated osteoclasts. Stromal cell derived factor (SDF)-1 is a chemotactic factor for osteoclast precursor migration. Matrix metalloproteinase (MMP)-9 is involved in migration of osteoclast precursors and activation of $interleukin(IL)-1{\beta}$. Alveolar bone destruction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periodontal disease. Treponema lecithinolyticum is a oral spirochete isolated from the periodontal lesions. The effect of lipopolysaccharide(LPS) from T. lecithinolyticum on expression of SDF-1 and MMP-9 was examined in cocultures of bone marrow cells and osteblasts derived from mouse calvariae. T. lecithinolyticum LPS increased expression of MMP-9 in the coculture. Polymyxin B, an inhibitor of LPS, abolished the increase of MMP-9 mRNA expression by LPS. LPS did not increase the expression of SDF-1, $IL-1{\beta}$ and tumor necrosis $factor(TNF)-{\alpha}$ mRNA in cocultures. Prostaglandin $E_2(PGE_2)$ up-regulated the expression of MMP-9 and NS398, an inhibitor of $PGE_2$ synthesis, down-regulated the induction of MMP-9 expression by T. lecitbinolyticm L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 lecitbinolyticm LPS increases MMP-9 expression in bone cells via $PGE_2$ and that the induction of MMP-9 expression by T. lecitbinolyticm LPS is involved in alveolar bone destruction of periodontitis patients by the increase of osteoclast precursor migration and the activation of bone resorption-inducing cytokine.

삼출성 흉수에서 기질 금속단백분해효소-1과 금속단백분해효소의 조직억제제-1 (Matrix Metalloproteinase-1 and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1 levels in Exudative Pleural Effusions)

  • 조재화;남정현;이금호;윤병갑;류정선;곽승민;이홍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5호
    • /
    • pp.517-521
    • /
    • 2005
  • 배 경 : 흉수에서 기질 금속단백분해효소(MMP)와 금속단백분해효소 조직억제제(TIMP)는 감염과 면역질환의 병인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저자들은 삼출성 흉수에서 MMP-1과 TIMP-1의 발현에 대한 측정을 하였다. 방 법 : 결핵성 흉막염 33예, 악성흉수 17예, 심부전 또는 간경화 흉수환자 5예의 흉막천자액에서 세포분석, 생화학적 분석을 하였고, 효소면역측정방법으로 MMP-1과 TIMP-1(Biotrack$^{TM}$, Amersharm Pharmacia Biotech, Freiburg, FRG)를 측정하였다. 결 과 : 흉수 MMP-1은 결핵성 흉수(n=33, $12.1{\pm}8.8ng/mL$)가 악성 흉수(n=17, $4.8{\pm}4.0ng/mL$)나 누출액(n=5, $2.6{\pm}1.5ng/mL$)보다 높았다(p=0.002). 흉수 TIMP-1은 결핵성 흉수(n=23, $110.9{\pm}38.2{\mu}g/mL$)가 누출성 흉수(n=5, $53.7{\pm}21.8{\mu}g/mL$)보다 높았고(p=0.004), 악성 흉수(n=17, $90.2{\pm}39.8{\mu}g/mL$)도 누출성 흉수보다 높았으나(p=0.039), 결핵성 흉수와 악성 흉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32). 결 론 : 흉수 MMP-1, TIMP-1는 결핵성 흉막염에서 심부전이나 간경화 흉수보다 높았다.

인간 자궁경부암세포인 Caski세포에서 withaferin A에 의한 PMA 매개 matrix metalloproteinase-9의 발현 억제 효과 (Withaferin A Inhibits PMA-Induced MMP-9 Expression in Human Cervical Carcinoma Caski Cells)

  • 김동은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55-360
    • /
    • 2013
  • Withaferin A는 Withania somnifera라는 식물에서 추출한 스테로이드 락톤으로 항염증, 항암, 그리고 면역중재 작용과 같은 다양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withaferin A에 의한 MMP-9의 발현 및 활성화 조절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withaferin A가 인간 자궁경부암세포인 Caski세포에서 PMA 매개의 MMP-9의 발현과 활성화를 조절 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Withaferin A는 농도의존적으로 PMA유도 MMP-9의 활성을 억제하였고, MMP-9의 promoter assay를 통하여 전사단계에서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Withaferin A 의한 PMA 유도 MMP-9의 mRNA와 단백질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withaferin A에 의한 MMP-9 발현 조절 전사인자로는 NF-${\kappa}B$가 관여함을 확인하였다. Withaferin A는 PMA에 의한 세포이동을 억제하였는데, 이러한 현상은 MMP-9의 발현 및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일어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Mangiferin inhibits tumor necrosis factor-α-induced matrix metalloproteinase-9 expression and cellular invasion by suppressing nuclear factor-κB activity

  • Dilshara, Matharage Gayani;Kang, Chang-Hee;Choi, Yung Hyun;Kim, Gi-Young
    • BMB Reports
    • /
    • 제48권10호
    • /
    • pp.559-564
    • /
    • 2015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angiferin on the expression and activity of metalloproteinase (MMP)-9 and the invasion of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stimulated human LNCaP prostate carcinoma cells. Reverse-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mangiferin significantly reversed TNF-$\alpha$-induced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MMP-9 expression. Zymography data confirmed that stimulation of cells with TNF-$\alpha$ significantly increased MMP-9 activity. However, mangiferin substantially reduced the TNF-$\alpha$-induced activity of MMP-9. Additionally, a matrigel invasion assay showed that mangiferin significantly reduced TNF-$\alpha$-induced invasion of LNCaP cells. Compared to untreated controls, TNF-$\alpha$-stimulated LNCaP cell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nuclear factor-${\kappa}B$ (NF-${\kappa}B$) luciferase activity. However, mangiferin treatment markedly decreased TNF-$\alpha$-induced NF-${\kappa}B$ luciferase activity. Furthermore, mangiferin suppressed nuclear translocation of the NF-${\kappa}B$ subunits p65 and p50. Collectively, our results indicate that mangiferin is a potential anti-invasive agent that acts by suppressing NF-${\kappa}B$-mediated MMP-9 expression.

무균성 뇌수막염 소아에서 뇌척수액내 Matrix Metalloproteinase(MMP)-9과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TIMP)-1의 증가 (Increased Matrix Metalloproteinase-9 and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1 Levels in the Cerebrospinal Fluid from Children with Aseptic Meningitis)

  • 양주희;박민혁;심정연;정혜림;박문수;금동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6호
    • /
    • pp.548-553
    • /
    • 2003
  • 목 적 : 뇌수막염에서 MMP-9은 뇌혈관 내피하 기질막을 분해하여 혈관-뇌장벽을 파괴하는데 주된 역할을 담당하며 TIMP-1은 MMP-9의 전효소와 복합체를 형성하여 MMP-9의 작용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인자로 알려져 있으나 이들의 상호작용은 아직 밝혀진 바가 별로 없다. 최근 세균성 뇌수막염 환자의 뇌척수액에서 MMP-9과 TIMP-1 측정에 대한 연구가 있었고, 특히 세균성 뇌수막염에서 신경학적 합병증의 예후인자와 관련하여 MMP-9의 역할에 대한 보고들이 있었으나 아직 무균성 뇌수막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보고는 별로 없었고 특히 국내에서 보고된 바는 없었다. 이에 저자들은 무균성 뇌수막염 환아의 혈액과 뇌척수액에서 MMP-9과 TIMP-1의 농도를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하고, MMP-9과 TIMP-1 및 다른 뇌수막염 관련인자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2년 6월부터 7월까지 강북삼성병원 소아과 내원환자 중 발열과 뇌막자극증상을 보인 40명의 환아들을 대상으로 뇌척수액 검사를 시행하여, 무균성 뇌수막염 소견을 보인 25명을 뇌수막염군, 정상소견을 보인 14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입원당일 혈액과 뇌척수액을 채취하여 혈액에서 백혈구수를 측정하고, 뇌척수액에서 백혈구수와, 당, 단백농도 및 뇌압을 측정하였다. 나머지 혈액 및 뇌척수액 검체는 실온에서 10분간 2,000g으로 원심분리하여 영하 70도에서 보관후 sandwich ELISA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검체에서 일시에 MMP-9과 TIMP-1의 농도를 정량하였다. 결 과 : 뇌척수액 MMP-9과 TIMP-1 농도는 뇌수막염군에서 의미있게 증가되었고(P<0.05), 혈청 MMP-9과 TIMP-1 농도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뇌척수액 MMP-9과 TIMP-1은 서로 의미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_s=0.42$, P<0.05), 뇌척수액 MMP-9/TIMP-1 비율은 대조군에 비해 무균성 뇌수막염군에서 의미있게 증가되었다(P<0.05). 뇌척수액 MMP-9과 TIMP-1은 뇌척수액 총백혈구수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_s=0.43$, P<0.05, $r_s=0.48$, P<0.05). 뇌척수액 TIMP-1은 뇌척수액 단백 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_s=0.43$, P<0.05). 결 론 : 무균성 뇌수막염 환아의 급성기 뇌척수액에서 MMP-9과 TIMP-1이 의미있는 증가를 보였고, 뇌척수액 TIMP-1은 정상군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보이고 있어 MMP-9과 TIMP-1은 각각 뇌혈관장벽의 파괴와 유지에 관여한다고 생각된다.

가와사끼병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 9과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1, 2의 임상적 중요성 (Clinical significance of matrix metalloproteinase 9 and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1 and 2 in Kawasaki disease)

  • 윤기욱;윤신원;이정주;채수안;임인석;최응상;유병훈;이미경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4호
    • /
    • pp.510-518
    • /
    • 2010
  • 목 적: 가와사끼병은 급성 전신성 미세혈관염으로서, 소아의 후천성 심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가와사끼병의 관상동맥병변에 대한 조직병리학적 소견은 미만성 혈관염에 의한 관상동맥벽의 파괴를 시사하는데, matrix metalloproteinase (MMP)와 그 내인성 억제인자인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s (TIMP)가 이러한 과정에 주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그 중에도 MMP-9이 최근 가장 주목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가와사끼병 환아들에서 MMP-9과 그 억제인자들인 TIMP-1, TIMP-2가 갖는 임상적 중요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가와사끼병 환아 4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급성열성 세균감염 환아 14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혈중 MMP-9, TIMP-1, TIMP-2의 농도를 kit를 통한 효소 면역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각 임상 단계 및 관상동맥병변의 유무에 따라 비교분석하였다. 결 과: 급성기에 MMP-9과 TIMP-1은 가와사끼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TIMP-2는 오히려 낮았다($P$<0.05). 급성기에 증가한 MMP-9은 아급성기와 회복기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관상동맥 확장군과 비확장군의 비교에서는, 확장군에서 급성기 MMP-9과 TIMP-1, MMP-9/TIMP-2가 낮았으며, 아급성기로 가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가 다시 회복기로 가면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P$<0.05). MMP-9은 급성기와 아급성기에 TIMP-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TIMP-2와는 아급성기와 회복기에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결 론: 이러한 결과들은 MMP-9과 TIMP-1의 증가, 그리고 MMP-9과 TIMP-2의 불균형이 가와사끼병, 특히 그 관상동맥병변의 병태생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하겠다. 더 종합적이고 심도 깊은 연구를 위해서 좀 더 많은 대상자를 포함하는 큰 규모의 연구들이 향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