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of the middle school

검색결과 892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 호주, 핀란드의 수학 교과서에서 삼각법 영역 비교 (Comparison of Trigonometry in Mathematics Textbooks in Korea, Australia, and Finland)

  • 최은;권오남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393-419
    • /
    • 2020
  • 삼각법은 수학의 유용성을 인식하도록 하며 삼각함수와의 연계를 통해 고등 수학 개념의 기반을 다진다. 본 연구는 호주와 핀란드를 비교 대상 국가로 정하여 Charalambous 외(2010)가 제시한 수평적 및 수직적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세 국가가 삼각비에서 다루는 각을 확장한 학습 순서가 유사하며 삼각함수의 도입 시기 및 학습의 연속성에 차이가 있다. 삼각비의 정의 방법에 대한 학습경로는 공통적으로 삼각형 방법, 단위원 방법, 삼각함수 순서로 나타났는데 우리나라는 제 1사분면의 단위원에서 삼각비를 정의한 후 바로 일반각과 삼각함수가 전개된다는 차이점이 나타났다. 위장 맥락 문제와 인위적 맥락 문제는 우리나라가 호주나 핀란드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학습경로에서 생략되었던 단위원 방법을 제시하는 것, 실생활 맥락을 강조하는 문제를 제시하고 공학적 도구를 활용할 것, 삼각법을 다루는 교육과정 방식과 영역에 대해 재고할 것을 제안한다.

호주 학생들의 수학 기피성향 분석 연구 -우리나라 중학교 학생과의 비교- (An Analysis and Study for the Math Disliking Tendency of the Australian Students -Compare to the Students of Middle School of Korea-)

  • 박기양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2권3호
    • /
    • pp.295-302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more reliable researches on the tendency of shirking from the mathematics by including those of the students in the other country, and there are a series of researches such as 'math-camp to raise the mathematical tendency of the students who make little progress in the study', 'establishment of factors causing the shirking tendency from the mathematics and development of the analyzing instruments for it' and 'study on the preference to each category of the school mathematics.' For this purpose, I used a test developed by the shirking tendency research team. I compared the average score and standard deviation between the Korean and the Australian students. As for the average score, that of the Australi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about one point higher than the Korean students, and there was no remarkable difference in the deviation. Comparing the math-shirking tendency of the two groups, they show higher shirking tendency in the aspects of emotional and mathematical recognition that belong to the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sphere. And, as for an extent of association in difficulties according to each school grades, its degree of the Australian students is comparatively lower than that of the Korean students, therefore, the shirking tendency of the Australian students is intermediate level whereas that of the Korean students is the lowest. They show us a peculiar result in teacher factor. It is noteworthy in that the Korean students show a positive reaction in that factor, however, the Australian students show a comparatively weak reaction. It might be caused by a cultural difference. I also have compared the accumulated percentage according to each shirking tendency factors. It will not only be very efficient for teachers to establish a teaching plan but also a good data to understand the shirking tendency of each student. This will be a very good data for the planners of teaching policy to remedy the causes of shirking tendency. And, it will also be used effectively to write a new textbook. It has been uncommon that a psychological test is used in the research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In this aspect, I am sure that this study including the preceding research will be a good in studying the shirking tendency factors by using a psychological test. I believe that this research will be a help to grasp the outline of the shirking tendency and I will have to try continuously to make it be a reasonable and reliable study.

  • PDF

음수 개념의 이해에 관한 교수학적 분석 (A Didactical Analysis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Negative Numbers)

  • 우정호;최병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1-31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먼저 음수개념의 내재적 본질이 외형화되는 점진적 형식화의 과정을 역사적인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그리고 음수의 개념장을 가법구조와 승법구조에 측면에서 분석하였으며 역사적 심리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음수개념의 형식성을 이해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음수개념의 발달 수준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음수개념의 형식적 본질에 비추어 현행 교육과정에서의 음수 지도 내용을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드러내고자 하였으며, 우리나라 중등학교 학생들의 음수의 이해 상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끝으로, 이러한 분석을 기초로 점진적 수학화 과정, 기호화 과정을 통하여 음수개념의 형식성을 지도하기 위한 구체적인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Newton의 역제곱 법칙 증명에서 기하학적 극한 분석 및 교육적 시사점 (In Newton's proof of the inverse square law, geometric limit analysis and Educational discussion)

  • 강정기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173-190
    • /
    • 2021
  • 본 연구는 Newton의 의 핵심으로 일컬어지는 역제곱 법칙의 증명을 기하학적 극한과 관련하여 분석하고, 이를 수학교육에 활용하는 방안과 관련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Newton은 무한소에 대한 논쟁을 의식하여 전통적인 Euclid의 기하 방식으로 역학 문제를 해결하였다. Newton은 힘, 시간, 관성 궤도 이탈 정도 등을 기하 선분으로 표현함으로써 역학을 기하의 차원에 포함시키는 결과를 이뤄냈다. Newton은 특히 포물선 근사, 다각형 근사, 선분의 비의 극한이라는 기하학적 극한을 도입함으로써 Euclid 기하를 역학을 아우르는 새로운 차원으로 발전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Newton의 기하학적 극한을 수학의 유용성을 보여주는 도구로 활용, 곡선면적은 정적분이라는 통념을 깨는 수단으로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학교수학에서 기하학적 극한의 바람직한 활용을 돕기 위해서는 미시 세계에서의 동등성 확대 강조, 발견술로서 활용하게끔 유도하는 질문 활용, 미시 세계에서 선분의 동등성 파악에는 비의 접근이 유용하다는 인식을 돕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라는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중·고등학생들의 비형식적 통계적 추리의 수준 연구 (Study on the Levels of Informal Statistical Inference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이정연;이경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3호
    • /
    • pp.533-551
    • /
    • 2017
  • 통계교육 연구자들은 형식적 추리 방법을 지도하기에 앞서 비형식적 추리를 지도할 것을 강조하며 통계적 추리의 발달 과정에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는 표본 비교하기 과제와 모집단의 그래프 추측하기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중 고등학생들의 비형식적 통계적 추리의 수준과 각 수준별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표본 비교하기 과제에서는 개인적인 의견에 기초하여 타당하지 않은 추리를 하는 수준, 자료에 대한 국소적 관점을 가진 수준, 자료에 대한 전체적 관점으로 전환되는 수준, 분포의 다각적인 측면에 주목하는 수준, 통계적 개념들을 통합하여 추리하는 수준이 확인되었다. 모집단의 그래프 추측하기 과제에서는 개인적인 의견에 기초하여 타당하지 않은 추리를 하는 수준, 표본대표성에만 주목하고 표집변이성을 고려하지 않는 수준, 표본대표성과 표집변이성을 모두 고려하며 분포의 한 측면에 주목하여 부분적으로 타당한 추리를 하는 수준, 분포의 다각적 측면에 주목하는 수준, 통계적 개념들을 통합하여 추리하는 수준이 확인되었다.

Studies on CFST column to steel beam joints using endplates and long bolts under central column removal

  • Gao, Shan;Yang, Bo;Guo, Lanhui;Xu, Man;Fu, Feng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42권2호
    • /
    • pp.161-172
    • /
    • 2022
  • In this paper, four specimens of CFST column joints with endplates and long bolts are tested in the scenario of progressive collapse. Flush endplate and extended endplate are both adopt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endplate could improve the behavior of the joint, but delay the mobilization of catenary action. The thickness of the endplate should not be relatively thick in comparison to the diameter of the bolts, otherwise catenary action would not be mobilized or work effectively. Effective bending deformation of the endplate could help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atenary action in the joints. The performance of flexural action in the joint would affect the formation of catenary action in the joint. Extra middle-row bolts set at the endplates and structural components set below the bottom beam flange should be used to enhance the robustness of joints. A special weld access hole between beam and endplate should be adopted to mitigate the chain damage potential of welds. It is suggested that the structural components of joints should be independent of each other to enhance the robustness of joints. Based on the component method, a formula calculating the stiffness coefficient of preloaded long bolts was proposed whose results matched well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스크래치 활용 게임 프로그래밍 학습이 수학교과 흥미와 가치인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earning through Scratch-Based Game Programming on Students' Interest in and Perceived Value of Mathematics Curriculum)

  • 송정범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199-208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낮은 수학교과 정의적 수준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해보았다. 중학교 수학교과의 삼각함수와 연계하여 포트리스 게임을 제작하는 과정을 교수 학습으로 설계하고 그 효과성 검증을 하였다. 연구 방법은 이질 사전 사후 실험설계를 하였다. 연구 과정은 4차시 동안은 실험 비교집단 공통적으로 삼각함수의 개념의 이해와 적용관련 수업을 하였다. 이 후 실험집단에는 이 연구에서 설계한 스크래치를 활용한 포트리스 게임 제작 활동을 하도록 하였으며, 비교집단에는 실생활 수학인 삼각비 개념 활용으로 건물의 높이 구하는 과정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적용 후 t검증 결과 수학교과 흥미와 가치인식 수준은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 되었음을 확인하였으나, 두 변인의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공변량 분석을 한 결과 수학교과 가치인식 수준의 향상은 유의미하였으나, 홍미 수준은 사전점수의 영향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 초·중등 공학 교육 연구 동향 분석 (Research Trends and Issues of Engineering Education in Korea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 이은상
    • 공학교육연구
    • /
    • 제18권4호
    • /
    • pp.45-56
    • /
    • 2015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engineering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goal, this study analyzed the journal papers by 'published year', 'research topic',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and 'related school subject'.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regarding the published year, the studies related to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 engineering education had been conducted 1 to 3 pieces intermittently from 1995 to 2009. And the number of studies are more than 5 pieces after 2010. Second, regarding the research topic, the number of study followed by 'investigation for current status', 'tendency analysis',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 or model', 'verification of teaching method/models' effect'. Third, regarding the research subject, the number of study followed by 'student', 'literature', 'professor', 'teacher'. Fourth,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 the number of study followed by 'survey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experimental research' and 'integrated research'. Fifth, regarding the related subject, the number of study followed by 'science', 'technology', 'mathematics', 'practical ar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are the needs for further studies to establish theoretical foundation on the engineering content element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 analyze on related variables and effects, develop engineering assessment instrument, use a variety of research methods, and conduct study on the applications of engineering in math subject.

인수분해에 대한 오류 분석과 온라인 개별화 수업의 효과 (Error analysis on factorization and the effect of online individualization classes)

  • 최동원;허혜자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83-105
    • /
    • 2021
  • 온라인 수업에서 다양한 상호작용 도구의 적극적 활용은 비대면 수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교사와 학생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돕는다. 본 연구는 인수분해에 대한 오개념과 오류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이용한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온라인 개별화 수업이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교육의 영향이 적은 경기도 농촌 지역의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4주 동안(총 16차시) 실험을 실시하였다. 수업은 '구글클래스룸'을 LMS로 활용하고, 동영상 강의는 유튜브에 업로드하였으며, 화상회의 소프트웨어인 '줌(Zoom)'과 '페이스톡'을 통해 학생들과 상호작용을 하였다. 온라인 수업상황에서 '구글클래스룸'을 통해 학생의 과제와 질문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실험군에는 학생들의 질의 여부와 상관없이 과제와 시험에 대해 즉각적인 피드백이 이루어졌고, 대조군에도 피드백이 이루어졌으나 자발적으로 피드백을 원하는 학생에게만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학생의 실력 향상과 성취도의 변화 추이를 확인을 위해 사전검사, 형성평가 5회, 사후검사의 순서로 총 7번의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5회의 인수분해 형성평가 분석을 통해 인수분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 및 오개념의 유형을 파악할 수 있었는데, 학생들이 '다항식으로 된 인수를 하나의 인수로 인식하지 못함'과 '숫자는 인수가 아니다.'라는 오개념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학생들의 오류유형을 정리 또는 정의의 왜곡 오류, 기능상의 오류, 풀이를 검증하지 않는 오류, 무응답의 4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이를 개별화 지도에 이용하였다. 공분산분석 결과 두 집단은 1회부터 4회까지의 형성평가까지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5회차 형성평가와 사후검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어 온라인 개별화 수업이 성취도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학학습에서 구분-대조 가설에 의한 교차연습의 효과 (The Effect of Interleaved-practice by the Discriminative-contrast hypothesis in Mathematics)

  • 류지민;박미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7권2호
    • /
    • pp.199-21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교과에서 학습하는 내용이 영역과 유형의 차이에 따라 구획연습과 교차연습의 성취도 차이가 나는지 알아보고 이 결과를 통해 수학학습에서의 교차연습의 효과가 '분산-연습 가설'에 의한 것인지 혹은 '구분-대조 가설'에 의한 것인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교차연습이 구획연습보다 효과적이라는 연구가 대부분이지만 그 원인에 대해서 선행 연구들은 일관된 결과를 보이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D광역시 중학교 1학년 103명을 구획연습, 교차연습, 먼-구획연습, 먼-교차연습 집단으로 무작위 배치하여 4회에 걸쳐 학습활동을 하였고 일주일의 파지간격을 둔 후 최종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동일한 영역에서의 유사한 유형에서는 교차연습의 효과가 나타났고, 서로 다른 영역의 다른 유형에서는 교차연습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이 결과를 통해 교차연습의 효과는 '분산-연습 가설'보다는 '구분-대조 가설'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와 연구방법에 대한 논의를 통해 후속 연구가 필요한 연구문제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