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Lesson

검색결과 270건 처리시간 0.019초

Exploring Whit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Racial Identity and Culturally Relevant Teaching Practices

  • Cho, Eunhye;Albert, Lillie R.;Hwang, Sunghwa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4권1호
    • /
    • pp.29-47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factors affect the construction of preservice white mathematics teachers' racial identit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racial identities and Culturally Relevant Teaching (CRT) practices. We examined five white female preservice teachers who enrolled in an elementary mathematics methods course at a private university in the US. We collected data consisting of lesson plans,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reflection of a taught lesson in the 2018 fall term and examined them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 found that preservice teachers' racial identities were affected by their backgrounds, K-12 school experiences, and practicum school environment. We also found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ensitivity to racial issues and their endorsement of CRT strategies. The findings also revealed that the relationships were mediated by practicum school contexts. Based on the findings, we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s.

A First Grade Teacher's Challenge in Promot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Unit Iteration

  • Pak, Byungeu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5권3호
    • /
    • pp.175-188
    • /
    • 2022
  • Measurement has been an important part of mathematics content students must learn through their schooling. Many studies suggest students' weak measurement learning, particularly related to length measurement, on the part of lower grade students. This difficulty has been attributed to mathematics curriculum as well as instruction. Building on a view of teaching as an interactive activity, this paper explores how a first grade teacher interacted with her students in small groups in a length measurement lesson to promote conceptual understanding as well as procedural fluency. I found that even though the teacher supported students to explain and justify what they understood, the ways the teacher interacted with students were not effective to promote students' understanding. Even though this finding is based on an analysis of a single mathematics lesson, it provides an example of challenges in promoting students' understanding through interaction with students in the context of teaching length measurement.

초등학교 수학교실에 사회적 관행 분석 (A Study on Social Practices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

  • 권점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8권2호
    • /
    • pp.69-9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 by considering mathematics as a kind of social practices and mathematics classroom as a kind of community of practic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1) Which kinds of lesson organization reveal? 2) Which kinds of social participation structure reveal? 3) Which processes of making meaning reveal? This study was based on ethnomethodology. It was executed participation observations, interviews and surveys with teacher and 5 graders to collect the data related to the social practices formed their classroom. The social practices of mathematics classroom was analyzed from three aspects such as lesson organization, social participation structure and making meaning. The results from which we analyzed the social practices of the mathematics classroom are as followings. From the aspect of lessons organization, the teacher had a lot of power and authorities in the classroom and used them to elicitate students' responses. From the aspect of social participation structure, five SPSs(social participation structures) which revealed in Jo(1997)'s economics classrooms, were shown in this mathematics classroom, but there were a difference to the situations or frequencies which the SPSs appeared. From the aspect of making meaning, it was common that meanings are formed by the explanation of the teacher, but the teacher didn't deliver the mathematical meanings directly. She tried to interact with students to arrive shared meanings.

  • PDF

예비초등수학교사의 수업목표 공유 활동의 고찰 (Study on the ways of sharing the learning objectives presented by pre-service teachers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s)

  • 권성룡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221-243
    • /
    • 2011
  • 본 연구는 예비초등 수학교사의 수업목표 공유 활동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수업목표공유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서 이뤄졌다. 이를 위해서 G시에 소재한 교육대학교 3학년 학생들 중 4주간의 교생실습에 참여한 82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수학수업을 비디오로 녹화하고 이를 전사하여 그 자료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업목표를 설정하는 방법과 이를 학생들과 확인하고 공유하는 방법을 살펴봄으로써 이후 수학수업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려고 하였다.

예비교사들은 학생의 대답에 어떻게 피드백 하는가? - Lesson Play의 분석 -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Lesson Plays: How Do Preservice Teachers Give Feedbacks to Students in an Imaginary Classroom Discourse?)

  • 이지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1호
    • /
    • pp.19-41
    • /
    • 2017
  • 이 연구는 a) 예비교사들이 생각하는 학생의 대답에 대한 피드백 패턴 및 교실 담화양상을 확인하고, b) 예비교사들의 피드백 패턴과 교실 담화를 개혁 지향적인 수업 동영상과 비교 분석하여, 교실 담화에 대한 교수전문성의 신장 방안에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동일한 교수 상황에 대해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가상적 교실 담화인 lesson play와 개혁 지향적 수업에 나타난 교사 피드백 패턴을 분석하여, 네 가지 피드백 패턴으로 구분하고 그에 따른 교실 담화의 특징을 논의하였다.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이 생각했던 교사 피드백은 주로 학생의 대답을 평가하고 의미를 전달하는 단성적 기능(univocal function)을 수행하는 것이었으나, 개혁 지향적 수업은 학생 전체에게 제기된 답에 대한 정당화-반박의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학생들의 의미 생성을 촉진하는 대화적 기능(dialogical function)의 피드백을 포함하고 있었다. lesson play의 단성적 담화와 수업 동영상의 대화적 담화의 비교 분석은, 교사의 피드백 발화가 교실 담화의 주 기능과 학생들의 인지적 참여 수준을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 이자 '변수'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의 결과는 교사들이 높은 질의 교실 담화를 구현하기 위하여, (예비) 교사들이 구체적인 담화 맥락에서 선택할 수 있는 피드백의 다양한 가능성을 인지하고, 피드백 발화에서 '의미 전달'과 '의미 생성' 기능을 어떻게 조화시킬 수 있는지 성찰하는 경험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수업 설계안 구조 변화에 따른 예비교사들의 수업 설계 특징 분석 (The characteristics of lesson design prepared by pre-service teachers according to the structural changes of lesson design template)

  • 이선영;한선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1호
    • /
    • pp.77-110
    • /
    • 2021
  • 본 연구는 학생의 수학적 사고를 주제로 한 참여형 수업을 학생 사고기반 수학 수업이라 명하고, 이러한 수업을 지원하는 방법으로 수업 설계에 주목했다. 교사가 학생 사고기반 수학 수업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사고와 그에 대한 교육적 피드백을 여러 측면에서 예상할 뿐 아니라, 예상한 학생 답변을 의도적으로 배열하고 그것들을 목표와 연결하는 방법을 미리 계획할 필요가 있다. 학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3단계 수업 설계안은 교사가 수업의 도입, 전개, 그리고 정리에 따라 일련의 수업 계획을 기록해볼 수 있는 틀을 제공하지만, 외현적 수업 활동에만 초점을 두게 한다는 제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3단계 수업 설계안을 보완한 학생 사고기반 수업 설계안을 제시했다. 그리고 학생 사고기반 수학 수업을 위한 과제, 학생 참여, 그리고 교사 역할에 관련된 문헌 검토 결과를 종합한 개념적 틀을 렌즈로 하여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3단계 수업 설계안과 학생 사고기반 수업 설계안의 차이를 분석했다.

예비교사 교육에서 레슨 플레이의 활용가능성 탐색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Using Lesson Play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 권오남;박정숙;박재희;박지현;오혜미;조형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4호
    • /
    • pp.819-832
    • /
    • 2013
  • 본 연구는 가상 수업 상황극인 레슨 플레이(Lesson Play)를 활용하여 예비교사 교육에서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고, 이를 활용하여 예비교사의 교수학적 지식을 탐색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레슨 플레이는 상상할 수 있는 수학 수업의 모든 상황을 연극 대본처럼 글로 써보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의 한 사범대학 수학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20명을 대상으로 91을 소수라고 답한 학생, 462가 4의 배수라고 답한 학생에 대한 교사의 발문으로 시작하여 그 이후에 이루어질 교사와 학생의 대화를 구성하도록 하였다. 예비교사의 가상 대본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첫째, 예비교사의 교수 전략은 다양하지 않았다. 둘째, 수학적 개념 또는 원리를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이 무엇을 어려워하는지 알지 못한 채 교사와 학생의 발문을 구성하였다. 따라서 레슨 플레이는 예비교사의 교수학적 지식의 분석과 함께 실천적 지식을 향상시키는 교수방법으로 활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

  • PDF

창의성 관점에서 본 제 7차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 규칙성과 함수를 중심으로 (Mathematical Creativity and Mathematics Curriculum: Focusing on Patterns and Functions)

  • 서경혜;유솔아;정진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7권1호
    • /
    • pp.15-29
    • /
    • 2003
  •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7th national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from a perspective of mathematical creativity. The study investigated to what extent the activities in the Pattern and Function lessons in the national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promoted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creativ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was limited in many way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creativity. Regarding the activities in Pattern lessons, for example, most activities presented closed tasks involving finding and extending patterns. The lesson provided little opportunitie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various patterns, apply patterns to different situations, or create ones own patterns. In regard to the Function lessons, the majority of activities were about computing the rate. This showed that the function was taught from an operational perspective, not a relational perspective. It was unlikely that students would develop the basic understanding of function through the activities involving the computing the rate. Further, the lessons had students use exclusively the numbers in representing the function. Students were provided little opportunities to use various representation methods involving pictures or graphs, explore th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various representation methods, or to choose more effective representation methods in particular contexts. In conclusion, the lesson activities in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were unlikely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creativity.

  • PDF

중등수학 예비교사 교육에서 협동마이크로티칭의 활용 가능성 탐색 (The utilization of cooperative microteaching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 이봉주;윤용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3권3호
    • /
    • pp.399-41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using cooperative microteaching i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education based on their perceptions of it after actual application case.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is that cooperative learning came into the highlight as a good method to cultivate teachers' competencies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as well as students' creativity and character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20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participated in their cooperative microteaching and 16 of them responded to the survey. The collected data showed that the merits of cooperative microteaching are to ease the burden of preparing for class, to discuss how to teach mathematics, to debate what lesson is better, to receive valuable feedback form their peer, and so on. Also, it provided them with the chance for self-improvement in that they kept to make up for the week points in their teaching behavior. Meanwhile, they wanted longer time to experience their teaching and their own lesson.

수학교과서 문제에 대한 예비중등교사의 이해 및 변형 능력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and Modification of Tasks in Mathematics Textbooks)

  • 이혜림;김구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3호
    • /
    • pp.353-37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예비중등교사들이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문제의 수준 및 특성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교육과정의 성격과 수업 목표 등에 적합한 문제를 어떻게 선별하고 변형하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많은 예비교사들이 Procedures Without Connections[PNC] 문제를 high-level 문제로 인식하고 있으며, 교육과정의 성격과 수업 목표 등에 부합하는 문제를 제대로 선별한 인원이 전체 예비교사의 절반 이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예비교사는 낮은 인지적 노력수준의 문제를 높은 수준의 문제로 변형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