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Numerical Prediction of Residence Time According to Freshwater Influx in Enclosed Bay

담수유입에 의한 폐쇄성 내만의 물질체류시간 수치예측

  • Kim, Jin-Ho (Marine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Lee, In-Cheol (Department of Ocean Engineering, Pukyung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1.10.14
  • Accepted : 2011.12.26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freshwater influx on residence time to understand a long-term material transportation in enclosed bay. To predict the residence times of the coastal water in Masan bay, we were carried out the numerical simulations by using a EFDC model to simulate seawater circulation and particle tracking. The average residence times of Masan bay obtained from the particle release simulations under the condition to neglect a freshwater influx were estimated to be about 110 days in northern part of the bay to near Dotseom, 40 days in around Modo and 20 days in Budo to open sea. However, the average residence times under the condition consider with freshwater influx decreased about 81 days in both Region 1(northen Masan bay to near Dotseom) and Region II (Dotseom to Modo), but the Region III(Modo to Budo) and Region IV(Budo to open sea) incresed about 58 days and 17 days, respectively.

본 연구에서는 EFDC모델과 입자추적모델을 이용하여 마산만의 담수유입에 의한 폐쇄성 내만의 물질체류시간을 산정하였다. 마산만의 해수유동을 재현하고 이를 바탕으로 평균체류시간을 계산하였다. 마산만의 조석에 의한 평균물질체류시간은 만 북측과 돝섬 부근까지가 약 110일이내, 모도 주변 해역이 약 40일, 부도에서 외해까지 약 20일 정도로 산정되었다. 담수유입에 따른 마산만의 4개 소해역별 평균물질체류시간은 I과 II영역에서 약 81일로 감소하였으나, 마산만의 외해측에 위치한 III과 IV영역은 각각 58일과 17일로 증가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경상남도(2008),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제1차 연안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pp. 1-234.
  2. 국토해양부(2009), 마산만 연안오염총량관리 연구, pp. 1-977.
  3. 김종구, 박청길, 김광수(1994), 하계 마산만의 부영양화 제어를 위한 생태계모델의 적용, 한국환경과학회지, 3(3), pp. 1-11.
  4. 김종화, 장선덕, 김삼곤(1986), 마산만의 해수유동에 관하여, 한국수산과학회지, 19(3), pp. 274-280.
  5. 김종화, 이문옥, 강주복(1992), 마산만의 오염물질 수송에 미치는 바람 효과, 한국어업기술학회지, 28(4), pp. 385-397.
  6. 김진혁, 박건형, 김기철, 서경석(2011), 대산항 해역의 부유사 확산 수치모사, 대한환경공학회논문집, pp. 16-24.
  7. 김차겸(1994), 진해만 조류 및 취송류의 3차원 수치모형 실험, 한국해양학회지, 29(2), pp. 95-106.
  8. 류청로, 김종규, 설동관(1998), 조류에 의한 내만의 해수교환율 산정 모델 -입자추적모델의 응용-, 한국해양공학회지, 12(4), pp. 76-82.
  9. 박성은, 홍석진, 이원찬(2009), Particle Tracking Model을 이용한 평균체류시간의 공간분포 계산, 한국해양공학회지, 23(2), pp. 47-52.
  10. 박성은, 이원찬, 홍석진, 김형철, 김진호(2011), 조석주기별 오염물질 방출에 따른 마산만의 체류시간 및 해수교환율 변화,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14(4), pp. 249-256.
  11. 신소영, 이충일, 황선출, 조규대(2004), 마산만 주변해역에서 오염인자와 해양환경변동과의 관계, 해양환경안전학회지, 10(2), pp. 69-79.
  12. 양동범(1992), 1986년 하계 마산만의 각종 질소화합물분포와 산소소비율에 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27(4), pp. 303-310.
  13. 오영민, 안희도(1999), 마산만 해수순환특성에 대한 수리모형실험, 대한토목학회지, 19(2-6), pp. 687-694.
  14. 유민욱, 김영도, 류시완, 서일원(2008), 마산만 조위를 반영한 오염물질의 이송 및 확산 연구, 대한상하수도학회.한국물환경학회 2008공동 추계학술발표회, pp. 516-517.
  15. 이상진, 도길명(1986), 마산만 해저토중의 중금속류의 함량, 경남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환경연구, 8, pp. 11-19.
  16. 윤석진, 이인철(2004), 마산만 준설사업 및 하수처리장 가동에 따른 진해만의 수질변동, 한국해양공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지, pp. 117-122.
  17. 이지원, 민병윤, 송전종명, 협본충명(1995), 마산만 표층저질에 잔류하는 유기염소화합물, 경남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환경연구, 17, pp. 96-101.
  18. 이찬원, 민병윤, 권영택, 양운진, 이규환(1990), 마산만 퇴적물의 중금속 및 유기염소화합물 오염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환경연구소 생산기술연구소논문집, 12, pp. 5-24.
  19. 장선덕, 김차겸, 이종섭(1993), 진해만 조류의 현장관측 및 수리모형실험, 한국수산과학회지, 26(4), pp. 346-352.
  20. 정태성(1996), 마산.진해만 조류에 관한 3차원 수치모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16(2-1), pp .63-72.
  21. 주진규, 황병기, 이정렬(2000), 부영양화 모형을 이용한 마산만 수질 예측,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한국수도협회 공동춘계학술발표회, pp. 351-353.
  22. 홍석진, 이원찬, 윤상필, 박성은, 조윤식, 권정노, 김동명(2007), 마산만의 자생 유기물 저감을 위한 단순 박스모델의 적용, 해양환경안전학회지, 13(2), pp. 111-118.
  23. 홍순우, 하영칠, 안태석(1985), 진해만의 수질과 생태계에 관한 요인분석에 관하여, 한국물환경학회지 수질보전, 1(1), pp. 9-17.
  24. Abdelrhman M. A.(2005), SimplifiedModeling ofFlushing and Residence Times in 42 Embayments in New England, USA, with Special Attention to Greenwich Bay, Rhode Island,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62, pp. 339-351. https://doi.org/10.1016/j.ecss.2004.09.021
  25. Hamrick, J. M.(1992), A three-dimensional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mputer code: Theoretical and computational aspects, The College of William and Mary, VIMS, Special report 317.
  26. Murakami K.(1991), Tidal Exchange Mechanism in Enclosed Regions, In: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ydraulic Modelling of Coast Estuary and River Waters, 2, pp. 111-120.
  27. Takeoka, H.(1984), Fundamental Concepts of Exchange and Transport time scale in a Coastal sea, Continental Shelf Research, 3, pp. 311-393. https://doi.org/10.1016/0278-4343(84)90014-1
  28. Zimmerman, J. T .F.(1976), Mixing and Flushing of Tidal Embayments in the Western Dutch Wadden Sea, Part I: Distribution of Salinity and Calculation of Mixing Time Scale, Netherlands Journal of Sea Research, 10, pp. 149-191. https://doi.org/10.1016/0077-7579(76)90013-2

Cited by

  1. Long-Term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Jinhae Bay vol.17, pp.4, 2014, https://doi.org/10.7846/JKOSMEE.2014.17.4.324
  2. Estimation on Average Residence Time of Particulate Matters in Geoje Bay using Particle Tracking Model vol.22, pp.1, 2016, https://doi.org/10.7837/kosomes.2016.22.1.020
  3. Numerical simulation for dispersion of anthropogenic material near shellfish growing area in Geoje Bay vol.28, pp.3, 2016, https://doi.org/10.13000/JFMSE.2016.28.3.831
  4. 만조와 간조시 마산만 수질의 농도차 발생 특성의 분석 vol.21, pp.2, 2011, https://doi.org/10.17663/jwr.2019.21.2.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