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ne meteorology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18초

무인 해양관측기 (ARGO 플로트) 자료를 이용한 울릉분지 및 독도 주변해역 해황 변동성 분석 (Variability of Ocean Status around Ulleung Basin and Dok-do by using ARGO Data)

  • 윤용훈;장유순;현유경;조창우;구자옥;조민광;반영석;박성준;김수정
    • 대기
    • /
    • 제16권4호
    • /
    • pp.379-385
    • /
    • 2006
  • Meteorological Research Institute (METRI) participates the R&E (Research and Education) program of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ation,"Variability of ocean status around Ulleung basin and Dok-do by using ARGO data" as a part of "Carricula development for gifted students" program. From this program, we support students to have an opportunity for handling scientific data with advanced technology and inspire their scientific interests. In this article, we introduce the training processes of this program and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by the students themselves.

해일유발지진의 응력강하 특성 (Stress Drop Characteristics of the Tsunami Generating Earthquake)

  • 오석훈;윤용훈;양준모;김수경;이덕기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704-710
    • /
    • 2003
  • 해일지진 및 해일유발지진의 특성을 기존의 연구결과인 규모, 모멘트, 에너지 그리고 단층의 길이 등의 자료를 이용하여 응력강하량 및 지체구조 관점에서 분석을 하였다. 해일지진(Tsunami Earthquake)은 일반 지진이나 해일유발지진(Tsunamigenic Earthquake)보다는 약 10bar 정도의 매우 낮은 응력강하량을 가지며 에너지/모멘트 비가 매우 작으며 주로 해구의 매우 낮은 경사의 스러스트 단층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이 된다. 한편 동해에서 해일을 유발한 지진들은 약30${\sim}$50bar의 응력강하량로서 에너지/모멘트비가 세계평균과 비슷한 스러스트 단층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유추된다. 따라서 응력강하, 에너지/모멘트 비, 그리고 스러스트 단층의 경사각은 지진해일 발생특성을 나타내는 인자로 대표될 수 있다.

서해 중부 해상 대기의 연직구조 분척 (Analysis of Vertical Structure of Atmosphere on the Middle Part of the Yellow Sea)

  • 윤용훈;임주연;김백조;김태희;서장원;조하만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3-39
    • /
    • 2000
  • 상층과 하층의 대기구조 특성을 알아내기 위하여, 해양의 특성을 잘 표현한다고 사료되는 섬(충남 보령시 오천면 외연도리)을 관측지점으로 선택하여 라디오존데를 이용하여 대기의 연직구조를 관측하였다. 관측결과를 이용하여, 저 고기압이 통과할 때의 상대습도, 기온과 바람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각각의 경우에 대해 결과치들을 비교하였다. 해양과 육상에서의 대기구조를 비교하기 위하여 오산의 관측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대습도가 고 저기압의 통과에 따라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저기압이 다가올 때는 상대습도는 하층보다 상층에서 먼저 증가하였으나 고기압이 다가올 때는 상층에서 10%까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또, 상대습도 변화폭이 육상에서보다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앞으로 해양과 육상에서의 수증기간의 관계를 계절별, 그리고 일별로 동시간 관측을 통해 찾고자 한다.

  • PDF

Validation of Salinity Data from ARGO Floats: Comparison between the Older ARGO Floats and that of Later Deployments

  • Youn Yong-Hoon;Lee Homan;Chang You-Soon;Thadathil Pankajaksha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29-136
    • /
    • 2005
  • Continued observation of ARGO floats for years(about 4 years) makes the conductivity sensor more vulnerable to fouling by marine life and associated drift in salinity measurements. In this paper, we address this issue by making use of floats deployed in different years. Floats deployed in the East Sea and the Indian Ocean are examined to find out float-to-float match-ups in such a way that an older float pops up simultaneously with a newer deployment (with tolerable space-time difference). A time difference of less than five days and space difference of less than 100km are considered for the match-up data sets. For analysis of the salinity drift under the stable water mass, observations of the floats from deepest water masses have been used. From the cross-check of ARGO floats in the East Sea and the Indian Ocean, it is found that there is a systematic drift in the older float compared to later deployments. All drift results, consistently show negative bias indicating the typical nature of drift from fouled sensors. However, the drift is much less than 0.01, the specified accuracy of ARGO program.

적도 태평양 아표층 자료의 시계열 분석 및 표층 수온 예측 (Time Series Analysis of the Subsurface Oceanic Data and Prediction of the Sea Surface Temperature in the Tropical Pacific)

  • 장유순;이다운;윤용훈;서장원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706-713
    • /
    • 2005
  • 엘니뇨현상과 관련된 해양 아표층 변동성을 조사하기 위해 1980년부터 2004년까지의 적도 해역의 20도 등온선 깊이(Z20)와 난수질량(WWV)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성분 분석, 합성 분석 및 교차상관 분석 결과, 아표층 시계열 자료는 Nino3.4 SST와 유의미한 시간 지연을 가지고 강한 상관성을 보였다. 이 결과는 아표층 해양 변수가 엘니뇨현상에 유용한 예측 인자임을 시사한다. 분석된 결과를 근거로 1996년부터 2004년까지 Nino3.4 SST를 예측하기 위해 신경망 예측 모델을 구성하였다. 해상풍을 입력 자료로 사용하였을 경우 보다 WWV를 적용하였을 때 3개월 이하의 단기 예측을 제외하고 모든 예측 시간에서 더 우수한 예측력을 보였으며, 5-8개월의 예측에 있어서는 기존의 여러 통계 모델 결과보다 예측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광대역 관측소 하부 암석의 고주파수 탄성파 속도 및 감쇠상수에 대한 연구 (High frequency P velocity and attenuation coefficient of the rocks under the broad-band seismic station)

  • 이덕기;오석훈;윤용훈;양준모
    • 지구물리
    • /
    • 제5권3호
    • /
    • pp.165-174
    • /
    • 2002
  • 기상청 광대역 관측소 6개소에 대한 표층 암석의 탄성파 전달속도 및 감쇠상수를 도출하기 위하여, 실험실에서 고주파 탄성파를 암석시료에 통과시켜 도달시간 및 파형을 분석하였다. 측정되어진 암석시료의 속도는 3.2 km/s에서 5.6 km/s의 범위를 가지며 이는 암석종류, 광물입자, 배열상태, 그리고 풍화의 정도에 따라서 달라진다고 추정된다. 감쇠상수는 0.06에서 4.3 db/kHz-m의 범위를 보이며 대체로 암석시료 속도와 감쇠상수는 반비례하는 경향이 있다. 각 관측소 지진파의 평균도달시간이상과 실험실에서 측정한 탄성파 속도를 비교하여 본 결과, 비례하는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지진파 역행 전파를 이용한 지진원 영상화 (Imaging of Seismic Sources Using Time Reversal Wave Propagation)

  • 신동훈;박창업;황의홍;류용규;윤용훈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6년도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1-186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지진파 역행 전파를 이용하여 지진원을 영상화 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간 역행 전파는 파동 방정식의 시간 반전의 불변성과 상반정리로 설명할 수 있으며 파동의 시간 역행 전파는 의학적인 목적을 비롯한 비파괴 검사, 그리고 탄성파 파형 역산에 사용되어 매질을 영상화 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지진 관측소에서 관측된 지진파형은 지진원으로부터 방출된 에너지를 기록한 것이다. 이를 시간의 역순으로 매질로 전파시키면, 지진으로부터 전파되었던 에너지가 진원시각의 지진원 위치에 집중하게 되어 지진원을 영상화 시키는 원리이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지진파 전파의 수치 모의를 위해 엇갈린 격자 유한 차분법과 병렬 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탄성 매질에서의 파동방정식의 해를 구하였다. 수치모의 결과로부터 지진파 역행 전파를 이용해 지진의 시공간적 발생양상을 살펴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군집분석을 이용한 국지해일모델 지역확장 (Regional Extension of the Neural Network Model for Storm Surge Prediction Using Cluster Analysis)

  • 이다운;서장원;윤용훈
    • 대기
    • /
    • 제16권4호
    • /
    • pp.259-267
    • /
    • 2006
  • In the present study, the neural network (NN) model with cluster analysis method was developed to predict storm surge in the whole Korean coastal regions with special focuses on the regional extension. The model used in this study is NN model for each cluster (CL-NN) with the cluster analysis. In order to find the optimal clustering of the stations, agglomerative method among hierarchical clustering methods was used. Various stations were clustered each other according to the centroid-linkage criterion and the cluster analysis should stop when the distances between merged groups exceed any criterion. Finally the CL-NN can be constructed for predicting storm surge in the cluster regions. To validate model results, predicted sea level value from CL-NN model was compared with that of conventional harmonic analysis (HA) and of the NN model in each region. The forecast values from NN and CL-NN models show more accuracy with observed data than that of HA. Especially the statistics analysis such as RMSE and correlation coefficient shows little differences between CL-NN and NN model results. These results show that cluster analysis and CL-NN model can be applied in the regional storm surge prediction and developed forecast system.

해양기상 관측자료를 이용한 서해 중부해역 해무 분석 (Analysis of a Sea Fog Using Ocean-air Observation Data in the Mid-Yellow Sea off Korea)

  • 오희진;이호만;서태건;윤용훈;김태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03-314
    • /
    • 2003
  • 2002년 7월 8일에서 10일까지 AWS와 CTD를 이용하여 서해 중부 연안역에서 해양기상관측을 실시하였다. 수심이 낮은 태안반도 연안역에서 17$^{\circ}C$ 이하의 냉수가 출현하였고, 36$^{\circ}$20'N와 36$^{\circ}$30'N 사이에 정선을 따라 조석전선이 형성되었다. 기온의 분포는 수온의 분포양상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덕적도 주변(Al)에서 24시간 연속관측결과, 조류와 같은 주기로 북동부로부터 고온저염수와 남서부로부터 저온고염수의 이동이 관측되었다. 관측기간 중에 7월 8일 23시에서 9일 1시 30분까지, 9일 3시에서 5시까지 해무가 발생하였다. 해무발생 시 북태평양 고기압이 약해지면서 기온은 18$^{\circ}C$까지 하강하였고, 바람은 2-4m/s의 북동풍이 불었다. 위성사진을 분석하였을 때, 이 안개는 표층수온이 높은 황해서부를 중심으로 발생하여 시간이 지나면서 관측해역으로 확장된 증기안개이다. 이 해무는 기온과 풍속이 상승하면서 소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