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검색결과 255건 처리시간 0.032초

문제 중심 학습의 방법으로서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 of Mathematical Modeling as a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 김선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7권3호
    • /
    • pp.303-318
    • /
    • 2005
  • 학생들이 자신의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학을 이용하고, 그를 통해 수학적 지식을 학습할 수 있다면, 이것은 학생들이 수학의 유용성과 가치를 깨닫게 하는 수학교육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문제해결을 통하여 수학을 학습할 수 있도록 지도하기 위해, 여러 교과에서 관심을 두고 있는 문제 중심 학습을 고찰하고 그것을 수학 교과에서 수학적 모델링으로 적용하려 시도했다. 수학적 모델링을 적용한 수업 모형을 제안하고, 학생들을 실제로 지도한 예시를 들어, 형식적이고 위계적인 학문으로서의 수학에 모델링을 도입하여 문제 중심 학습을 실현할 수 있음을 보이려 했다.

  • PDF

Examination of Prospective Teachers' Perceptions on Mathematical Concepts and Their Potential Teaching Strategies

  • Lee, Ji-Eu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8권1호
    • /
    • pp.55-74
    • /
    • 2014
  • This study examined the potential teaching strategies of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procedural/conceptual nature of examples. Fifty-four prospectiv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ngaging in two-phase tasks. Analysis of data indicated that: (a) Overall,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were geared toward putting emphasis on conceptual understanding rather than procedural understanding; but (b) Generally, procedure-oriented strategies were more frequently incorporated in participants' potential teaching plans. This implied that participants' preconceived ideas regarding math examples were not always reliable indicators of their potential teaching strategie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mathematics teacher preparation are discussed.

수학적 은유의 사회 문화적 분석 (Analysis of Mathematical Metaphor from a Sociocultural Perspective)

  • 주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1권2호
    • /
    • pp.239-256
    • /
    • 2001
  • The notion of metaphor has been increasingly popular in research of mathematics education. In particular, metaphor becomes a useful unit for analysis to provide a profound insight into mathematical reasoning and problem solving. In this context, this paper takes metaphor as an analytic uni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in mathematical reasoning. Specifically, the discourse analysis focuses on the code switching between literal language and metaphor in mathematical discourse. It is shown that the linguistic code switching is parallel with the switching between two different kinds of mathematical knowledge, that is, factual knowledge and mathematical imagination, which constitute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in mathematical reasoning. Furthermore, the pattern of the linguistic code switching reveals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oles of mathematical reasoning.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this paper provides some educational implications. First, the code-switching highlights diverse aspects of mathematics learning. Learning mathematics is concerned with developing not only technicality but also mathematical creativity. Second,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suggests that teaching and teaming mathematics is socioculturally constructed. Indeed, it is shown that not all metaphors are mathematically appropriated. They should be consistent with the cultural model of a mathematical concept under discussion. In general, this sociocultural perspective on mathematical metaphor highlights the sociocultural organization of teaching and loaming mathematics and provides a theoretical viewpoint to understand epistemological diversities in mathematics classroom.

  • PDF

비와 비율 지도에 대한 교사의 PCK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Teaching Ratio and Rate)

  • 박슬아;오영열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15-24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비와 비율을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이해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비와 비율 지도에 대한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을 질문지와 면담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PCK의 내용 측면에 있어서 교사는 비와 비율의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실생활 맥락과 연계해서 비와 비율을 지도할 필요가 있으며, PCK의 교수 방법 및 평가에 대한 지식의 관점에서 비와 비율에 대한 교수 목표를 강화하고 교수 방법에 있어서도 활동 중심으로 바뀔 수 있도록 교사들의 PCK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학생 이해 지식의 관점에서 교사의 PCK는 교사의 설명 이외에 오류 지도 방법을 다양화하고 정의적 측면을 수업에 연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수업 상황에 대한 지식의 관점에서 교사는 주체적 관점에서 교과서 활동을 재구성하고, 활동의 특성에 맞게 수업 집단을 다양화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설문과 면담을 통한 비와 비율에 대한 교사의 PCK가 실제 수업과 어떠한 연관성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추후 연구를 제안한다.

  • PDF

초등학교 수학 학습용 게임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he Elementary Mathematical Games)

  • 강문봉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0권2호
    • /
    • pp.199-214
    • /
    • 2000
  • The constructivism is an important stream of the recent trend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order for students to construct their knowledge for themselves, above all, it should be a prerequisite that they participate in actively, Using games helps students to participate in learning mathematics actively. I think, up to now, mathematics teachers use games mainly for motivation and it does not connect to true learning mathematics through using games. So,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developing the mathematical games connecting to mathematical contents closely, designing the teaching models to connect game activities to learning mathematics, and developing several teaching plans using games to mathematics class. In this study, I propose what conditions 'good' game should have, classify games as practice game, concept learning game, and strategy game, and develop 43 games from 1 to 6 grade. And I design the teaching models depending on the game types and develop the teaching plans.

  • PDF

'정의'의 재발명을 상상하다 : Lesson Play의 분석 (Imagining the Reinvention of Definitions : an Analysis of Lesson Plays)

  • 이지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4호
    • /
    • pp.667-682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도형 정의의 재발명에 대해 세 교사가 쓴 lesson play를 통하여, 교사들이 가지고 있었던 정의 개념과 연역적 조직화로서의 정의하기를 가르치고자 할 때 봉착했던 교수학적 문제들을 살펴보았다. 교사들은 lesson play에서 도형의 정의를 주입식으로 전달하지 않았으며 여러 다른 정의의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나, 연역적 조직화로서의 정의하기를 적극적으로 구현할 수는 없었다. 교사들은 정의를 어떤 용어에 대한 언어적 약속으로 생각하여, 정의를 가르치는 데 있어 연역적 조직화와 같은 과정이 왜 필요한 지를 이해하지 못하였다. 또 수학적 정의의 임의성 및 정의와 정리의 지위가 절대적이지 않다는 사실을 수용하는 데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교사들이 도형의 수학적 정의를 자신이 배웠던 방식과 다르게 가르치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사교육에서 단순히 Freudenthal의 이론과 같은 이상적인 교수 방향 및 철학을 소개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상식적인 정의 개념과 수학적 정의 개념의 차이를 인식하고 반성해보는 것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 PDF

A STUDY ON EFFECTIVE STATISTICS TEACHING USING SAS PROGRAM

  • Oh, Hyeyoung
    • Korean Journal of Mathematics
    • /
    • 제16권4호
    • /
    • pp.471-480
    • /
    • 2008
  • As students with low basic knowledge of mathematics increase, they have had difficulties in studying statistics theory class. By using recent students' characteristics which prefer seeing directly and checking to thinking logically, we try to change the teaching method into teaching in the computer lab(SAS program). We investigate whether changing the teaching method has effects on students' achievements and interests or no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ope for a better teaching and develop mathematics education's satisfaction and qualification.

  • PDF

교수를 위한 수학적 지식과 학생의 성취도에 관한 문헌 연구 (Review on Relation between Knowledge for Teaching Mathematics and Student Learning)

  • 박정은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1호
    • /
    • pp.39-52
    • /
    • 2012
  • 교사의 교수를 위한 수학적 지식에 관한 연구는 최근 몇년동안 서서히 발전하고 있다. 교사가 수학을 가르치기 위해 필요한 지식이 무엇인가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함께, 교사의 교수를 위한 수학적 지식이 어떻게 학생 성취도와 관련되어 있는 지를 밝히려는 연구들도 역시 이루어 지고 있다. 이 논문은 교수를 위한 수학적 지식에 관한 다양한 해석들과 이 지식과 학생들의 성취도간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들을 고찰하고, 이 주제를 연구하는데 어려움들이 무엇인지 밝힌다. 또한, 이 연구는 관련 문헌 연구에 기초하여, 교사의 교수를 위한 수학적 지식과 학생들의 성취도에 관한 가능한 연구 주제 및 연구 방법을 제안한다.

  • PDF

창조적 지식기반사회 구축을 위한 초등수학과 실생활과의 연계 지도 방안 연구 (Exploration of Teaching for Mathematical Connections to Real Worlds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 김민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2권2호
    • /
    • pp.389-401
    • /
    • 2000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troduce how elementary mathematics pre-sevice teachers in pre-service teacher program could use and integrate poster, a kind of instructional media, to connect mathematics knowledge to real worlds. Poster examples include such as connection to mathematicians and mathematical connections to real world as well as nature. Further, future study will continue to foster students and teachers to try to construct their alive mathematics knowledge.

  • PDF

Insight into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ing: A Comparative Study of Two Videotaped Lessons

  • Li, Shiqi;Yang, Yudo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1권3호
    • /
    • pp.165-176
    • /
    • 2007
  • From the perspective of phenomenongraphy(根据登的象式), two videotaped mathematics lessons were observed, compared and analyzed, and the features of those times were extracte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global structure and the questioning in the lessons etc. showed that in teaching behaviors there were some essential differences reflecting the impact of new beliefs and principles of teaching. Evidences also show that excellent teachers did keep and carry on the good tradition teaching for basic knowledge and basic skills were seen a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mathematics teaching in Chin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