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ket Concentration Index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 면세점 산업의 구조, 독과점인가? (Is the Korean Duty Free Shop Industry Monopolistic?)

  • 이희태;차문경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10호
    • /
    • pp.47-57
    • /
    • 2016
  • Purpose - This study's purpose is to investigate the market structure of the Korean duty free shop industry that has received recent attention from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By raising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the Korean duty free shop industry is unequivocally monopolistic, a wider viewpoint is provided. The study seeks to offer insights and managerial implications for marketers and policy makers who are in charge of regulating major Korean duty free shop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authors use secondary data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Korea Customs Service and the Moodie Report,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the duty free shop industry of Korea. Based on several theories, they present various criteria and statistical evidence such as K-firm concentration ratio, HHI, consumer substitutability, excess profit, and marketing costs. Results - In terms of consumer substitutability, it is difficult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Korean duty free shop industry is monopolistic. Notwithstanding monopoly characteristics in terms of market share, neither the company Lotte nor Shilla appear to have market dominating power. It is not easy for either of them to control prices or to achieve a much lower operational profit ratio due to a dominant bargaining power. Moreover, the license is not an economic rent. In this situation, it is not easy for these companies to obtain an excessive profit. Conclusions - Considering that most global duty free shops are trying to go upscale to improve bargaining power, it does not seem likely that rigid regulations are needed in the industry. Even though the Korean duty free industry ostensibly has a monopolistic structure, government and policy-makers should look beyond the surface. They should take global and other reasonable criteria into consideration when they establish or change regulation policies. Thorough understanding and appropriate support are needed for the Korean duty free shop industry. Additionally, duty free shops should position themselves as global companies struggling against unlimited international competition, rather than Korean domestic companies. At the same time, they need to give customers appropriate information about the benefits they provide.

한국 컨테이너 해운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선대 규모 분석 (Analysis of Fleet Capacity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Container Shipping in Korea)

  • 박성화;김태일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05-120
    • /
    • 2017
  • 본 연구는 글로벌 컨테이너 해운시장의 경쟁구조 변화를 살펴보고 세가지 관점에서 우리나라 컨테이너선대 규모를 분석하였다. 경쟁구조 변화 분석에서는 시장집중도 비율과 허쉬만-허핀달 지수를 분석하였으며 선대 규모 분석에서는 첫째 얼라이언스 내 경쟁력 확보 규모, 둘째 국내 수출입 컨테이너 화물의 국적선 적취율 제고를 위한 선대규모, 셋째 주요 해운국의 특성을 고려한 패널모형을 통한 선대규모 분석 세가지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글로벌 컨테이너 해운시장이 과점화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한국의 컨테이너 선대 규모는 세가지 분석 모두에서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장지배력 수준과 요금인하 간의 관계분석: 이동통신서비스시장의 국제비교 (Market Power and Retail Price in Mobile Communications Industry: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 최새솔;한성수
    • 국제지역연구
    • /
    • 제18권3호
    • /
    • pp.231-248
    • /
    • 2014
  • 경쟁구조와 산업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경쟁정책 분야의 핵심 주제이다. 특히 통신 산업과 같이 독과점적 시장을 형성할 가능성이 큰 산업에서는 독점력이 산업성과(후생)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에 대해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즉 소수 사업자로 시장이 집중되면, 독과점에 의한 초과이윤의 개연성이 높아지고 이는 사회후생 증대에 부정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이동통신 산업의 시장구조(시장 지배력 형태)와 사회후생 성과(요금 인하)의 관계를 국제비교를 통해 실증하고자한다. 구체적으로, OECD 주요 21개국을 대상으로 국내시장의 경쟁구조 변화양상과 사회후생 성과수준을 비교하며, 시장지배력 수준에 따른 평균 소매요금 인하율의 차이를 실증한다. 분석결과는 국내시장의 경쟁상황 및 시장구조는 글로벌 추세와 상당한 괴리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독점시장으로 인식되는 1위 사업자의 점유율(CR1>50)이 높은 시장에서는 소비자 후생을 증진시키는 요금인하가 더디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시장지배력이 강한 독점적 사업자의 독점력 완화가 요금인하, 후생증대에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주며, 경쟁정책의 방향이 시장집중도(HHI)의 개선뿐 아니라 지배적 사업자의 독점력 완화에도 초점을 두어야 함을 시사한다.

우리나라 BT 융합기술 시장의 특성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T-based Converging Technology Market in Korea)

  • 최나린;현병환;김방룡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99-322
    • /
    • 2012
  • 생명공학(BT) 분야는 고부가가치의 새로운 시장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으며, 타분야와 융합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0년동안 한국특허청(KIPO)에 등록된 특허를 기준으로 우리나라 BT 융합기술의 실태를 실증분석 하고자 한다. 특히 국제특허분류(IPC) 체계에 따라 융합기술을 동종융합과 이종융합 기술로 구분하였으며, 그 시장의 특성을 파악을 위하여 기술 및 기업집중도, 시장확보력지수(PFS) 비교 실증분석을 한다. 또한 FOS 기술-분류표를 활용하여 BT기술과 이종융합이 일어나고 있는 산업군을 파악하여 신시장 창출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그간 특허분석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우리나라 BT 융합기술 시장에 초점이 맞추어 진 연구는 거의 드문 실정으로 이러한 분석은 매우 의미가 있는 연구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융합기술 시장이 급속도로 확장되고 있으며, 소수 기업에 의하여 독과점화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종합적으로 BINET 융합 분야의 핵심 키워드 및 기술을 파악한다. 이러한 BT 융합의 추세는 향후 BT 산업화가 가속화되면서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되며,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된 향후 BT 기반 융합기술 정책수립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제조업자의 경로집중도 선행요인과 결과요인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Manufacturer's Degree of Channel Concentration)

  • 편해수;임채운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1권1호
    • /
    • pp.69-97
    • /
    • 2006
  • 본 연구는 전략적 관점에서 선택과 집중의 이슈를 복수유통경로 상황에 적용하여 복수유통경로를 활용하는 제조업자의 경로집중도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모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경로집중도의 개념을 도입하고, 경로집중도 개념에 대한 측정지표를 개발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향후 경로관리연구에 응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복수유통경로구조를 설명하기 위해서 거래비용이론과 시장지배력이론을 검토하고 적용하여 복수유통경로구조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복수유통경로상에서 경로관리전략을 수립하는 기업들에게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런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해 가설을 도출하였으매, 국내 소비재 제조기업 표본 248개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과 미래 연구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PDF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품력 검증을 위한 평가 지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Indices for Testing PoP of Mobile Phones)

  • 고승곤
    • 응용통계연구
    • /
    • 제23권6호
    • /
    • pp.1035-1045
    • /
    • 2010
  •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 서비스는 시장에 소개되기 전에 기술적 검증과 사용 환경에 대한 객관적인 검토를 거쳐야 한다. 이를 위해 각 기업에서는 경험적으로 확인된 다양한 절차와 방법을 이용하여 올바른 상품력(Power of Product Service)을 판단할 수 있는 객관적인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상품력은 특정 기능 또는 개별 특성에 대한 평가 보다는 다양한 고객의 요구 사항에 기초한 여러 특성이나 기능들을 동시에 반영할 수 있을 때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고승곤 (2008)은 품질 평가 방법인 시그마 수준(Sigma Level)을 확장하여 다양한 특성들을 종합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MSL(Multi-characteristic Sigma level)을 소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MSL과 새로운 고객 선호 일치도를 반영하는 BOI(Blue Ocean Index)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품력 평가 방법을 확인해 보고 이를 통해 실무적 그리고 통계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플랫폼 비즈니스에서의 승자독식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 특성 (Service Characteristics Leading to "Winner-takes-all" Phenomenon in Platform Business)

  • 전익진;안재현;김도훈
    • 경영과학
    • /
    • 제33권4호
    • /
    • pp.33-49
    • /
    • 2016
  • The market of platform business is typically served by a few dominant players, presenting "winner-takes-all" phenomenon. This study aims to find service characteristics leading to the phenomenon. Six different service-characteristics were considered : Same-side network effect, cross-side network effects, entry barrier, multi-homing cost, switching cost, and heterogeneity of preference. To assess the degree of concentration of market share, HHI (Herfindahl-Hirschman Index) is calculated for top three major players. Based on the HHI value, 10 most eminent platform businesses are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segments and each segment is characterized with key factor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provide some insight into the strategic management of platform business.

영화 흥행 집중도와 상영 스크린 집중도로 살펴본 한국 영화산업 10년 (Last Ten Years of Korean Movie Industry through the Analysis on the Concentrations of Film Admission and Screening)

  • 김정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151-167
    • /
    • 2015
  • 한국 영화의 시장 점유율은 최저 2008년 42.1%에서 최고 2013년 59.7%로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멀티플렉스와 와이드 릴리스 전략, 4대 메이저 배급 회사와 3대 멀티플렉스 체인의 독과점의 영향으로 한국 영화 흥행의 양극화 현상은 심화되고 있다. 한국 영화 흥행 집중도는 2004년 0.53에서 2014년 0.85로 심화되었다. 흥행 순위 상위 10%의 한국 영화가 차지하는 관객 수 비중은 2004년 30.28%에서 2014년 71.2%로 급격히 높아진 반면에, 흥행 순위 하위 50%는 2004년 11.03%에서 2014년 0.08%로 아주 낮아졌다. 상영 스크린 집중도도 2004년 0.36에서 2014년 0.67로 심화되었고, 상영 횟수 집중도도 2004년 0.46에서 2014년 0.78로 높아졌다. 좌석 수의 집중도도 2004년 0.50에서 2014년 0.79이다. 많은 관객이 선택하는 영화라서 상영 스크린 수를 늘리고, 상영 횟수를 늘리고, 많은 좌석 수를 확보한다면, 이는 자연스러운 시장의 선택 결과라고 하겠다. 하지만 이들 영화들의 좌석 점유율 집중도를 보면 그렇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좌석 점유율 집중도는 2004년 0.22에서 2014년 0.38로 다른 집중도와는 달리 완만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상위 10% 영화들의 좌석 점유율은 2004년 38.2%에서 2014년 32.3%이며, 하위 50%는 2004년 23.5%에서 2014년 23.8%로 나타났다.

경기북부지역 정수장 및 약수터의 미네랄 성분 분포 연구 (Mineral Components of Water Supply Plants and Spring Waters in Northern Gyeonggi Area)

  • 송희일;임한수;박경수;박현구;이현진;조미현;김영연;오조교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38-246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mineral components, health and taste index for water supply plants, spring water located in northern Gyeonggi area and bottled waters in market to analyze Ca, K, Mg Na, Si, $F^-$ and $SO_4{^{2-}}$. Method: The samples were source and tap water in 15 water supply plants over 9 river basin, 172 spring water and 20 bottled water. The Ca, K, Mg Na and Si were analyzed by ICP-OES. The $F^-$ and $SO_4{^{2-}}$ were determined by Ion Chromatograph. Then, taste and health index were calculated using Hashimoto equation. Results: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major minerals showed in same order of Ca > Na > Mg > K for all kinds of drinking water from water supply plants, spring waters and bottled waters. Total concentration of major minerals (Ca, K, Mg, Na) was calculated that showed 26.79 mg/L of tap water, 21.81 mg/L of spring water, 32.94 mg/L of bottled water on average. So, the spring waters indicated the lowest minerals sum. The tap water from water supply plants was categorized to Group I, II for 33.3, 44.4% according to K-index and O-index. Otherwise, spring water was classified as Group I, II for 44.0, 46.3%.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K and O-index, water from water supply plant showed higher K-index which means good for the health. Otherwise, spring water indicated higher O-index that people can feel more delicious than tap water. Futhermore, the mineral distribution of source water from water supply plants and spring water had indicated high correlation with geological effect.

Diversification, Industry Concentration, and Bank Margins: Empirical Evidence from an Emerging South Asian Economy

  • SARWAR, Bilal;MUHAMMAD, Noor;ZAMAN, Nadeem Uz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7호
    • /
    • pp.349-360
    • /
    • 2020
  • The study aims to empirically examine the determinants of bank margins from Pakistan, an emerging South Asian economy. To elucidate the importance of the Pakistani banking sector, secondary data has been used, which was extracted from the annual accounts of twenty-four Pakistani scheduled commercial banks (20 conventional, four full-fledged Islamic) over a sample period of 2006 to 2017. The factors identified in the dealership model and the subsequent empirical developments in the dealership model categorized as bank-specific, diversification, regulatory, and industry concentration are analyzed by applying the most-common linear dynamic panel-data estimator, the Generalized Method of Moments (GMM) estimator, developed by Arellano and Bond (1991). The findings reveal that, among the bank-specific variables, funding cost, credit risk, managerial efficiency, market share, and operating cost are significant predictors of bank margins. For diversification variables employed in the study, both variables including net non-interest income and asset diversity are as well significant predictors of bank margins. It is also found that the market concentration variable proxied by the Herfindahl-Hirschman Index (HHI) is significantly predicting bank margins. Subsequently, one of the regulatory variables, the opportunity cost of holding reserves, and one bank-specific variable, the degree of risk aversion, are insignificant in the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