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 teaching method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5초

수학 수업에서 요구되는 교사 지식에 대한 평가 기준 재탐색 (The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Evaluation Standards for Mathematics Teaching Focused on Teacher's Knowledge)

  • 황혜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109-135
    • /
    • 2012
  • 수학 수업에서 요구되는 교사 지식을 '교과 내용 지식', '학습자 이해 지식',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 지식', '수업 상황 지식'으로 상정하고, 수업 평가 및 교사 지식과 관련된 여러 선행 연구들에 의거하여 본 연구자는 교사 지식 요소 각각에 대한 수업 평가 영역 및 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를 수행해 왔다. 본고에서는 지금껏 본인에 의해 수차례 수행된 연구 결과들을 신중히 재검토하여 보다 일관성 있고 체계적으로 수정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때, 각각의 교사 지식에 대한 교사 자신의 자기평가 방법에 따라 측정 용이한, 즉 실제적 활용 가치를 신중히 고려함은 물론, 특히 '수업전', '수업 중', '수업 후'의 상황을 모두 반영한 수학 수업 평가 기준을 새로이 마련하고자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처럼, 본고의 연구 결과를 활용하는데 있어서 교사는 수업 전, 수업 중, 수업 후 상황에 국면하게 되고, 교사 지식은 이러한 상황 모두에 요구되나, 실제의 수업 상황에서 모든 교사 지식에 대한 수업 평가 기준을 '동시에' 모두 고려하여 평가, 진단하는 것은 쉽지 않을 일이다. 이에 따라, 교사 자신 및 동료들이 해당 수업에 따라 요구되는 특정의 교사 지식 및 특정의 수업 진행 상황(수업 전, 수업 중, 또는 수업 후)을 선정하여 이에 국한, 집중하여 평가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제1차 교육과정기 중학교 수학교과서에 나타난 직선 관련 내용의 구성 및 전개 방식 분석 (Analysis on Korean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Published in the 1st National Curriculum Period Centerea on the Concept 'Straight Line')

  • 도종훈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01-119
    • /
    • 2017
  • This paper is a follow up study of [2]. In this paper we analyse the contents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published in the 1st National Curriculum Period centered on the concept 'straight line' and discuss how they are different from contemporary mathematics textbooks in view of connectedness of contents, mathematical terms, textbook as a learning material vs. teaching material, relationship between contents of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some topics related to direct proportion, function, method of equivalence as a method for solving simultaneous linear equations and so on. The results of our analysis and discussion suggest implications for reforming mathematics curriculum and developing mathematics textbooks.

정오각형 작도에 의한 특수각의 삼각비 유도 (Derivating the Ratios of Trigonometric Special Angles by Constructing Regular Polygon)

  • 조정수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9-90
    • /
    • 2006
  • 본 논문은 중$\cdot$고등학교에서 특수각의 삼각비를 삼각비의 원래 기원인 기하학적 의미가 아닌 지나친 대수적 접근방법으로 지도하고 있다는 문제점으로부터 출발하여 특수각의 삼각비를 유클리드 <원론>에 기초한 정오각형과 정십각형의 작도법으로부터 유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정오각형과 정십각형의 작도법을 고찰하고 이로부터 다양한 특수각을 기하적으로 유도하고 있다. 이런 기하학적 방법을 통하여 특수각의 삼각비의 기하학적 의미를 재조명하고 수학사를 활용한 삼각비의 교수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다문화권 학생들의 초등수학 학습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Instructional Dimensions in Teaching Mathematics t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 장윤영;고상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8권4호
    • /
    • pp.419-442
    • /
    • 2009
  • This study was to find the difficulties students faced in their mathematical learning and to identify the instructional dimensions a teacher provided for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 Since the study was focused on the process of students' learning, the qualitative method was chosen through clinical interviews with 2 students in a total of 11 units which played a role of compensating their learning of mathematics as an extra curriculum. The students solved the computational problems relying on formal procedure without understanding of concepts and principles and solved the word problems based on own interpretation of certain words without semantic comprehension out of math sentences. As the instructional dimensions of teaching mathematics, tasks, a tool and classroom norm were found in the activities they performed. For the tasks, situated tasks, challenging tasks, tasks with lack of conditions, and open-ended exploratory tasks were used. As the tool, pictorial representations were very useful to describe their ideas. Finally, as the classroom norm, consider equity for everyone, and cooperate and encourage each other were found.

  • PDF

수학교육에서 스토리텔링(storytelling)에 대한 문헌 분석 연구 (A literature research on storytelling in mathematics education)

  • 서보억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1호
    • /
    • pp.65-82
    • /
    • 2013
  • This study has to do with storytelling. In this study, analyzed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ademic literature and scientific pap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meaningful basic material on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torytelling lesson model and teaching material. First, we analyze the causes and background storytelling appeared. The psychologists found that the human cognition's structure consists of a narrative system. And, We realize that the problem 'How will attract the attention of the students in math class' will be solved by storytelling. Second, the means of storytelling about the educational value and benefits were discussed in Mathematics Education. The story has a powerful force in the delivery of mathematical content. And, the story has strong power, led to feelings of students receiving transfer mathematical content. Finall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sychology of learning in mathematics education by storytelling. We were studied about internal and external story. And, we studies on storytelling as the mediator, story as the knowledge transfer, story as the problem-solving process, story as the script.

정보과학 창의성 향상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Improvement of Creativity on Information Science Applying Project-based Learning)

  • 김호숙;김형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529-540
    • /
    • 2014
  • 우리는 수 과학 영재 고등학생들의 정보과학 창의성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정보과학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였다. 학생들은 현실적 응용문제를 해결하는 정보과학 팀 프로젝트의 수행을 통하여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과 팀워크 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기본과정과 응용과정으로 구성되는 2단계 정보과학 수업 방법과 체계적 프로젝트 수행 단계를 설계하고, 소규모 협력 학습 전략과 입체적 평가 방안을 적용하였다. 논문에서 제안한 프로젝트 기반 교수-학습 방법의 학습 효과를 분석한 결과, 정보과학 창의성의 지적 정의적 및 사회적 영역에서의 효과적인 교육 목표 달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학 학습에 대한 상황적 흥미 요인 탐색 (Exploring the factors of situational interest in learning mathematics)

  • 박주현;한선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4호
    • /
    • pp.555-58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학습에 대한 상황적 흥미 요인을 탐색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 수업 내의 교수·학습 방법과 교수·학습 활동 및 수업 외의 비교과 활동에 포함되어 있는 상황적 흥미 요인을 밝히는 것이다.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수학 학습에 대한 상황적 흥미의 요인은 10개의 세부영역(즐거움, 호기심, 유능감/ 실생활, 타교과, 진로/ 사전 지식, 지식의 축적/ 변환, 해석), 4개의 일반영역(정서, 태도/ 지식, 이해), 2개의 고차영역(정의/인지)으로 추출되었다. 또한 교수·학습 방법과 교수·학습 활동 및 비교과 활동에는 상황적 흥미의 다양한 요인이 포함되어 있음을 밝혔다. 10개의 수학 학습에 대한 상황적 흥미 요인에 개인적 흥미로 발달에 필요한 요인이 공유되어 있었고, 이러한 연구 결과는 수학 학습 흥미 발달에 관한 연구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Case Study: A Preservice Teacher's Belief Changes Represented as Constructivist Profile

  • Kwak, Young-Sun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95-821
    • /
    • 2001
  • This Qualitative study investigated a preservice teacher's developing views of learning with the influence of constructivist epistemology taught in the Math,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MSAT) Master of Education (M. E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he MSAT teacher education program employs constructivist aspects of teacher education and generates applications of constructivism to the practice of teaching, as revealed by faculty interview data. It is important at this point to emphasize that there are significant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versions of educational constructivism (i.e., individual, radical, and social constructivism) and that these differences imply different pedagogical practices. For the 16 preservice teachers included in a larger study, the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characteristics for each teacher's developing views of learning were identified through four in-depth interviews. Data from interviews were used to construct a constructivist profile for each preservice teacher's views of learning (i.e., a profile containing ontological beliefs, epistemological commitments, and pedagogical beliefs). Of the sixteen participants in the larger study, five significantly changed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beliefs and eleven did not. Profile changes for the five who did change also resulted in changes in their conceptions of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CSTL). In this article, one of the five teachers case was presented with rich quotes. This case study documents how a preservice teacher transferred his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beliefs to his pedagogical beliefs and maintained the consistency between his philosophical beliefs and CSTL. It also demonstrated implications that changes in components for an educational constructivist profile have for a preservice teacher's view of himself as teacher. Data indicated the possibility that a constructivist-oriente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can influence students' conceptions of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by explicitly introducing constructivism as an epistemology rather than as a specific method of instruction. Implications for both instructional practices of teacher education programmes and research are discussed.

  • PDF

디지털 시대의 대학수학교육: 선형대수학을 중심으로 (Linear Algebra Teaching in the Digital Age)

  • 이상구;이재화;박경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1권4호
    • /
    • pp.367-387
    • /
    • 2017
  •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의 대학수학교육이라는 주제로, 21세기 디지털 교육환경에서 한국에 적합한 대학수학교육 강좌를 어떻게 구성하고 운영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 21세기 디지털 시대의 교육 환경은 수학 교수 학습 방법의 변화 뿐 아니라 수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철학의 변화에도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다. 본 연구진은 디지털 환경에 적합한 대학수학교육이란 디지털과 첨단 모바일/인터넷 환경을 강의에 적절히 반영하고 이 과정에서 학생이 스스로 학습과정에 참여하도록 안내하는 교육이라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진은 디지털 시대의 대학수학교육을 위하여 첫째, 다양한 웹 링크와 시뮬레이션 및 계산이 가능한 코드를 갖춘 실습실을 개발하여 강의에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이 언제 어디서든 실시간으로 실습이 가능하고 둘째, 계산된 결과를 LMS를 통해 동료 및 교수자와 함께 질의 응답 토론하여 개념에 대해 깊게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LMS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과정을 평가에 지속적으로 반영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과정과 문제해결과정을 서술하고 발표하면서 비판적 사고 능력을 자연스럽게 갖추어야 한다는 교수 학습 방향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디지털 교육환경에 가장 적합한 수학강좌 중 하나인 '선형대수학' 강좌에 무료 디지털 전자 교과서와 콘텐츠를 갖추고 연구진이 제안한 방향에 따른 교수 학습 모형과 대학 선형대수학강좌 운영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