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s1

검색결과 407건 처리시간 0.042초

세포분열에 관여하는 인간의 CIP29/Hcc1 유전자와 상동성을 가지는 분열형 효모의 새로운 유전자 mas1+의 특성분석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as1+ of Schizosaccharomyces pombe, a Homologue of Human CIP29/Hcc-1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Cell Division)

  • 차재영;신상민;하세은;이정섭;박종군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2호
    • /
    • pp.1666-1677
    • /
    • 2011
  • 세포주기조절에서 유전자 발현의 조절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유전자인 CIP29/Hcc1과 상동성을 가지는 분열형 효모의 새로운 유전자 mas1+을 분리하였다.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수행하여 cDNA를 얻고 이 c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mas1+의 전체 염기서열은 735 bp로서, 245개의 아미노산을 암호화하고 있다. mas1+의 프로모터에서는 M-G1에 특이적인 전사를 보이는 유전자들에 보존되어 있는 PCB 서열이 발견되었다. 세포주기별 mas1+의 전사 수준을 분석한 결과 격막이 형성된 세포수의 빈도를 나타내는 격막 세포지표 의 양상과 유사하게 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mas1+ 결손 돌연변이를 $25^{\circ}C$$36^{\circ}C$에서 배양한 결과, 세포질 분열과정이 늦어진 다중격막 세포의 빈도가 증가하였다. 이를 FACS로 분석하여 DNA 함량이 2C, 4C와 6C등이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mas1+결손 돌연변이 세포를 질소 결핍 배양액에서 배양한 결과 다중격막 세포의 형성이 확연히 증가하였는데 이는 질소 결핍에 따른 세포분열의 가속화 단계에서 mas1+의 결손이 특히 부정적 영향을 초래함을 시사한다. mas1+ 유전자 결손 돌연변이 세포에 mas1+을 포함한 plasmid를 형질전환한 후 mas1+의 발현을 유도한 결과 정상의 세포 형태로 전환됨을 확인하였다. Mas1 단백질에 EGFP를 융합시켜 발현을 유도한 결과 핵내에서 위치함을 분열형 효모와 인간 배양세포인 HeLa에서 확인하였다. 또한, mas1+ 결손 돌연변이에서 상동성을 가지는 인간 유전자 CIP29/Hcc1을 발현시킨 결과 multi-septate 세포가 줄어들었다. 한편, 생쥐의 배발달 단계에 따른 CIP29 유전자의 전사체 수준은 세포 분열이 활발한 시기에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Mas1은 인간의 핵단백질인 유전자 CIP29/Hcc1과 구조 기능적으로 상동성을 가지며, 세포주기 중 M-G1에 속하는 세포질 분열에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자가혈위지압을 활용한 모바일 의료 어플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Mobile Health Applications Using Self-Acupressure)

  • 박서경;이조현;정가영;장세린;김상호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40권1호
    • /
    • pp.1-12
    • /
    • 2023
  •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provide information regarding the status and quality of mobile applications (MAs) using self-acupressure by performing a systematic review. Methods : We conducted comprehensive searching on five international databases and two app markets from inception to July 31, 2022 to identify MAs using self-acupressure.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 regarding the name of the MA, registered app markets, target symptoms, developers, the year and country of development, cost, target age, media function, and expertise. We assessed the quality of each MA using Mobile Application Rating Scale (MARS). Results : We identified a total of 30 MAs using self-acupressure (25 MAs from the app market and 6 MAs from clinical studies, with 1 MA in common). 17 out of 24 MAs from the app market provided self-acupressure regimens for various symptoms and the others provided regimens for specific symptoms such as memory, anxiety, depression, asthma, allergy, low back pain, and headache. 14 developers were reported. 23 MAs were developed after 2013. The largest number of MAs were developed in the United States. The target age group of 12 MAs was above the age of 3, and that of 11 MAs was above the age of 12. 14 MAs provided multimedia functions such as videos. 13 MAs provided information of expertise. From clinical studies, only 3 out of 6 MAs were accessible through the app market. 4 MAs we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of the study. In terms of MARS, the score of MAs from the app market was higher than that of MAs from clinical studies in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evaluation areas. Conclusions : This study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of MAs using self-acupressure. More MAs using self-acupressure should be developed and further clinical research for MA on each symptom and disease is warranted for the diversification of MA fields using self-acupressur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N(CH3)4]2CdCl4 determined by 1H MAS NMR, 13C CP/ MAS NMR, and 14N NMR

  • Lee, Seung Jin;Lim, Ae Ran
    • 한국자기공명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8-22
    • /
    • 2015
  • The structural geometry of $[N(CH_3)_4]_2CdCl_4$ in a hexagonal phase is studied by $^1H$ MAS NMR, $^{13}C$ CP/MAS NMR, and $^{14}N$ NMR. The changes in the chemical shifts for $^{13}C$ and $^{14}N$ in the hexagonal phase are explained by the structural geometry. In addition, the temperature dependencies of the spin-lattice relaxation time in the rotating frame $T_{1{\rho}}$ for $^1H$ MAS NMR and $^{13}C$ CP/MAS NMR are measured.

분열형 효모에서의 mas2+ 유전자의 세포 내 기능 (Intracullular Functions of the mas2+ Gene in the Fission Yeast, Schizosaccharomyces pombe)

  • 신상민;차재영;하세은;심선미;김형도;이정섭;박종군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01-110
    • /
    • 2009
  • 유전자 발현의 조절은 세포주기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 새로운 $mas2^+$ (${\underline{m}}itosis$ ${\underline{as}}sociated$ protein) 유전자는 인간의 SMARCAD1와 상동성을 갖고 분열형 효모인 Schizosaccharomyces pombe (S. pombe)에서 gene-specific PCR 방법에 의해서 분리하였다. 분리된 유전자는 SNF2 도메인이 위치해 있고, 이것은 염색체 재구성에 관련되어 있다. $adh1^+$을 이용한 $mas2^+$ 전사체의 발현량 분석은 $mas2^+$의 발현수준은 S. pombe에서 격막 형성 전에 가장 높았다. $mas2^+$ 완전돌연변이의 세포분열은 26와 $35^{\circ}C$에서 지연되는 현상이 보였고, 다수익 다중 격막이나 핵분열이 일어나지 않는 세포들을 발견하였다. 세포들을 완전배지인 YES에서 증식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배양했을 때, 정상과 다른 형태의 표현형을 가진 $mas2^+$ 완전돌연변이 세포들이 증가했다. 이런 표현형들은 $mas2^+$ 유전자의 과발현에 의해서 감소하였다. Mas2 단백질은 S. pombe의 핵내에 위치하였다. 이런 결과들은 $mas2^+$가 인간의 SMARCAD1과 상동성을 갖고 있고, 염색체 재구성과 격막 형성 조절에 사용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분열형 효모에서 mas3 유전자의 세포내 기능 연구 (Studies on Intracellular Functions of the mas3 Gene in the Fission Yeast, Schizosaccharomyces pombe)

  • 황미라;차재영;신상민;박종군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24-131
    • /
    • 2005
  • 세포주기 조절에서 유전자 발현의 조절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유전자인 SMARCADl과 상동성을 가지는 분열형 효모의 새로운 유전자 $mas3^+$를 분리하였다. 이 두 유전자는 $87\%$의 상동성을 보인다. $mas3^+$유전자는 DEAD/H box를 포함한 7개의 motif를 가지고 있어서 helicase superfamily 중에서도 SNF2 family에 속한다. kanMX6를 선별 표지로 이용하여 $mas3^+$유전자 결손 세포를 구성하였고 $mas3^+$ 유전자 결손 세포는 UV와 MMS처리 실험에서 정상의 세포와 생존율이 비슷하여 DNA상해회복과는 관련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mas3^+$ 유전자의 세포주기별 발현 양을 분석한 결과 $G_2$단계부터 점차적으로 발현양이 늘어났다. $mas3^+$결손 돌연변이를 $26^{\circ}C$$35^{\circ}C$에서 배양한 결과, 비정상적인 세포질 분열 과정으로 인해 다중 격막 세포의 빈도가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mas3^+$유전자는 세포질 분열과 세포형태 형성에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Immunolocalization of Allatotropin Neuropeptide in the Developing Brain of the Silk Moth Bombyx mori

  • Park, Cheolin;Lee, Bong-Hee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5권3호
    • /
    • pp.211-216
    • /
    • 2001
  • Polyclonal antiserum against Manduca sexta allatotropin has been utilized to investigate the localization of allatotropin-immunoreactivity in the brain of the si1k moth Bombyx mori. Manduca sexta allatotropin-immunoreactive (Mas-AT-IR) neurons were found in all larval brains investigated, but not in prepupal, pupal and adult brains. In the larval stages, first appearance of Mas-AT-immunoreactivity w8s shown in the brain of first instar larvae, which contains four pairs of bilateral Mas-AT-IR cell bodies. Labeled neurons increased to six pairs in the second instar larval brain, including two pairs of median neurosecretory cells in the pars intercerebralis. In the third and fourth instar larvae, five pairs of labeled cell bodies were distributed throughout each brain. In the fifth instar, there were about ten pairs of bilateral cell bodies in the day-1 brain, about seven pairs in the day-3 brains, and five pairs in the day-5 brains, respectively. Mas-AT-labeling was observed in both axons within nervi corpora cavdiaci (NCC) 1+11 and corpora allata. This suggests that the Mas-AT produced from the brain neurons is transported via some axons of the NCC 1+11 and nervi corpora allati I to the corpora allata, which appears to be a main accumulation site for the Mas-AT neuropeptide in some brain neurons produced in B. mori.

  • PDF

벼멸구 저항성 계통선발을 위한 MAS의 선발효율 비교 (Comparison of Selection Efficiency between Marker-Assisted Selection and Phenotypic Selection for Development of Brown Planthopper Resistance Lines in Rice)

  • 김석만;손재근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8-5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벼멸구 저항성 개통 육성과정 중에 수행한 PS와 MAS system간의 선발 효율을 정확성, 소요시간, 소요비용 등의 요인으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MAS system의 선발 효율을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MAS system을 구축하고 실용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DNA marker를 이용하여 벼멸구 저항성 개체를 선발하고 MAS 체제를 확립하기 위하여 '삼강/낙동' 조합의 $F_2$집단, RIL($F_6$), DH집단, 여교잡집단($BC_6F_5$)을 대상으로 PS와 marker 검정을 병행하여 두 검정 방법 간에 각 잡종집단 및 세대별 저항성과 감수성 계통(개체)의 비율을 비교한 바 95%이상 일치하였다. MAS 체제와 PS간의 선발효율을 비교한 바 MAS는 PS에 비해 약 32%의 비용이 절감되었고, 검정에 소요되는 기간도 기존의 PS에서는 30일인데 비해 MAS에서는 7일로 크게 단축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MAS에 의한 벼멸구 저항성 계통 선발 체계를 확립 할 수 있었다.

The Immediate Effect of Medial Arch Support on Dynamic Knee Valgus During Stair Descent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Severity of Pronated Feet

  • Yoo, Hwa-ik;Jung, Sung-hoon;Lee, Do-eun;Ahn, Il-kyu;Kwon, Oh-yun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08-214
    • /
    • 2022
  • Background: Pronated foot posture (PFP) contributes to excessive dynamic knee valgus (DKV). Although foot orthoses such as medial arch support (MAS) are widely and easily used in clinical practice and sports,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effect of MAS on the improvement of DKV during stair descent in individuals with a PFP. Moreover, no studies reported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DKV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PFP when MAS was applied. Object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mediate effect of MAS on DKV during stair descent and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navicular drop distance and changes in DKV when MAS is applied. Methods: Twenty individuals with a PFP (15 males and five fema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navicular drop test was used to measure PFP severity. The frontal plane projection angle (FPPA) was calculated under two conditions, with and without MAS application, using 2-dimensional video analysis. Results: During stair descent, the FPPA with MAS (173.1° ± 4.7°)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without MAS (164.8° ± 5.8°) (p < 0.05).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navicular drop distance and improvement in the FPPA when MAS was applied (r = 0.453, p = 0.045). Conclusion: MAS application can affect the decrease in DKV during stair descent. In addition, MAS application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knee alignment for individuals with greater navicular drop distance.

Voight 함수를 이용한 MAS-NMR 스펙트럼 시뮬레이션 (The Simulation of MAS-NMR Spectrum by the Voight Lineshape)

  • 강명진;심문식;유영래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7-24
    • /
    • 1997
  • Gauss 함수와 Lorentz 함수의 convolution인 Voight 함수를 혼합 알칼리 유리, 전이금속 산화물을 첨가시킨 유리 등의 MAS-NMR 스펙트럼의 시뮬레이션에 적용시켜 보았다. Gauss와 Lorentz의 convolution은 적분할 수 없으므로 어떤 형태를 갖는 Voight 함수는 없다. 그래서 컴퓨터를 이용한 개념적(원시적) 적분 방법으로 각 진동수에 대하여 Voight 함수 값을 얻었고, 그것은 MAS-NMR 스펙트럼과 매우 잘 일치하였다. 이 과정에서 MAS-NMR lineshape의 변화(Gauss에서 Lorentz lineshape으로의 변화 또는 그 반대)를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은 경우는 주의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유리의 구조, 전도 기구 또는 혼합 알칼리 효과 등을 연구하기 위해 NMR 스펙트럼을 컴퓨터 시뮬레이션 할 때 NMR 스펙트럼의 lineshape을 Gauss 함수 꼴로 가정해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때 주의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NMR 스펙트럼 선 모양이 실제로는 Voight 함수 형태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 PDF

Multinuclear Solid-state NMR Investigation of Nanoporous Silica Prepared by Sol-gel Polymerization Using Sodium Silicate

  • Kim, Sun-Ha;Han, Oc-Hee;Kim, Jong-Kil;Lee, Kwang-H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10호
    • /
    • pp.3644-3649
    • /
    • 2011
  • Multinuclear solid-state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local structure changes of nanoporous silica during hydrothermal treatment and surface modification with 3-aminopropyltriethoxysilane (3-APTES). The nanoporous silica was prepared by sol-gel polymerization using inexpensive sodium silicate as a silica precursor. Using $^1H$ magic angle spinning (MAS) NMR spectra, the hydroxyl group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surface reactions, were probed. Various silicon sites such as $Q^2$, $Q^3$, $Q^4$, $T^2$, and $T^3$ were identified with $^{29}Si$ cross polarization (CP) MAS NMR spectra and quantified with $^{29}Si$ MAS NMR spectra. The results indicated that about 25% of the silica surface was modified. $^1H$ and $^{29}Si$ NMR data proved that the hydrothermal treatment induced dehydration and dehyroxylation. The $^{13}C$ CP MAS and $^1H$ MAS NMR spectra of 3-APTES attached on the surface of nanoporous silica revealed that the amines of the 3-aminopropyl groups were in the chemical state of ${NH_3}^+$ rather than $NH_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