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san Bay

검색결과 235건 처리시간 0.024초

Assessment of the Marine Environment in Masan-Jinhae Bay of Korea in Relation to Algal Blooms

  • 이문옥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7-24
    • /
    • 2008
  • Masan-Jinhae Bay, in Korea, is known for its frequent algal bloom outbreak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with the aim of identifying indicators that could be used to speculate about future algal blooms. The water temperatures and salinities in Haengam Bay, one of the small inner bays within Jinhae, appeared to 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in Masan and Jinhae bays, across most seasons. Furthermore, stratification begins to develop in all three regions from spring to summer as a result of the local heating effects and an increase in the efficient from the surrounding land. As a result, anoxic conditions appear near the bottom layer of the bay, leading to the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which has been identified as one of the causes of bloom outbreaks. Compared to Haengam and Jinhae bays, concentrations of DIN and DIP were remarkably higher in Masan Bay. However, the mean ratio of DIN to DIP was 3.3$\sim$13.6 in all three regions throughout the year, suggesting that nitrogen can function as a growth-limiting factor for phytoplankton. The results of mathematical models showed that cumulative organic pollutants may be a trigger for direct algal bloom occurrences, since residual tidal currents appeared to be less than $3\;cm\;\cdot\;s^{-1}$. Furthermore, computed DO concentrations in the four small inner bays of Jinhae during the summer appeared to be $3\;cm\;\cdot\;l^{-1}$ indicating a hypoxic state. Likewise, computed Chl-a concentrations turned out to be more than $0.01\;mg\;\cdot\;l^{-1}$, indicating eutrophication across most seasons. Based on the overall results, Masan-Jinhae Bay appeared to possess a very high potential for algal bloom outbreaks at anytime during the year.

담수유입에 의한 폐쇄성 내만의 물질체류시간 수치예측 (A Numerical Prediction of Residence Time According to Freshwater Influx in Enclosed Bay)

  • 김진호;이인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39-34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EFDC모델과 입자추적모델을 이용하여 마산만의 담수유입에 의한 폐쇄성 내만의 물질체류시간을 산정하였다. 마산만의 해수유동을 재현하고 이를 바탕으로 평균체류시간을 계산하였다. 마산만의 조석에 의한 평균물질체류시간은 만 북측과 돝섬 부근까지가 약 110일이내, 모도 주변 해역이 약 40일, 부도에서 외해까지 약 20일 정도로 산정되었다. 담수유입에 따른 마산만의 4개 소해역별 평균물질체류시간은 I과 II영역에서 약 81일로 감소하였으나, 마산만의 외해측에 위치한 III과 IV영역은 각각 58일과 17일로 증가하였다.

마산변의 해수교환율 (Tidal Exchange Ratio in Masan Bay)

  • 김종화;장선덕;김해용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2권3호
    • /
    • pp.29-35
    • /
    • 1986
  • The characteristics of tidal exchange in Masan Bay were studied on the basis of salinity observations and current measurements in the summer of 1985. The exchange ratio of the sea water was calculated using three different formulas. The tidal exchange rate was estimated to be smaller than that of another bays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The tidal exchange ratios in Masan Bay at spring tide were deduced to be 2.4-11.7%. While those at neap tide were 2.0-9.1%. Though tidal range of neap tide is smaller than that of spring tide. the tidal exchange ratio in the bay can be increased in case of highly stratified vertical structure.

  • PDF

마산만의 오염물질 수송에 미치는 바람 효과 (Effect of the Wind on the Pollutant Transport in Masan Bay)

  • 김종화;이문옥;강주복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8권4호
    • /
    • pp.385-397
    • /
    • 1992
  • Current measurements at 3 sections and numerical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Masan Bay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wind on the residual currents and pollutant transport.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horizontal velocities were directly affected by the wind at the depths of 1m and 2m beneath the sea surface. Analysis of the velocity data suggested that changes in the vertical gravitational circulation contributed to the net circulation. The net transport of water through the northern part of the bay was observed to be landward, with wind-induced transport of about 100m super(3)/s. Hence, wind is concluded to be the dominant mechanism driving the net circulation in the northern area of Masan Bay. Numerical experiments are shown that when S wind with 5m/s blew, northern area of the bay was generated the horizontal circulation of clockwise and local gyre. On the contrary of those, N wind made her to the anti-clockwise. In the case of no wind, the tidal residual current(constant flow) is very small or neglected except the bay-mouth. The inflow or outflow pattern of the mouth is considered as the flows generated by tidal residual current only. The distance of wind-induced transport of pollutant was as long as 2 times of no wind during the one tidal period.

  • PDF

GIS 기법을 이용한 마산만 오염총량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otal Pollutant Load Management of Masan Bay Using GIS Technique)

  • 조보현;양금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9-99
    • /
    • 2012
  • 본 연구는 GIS을 활용하여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통합관리시스템의 일환으로 마산만의 점 비점오염원 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마산만 연안오염총량관리 체제를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마산만 유역의 오염원 관리에 GIS를 이용한 결과 각 행정구역별 오염원 현황 및 발생 오염부하량의 비교가 가능하였고, 오염부하 산정프로그램을 구축함으로써 배출원별 인구현황, 생활계 물사용량, COD/TN/TP 발생부하량과 배출부하량 등의 오염원 부하량을 행정구역별, 연도별, 용도별로 산정할 수 있었다. 또한 대용량의 속성, 공간자료를 활용함에 있어 시간적, 경제적 노력을 최소화함은 물론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마산만 연안오염총량 관리가 가능하여 정책 수립 시 신속한 의사결정에 대한 기여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점 비점오염원에 관련된 정보와 이에 대한 체계적 관리를 도모하고// 부하량 산정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오염부하량 변화에 따른 향후 오염원 예측이 가능하도록 유역관리 시스템을 보완해야 할 것이다.

마산-진해만의 수질 부영양화 및 계절 변동 (Eutrophica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in Masan-Jinhae Bay)

  • 조경제;최만영;곽승국;임성호;김대윤;박종규;김영의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3권4호
    • /
    • pp.193-202
    • /
    • 1998
  • 마산-진해만에서 1996년 1월부터 1997년 8월까지 영양염류, 용존산소, 해수 투명도 등 수질의 부영양화 요인과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의 수직변동, 공간분포 및 계절변동 등을 조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은 4월부터 10월까지 번무하였으며, 이 기간에는 편모조류가 단독으로 발생하거나 여러 종이 혼합 발생하는 등 매우 역동적인 양상을 보였다. 식물플랑크톤 대발생 시기에는 염분이 감소하였고, 편모조류의 번무로 수색이 변하거나 물의 투명도가 떨어졌다. 여름에 하층은 빈산소상태였으나 상층은 산소의 과포화상태로서 상 하층에 용존산소의 성층화가 형성되었고, 그 구배가 컸다. 반면 겨울에는 영양염류의 수직 분포가 균일하였고, 마산 내만에서 진해 외만에 걸쳐 영양염류의 수평적 구배가 발달하였다. 마산-진해만 수질은 여름에는 저질 퇴적층에서 용출되는 영양염류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나, 겨울에는 마산시와 창원시 등 주변 집수역에서 유입되는 오 폐수의 영향을 주로 받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과거 마산-친해만 일원의 수질 분석 자료를 수집하여 마산만 돌섬과 부도 사이의 수질을 연 평균값으로 표준화시킨 결과, COD와 $PO_4$가 비교 가능하였다. 1970년부터 1990년까지 마산만에서 COD와 $PO_4$ 농도는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나, 1991년 이후 다소 둔화되거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991년부터 1994년까지 마산 내만에서 행한 저질 퇴적층의 준설이 이 지역의 수질 악화를 다소 완화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 PDF

마산만 해수 중 화학적산소요구량과 총유기탄소 분포 특성 및 유기물 지표로서의 적절성 검토 (A Study on the Appropriateness as Organic Matters Indicator and the Distribution of Chemical Oxygen Demand and Total Organic Carbon in Masan Bay, Korea)

  • 박미옥;이용우;조성아;김혜미;박준건;김성길;김성수;이석모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6권2호
    • /
    • pp.82-95
    • /
    • 2021
  • 마산만에서 유기물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2015년 월별로 총 13개 정점에서 화학적산소요구량(COD)과 총유기탄소(TOC) 농도를 조사하였다. COD와 TOC 농도는 오염부하량이 증가하는 6~8월에 상대적으로 높았고, 저층보다 표층에서 약 2배 높았다. COD와 TOC 농도는 마산만의 내측 정점에서 다른 정점들에 비해 약 2배 이상 높았다. 2015년 마산만 표층에서 이론적산소 요구량(TOD)을 기준으로 COD의 산화 효율성을 추정한 결과, COD의 산화 효율은 약 23%로 낮은 수준이었다. 마산만에서 COD 측정시 낮은 산화 효율은 만 내에 분포하는 유기물 양이 과소평가 될 가능성이 있어, 유기물의 정확한 정량분석을 위해서는 COD와 TOC 분석의 병행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study of masan barber's coastal line change during 100years

  • Choi, Chul-Uong;Kim, Young-Seop;Cho, Sung-Hwa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273-273
    • /
    • 2002
  • Masan barber was situated in S.Korean southern central coast. And it is contributing greatly in S.korea's economy development to international trading port of Heaven's blessing that possess natural, geographical situation. Also, because there are Masan free tax area and chanwon heavy industrial complex, sachon air industrial complex etc. on back, it is important permanency in our country. Specially, because inland transport routes such as southern highway, Guma highway and national road system are developed well, the importance is very high. Masan harbor 1899.05.01 be that opened, the 1st and 2nd (central pier) was build 1938∼1944 year, and the 3rd pier was 1973∼1978 year. the 4th pier was 1974∼1983 year, 5th pier was 1984∼1988, 6th pier (west pier) was 1985∼1992 year. it was developed over 100 years. But, it did great many harbor and bay development of last 100 yens but research about coastline change and seashore reclamation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research executed research about coastline change of Masan bay of last 100 years, In this study, we analyzed aerial photographs and tide data for the past 100 years using digital aerial photo analysis and GIS techniques for each 3-year interval. We abstracted beach DEM (digital elevation model) and ortho aerial photographs, and conducted a space analysis. As a result, we were able to identify changes in the area As a result, we drew 10 years cycle coastline change of Masan bay. and we can detect bay coastal line change and calculate refill rate.

  • PDF

마산만 재해방지시설을 이용한 해수교환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ter Exchange Plan with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in Masan Bay)

  • 김권수;유하상;김강민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637-645
    • /
    • 2013
  • 마산만은 반폐쇄성 해역으로, 느린 유속과 육상오염물질의 하천부하 등으로 인해 심각한 수질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동시에 폭풍해일에 취약한 입지적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중 폭풍해일 저감대책으로 제시된 재해방지시설을 운용함과 동시에 이를 마산만 내측 수질개선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즉, 재해방지시설을 가동하여 마산만 내측과 외측의 수위조건이 다를 때 발생하는 수두차를 이용하여 만 내 외의 해수를 교환하였다. 재해방지시설의 위치를 기존 만 입구부, 마창대교 인근, 그리고 돝섬 인근으로 가정하였으며, 선박운항 횟수와 연간조위를 분석하여 통항빈도가 가장 낮은 새벽시간(01~05) 및 수두차가 가장 큰 대조기에 운용된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재해방지시설과 함께 약 10km 길이의 유출 입 관로를 통한 내 외해수의 해수교환 촉진을 위한 추가 실험안을 구성하였다. 수치모의 결과, 현재상태의 경우 마산만 전체 해수교환율은 38.62%을 나타냈으며, 모든 실험안에서 마산만 내 모든 구역에서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반해, 마산만 입구부와 비교한 마산만 내측의 해수교환율은 매우 낮게 나타나 반폐쇄성 내만해역의 특성을 잘 재현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재해방지시설과 관로를 이용한 실험안을 분석한 결과, 현재상태와 비교하여 재해방지시설을 운용한 경우 해수교환율이 높고, 그 운용빈도가 많아질수록 더 많은 순환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해방지시설에 의해 발생된 수두차를 이용하여 관로를 통해 해수를 유입 혹은 유출한 경우 마산만 가장 내측의 수질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해방지시설의 위치는 마창대교 남측과 비교하여 마산만 입구와 돝섬에 위치한 경우 해수교환 효과가 더 좋게 나타났다. 한편 마산만 전체영역에 대한 해수교환율은 만 입구에 재해방지시설이 위치한 경우가 돝섬에 위치한 경우보다 높지만, 마산만 내측을 포함한 해수교환율은 반대로 돝섬에 위치한 경우가 더 높게 나타났다.

해역에서의 지형성 저열효과를 고려한 성층유동 수치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umerical Model of Current of Strafication Considering the Topographic Heat Accumulation Effect in the Coastal Area)

  • 윤종성;김명규;한동진;김가야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61-68
    • /
    • 2008
  • In Jinhae-Masan bay, a typical semi-dosed bay in Korea, the water quality is severely deteriorated because of the dosed topographic character and the inflow of nutrients from the land. There have been attempts to apply a water quality model dealing with the entrophication phenomenon and the oxygen-deficient mass in the bay in summer, but there have been few examples of models that have considered the phenomenon of stratification in the proper order, and then it is performed the model of water quality. Therefore,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the pre-observed water temperature data from Jinhae-Masan bay in summer and then constructed a density model using the topographic heat accumulation effect and inflow from the river to examine the temperature stratification.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is model could demonstrate the temperature stratification in the Jinhae-Masan bay very 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