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ne Transportation

검색결과 995건 처리시간 0.027초

목포항 출입항로의 환경스트레스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Environment Stress for Incoming and Outgoing Routes in mokpo harbor)

  • 김철승;정재용;정중식;금종수;박영수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37-43
    • /
    • 2005
  • 목포항 인근해역은 해상교통량이 많고, 해양사고가 빈발하고 있다. 특히, 목포구에서 목포항까지의 수역에는 협수로 형성, 안개 발생 빈번, 항로 폭 협소, 천수 수역 존재, 양식장 어망 과다, 소형 어선, 여객선, 화물선 등에 의한 특정 시간대 항내 교통량이 집중하여 해양사고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목포항만 수역내 해상안전의 위해요소 및 해상교통환경을 파악하고, 그 문제점을 도출하기 위해 목포항 입출항 항로에 대한 해상교통조사를 실시하여 해상교통흐름을 조사$\cdot$분석하여 교통실태를 파악하고, 통항경로대의 해상교통특성을 도출하여 해상교통류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환경스트레스를 평가하고자 한다.

  • PDF

목포 인근해역 항행 위험요소에 관한 분석 (A Study on the Analysis of Danger Elements in Navigational Areas Adjacent Mokpo port)

  • 박정호;금종수;노창균;윤명오;신철호;정재용;박계각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75-83
    • /
    • 2003
  • 목포항 접근 항행구역은 30마일 구간의 협수로로 이루어져 있으며 항로가 여러 지점에서 교차하고 있어 교통이 혼잡한 수역이다. 특히 목포구를 제외한 외측수역은 항로지정이 되어 있지 않으며 어망 및 광업권이 산재하여 선박의 안전운항을 위협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변환경 및 항행 위해요소 분석, 교통실태 관측조사 및 해양사고 분석을 통한 해상교통환경 평가를 실시하여 항행안전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 PDF

목포-제주 해상물류 분석에 기초한 연안운송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Coastal Transportation System between Mokpo and Jeju based on Marine Logistics Analysis Results)

  • 김상현;김남철;김효철;이승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35-240
    • /
    • 2008
  • 유럽 및 미국에서는 안전하며 환경친화적인 연안운송이 활성화되어 있으나 국내의 경우 연안운송에 의한 화물운송은 극히 저조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목포-제주 사이의 해상화물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육상/해상 복합운송시스템을 제안한다. 먼저 목포 및 제주의 반출입 화물 현황을 조사하고 연안항로 및 여객 화물에 대하여 분석한다. 그리고 철도-선박, 트럭-선박의 복합운송과 RORO선 연안운송 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목포-제주 항로에 대하여 RORO선을 활용한 연안운송시스템을 제안하고 그 기술적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 PDF

수산물의 기능성 재사용 포장용기 사용을 통한 물류합리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Functional Reusable Packing Containers for Marine Products on Logistics Rationalization)

  • 김병찬;양대용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45-158
    • /
    • 2015
  • Disposable marine product packaging materials such as wooden, Styrofoam, and corrugated cardboard boxes have a very low reuse rate, thus causing the logistics costs to rise and making it difficult to establish a unit load system for marine products. Disposable packing containers to be discarded are accompanied by resource and environmental issues home and abroad. Transportation vehicles for marine products have to return empty without loading different kinds of products after delivery due to the smell and properties of marine products, thus posing as an obstacle to logistics rationalization. In an effort to overcome those limita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stages of transportation including "producer-wholesale market in the producing area-commission merchant-wholesale market in the consumption area-commission merchant-quasi-wholesale market-consumer" and also analyzed the utilization and distribution of disposable packaging materials currently used in the circulation of marine products including wooden, Styrofoam, and corrugated cardboard box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investigator developed a logistics rationalization model capable of promoting semi-permanent reuse and lowering empty vehicle rate on return routes as an alternative to address environmental issues caused by disposable packaging materials, which have been an obstacle to the logistics rationalization of marine products, packaging costs in the process of repeating packing and unpacking at each stage of marine products circulation, and empty vehicle rates on return routes after marine products delivery.

Comparison of Turbulence Models for the Prediction of Wakes around VLCC Hull Forms

  • Kim, Wu-Joan;Kim, Do-Hyun;Van, Suak-Ho
    • Journal of Ship and Ocean Technology
    • /
    • 제5권2호
    • /
    • pp.27-48
    • /
    • 2001
  • Turbulent flow calculations are performed for the two modern practical VLCCs with the sable forebody and the slightly different afterbody, i.e. KVLCC and KVLCC2. Three $\textsc{k}-\varepsilon$ turbulence models are tes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caused by the turbulence models. The calculated results around the two VLCC hull forms using O-O grid topology and profile-fitted surface meshes are compared to the measured data from towing tank experiment. The realizable $\textsc{k}-\varepsilon$model provided realistic wake distribution with hook-like shape, while the standard and RNG-based $\textsc{k}-\varepsilon$models failed. It is very encouraging to see that the CFD with relatively simple turbulence closure can tell the difference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for the two hull forms with stern frameline modification.

  • PDF

2차원 지면효과에 대한 수치해석 기법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Numerical Analysis Methods on the 2D Ground Effect)

  • 김윤식;신명수;조용진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6-25
    • /
    • 2007
  • A comparative study on the turbulent flaw simulation and the potential flaw analysis has been performed. A law Mach number preconditioned Navier-Stokes solver, using the multi-block grid method and a panel method based on the velocity potential, have been developed and validated by comparison to the experimental data. The present numerical analysis methods are applied to the ground effect problem around the NACA 4412 airfoil.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potential flaw analysis on the ground effect, using the image method, is consistent, to some degree, with the viscous calculations for high Reynolds number flows.

Recent Development of Shipping and Logistics in Mongolia

  • 투멩자르갈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17-418
    • /
    • 2011
  • Mongolia is an inland country contained between East and Central Asia. I t borders Russia to the north and China to the south, east and west. Mongolia uses as international port for transit Xindang/Qingdao by railway. For domestic transport, our options are varied, which include road, railway and air modes. Mongolia's government enacted some shipping ways to develop logistics around the world. ${\cdots}\;{\cdots}$ (omit).

  • PDF

Development of Wave and Viscous Flow Analysis System for Computational Evaluation of Hull Forms

  • Kim, Wu-Joan;Kim, Do-Hyun;Van, Suak-Ho
    • Journal of Ship and Ocean Technology
    • /
    • 제4권3호
    • /
    • pp.33-45
    • /
    • 2000
  • A computational system for wave and viscous flow analysis (WAVIS) has been developed. The system includes a pre-processor, flow solvers and a post-processor. The pre-processor is composed of full form presentation, surface mesh and field grid generation. The flow solvers are for potential and viscous flow calculation. The post-processor has graphic utility for result analysis. All the programs are integrated in a GUI-launcher package. To validate the developed CFD programs of WAVIS, the calculated results for modern commercial hull forms are compared with measurements. It is found that the results from WAVIS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data, illustrating the accuracy of the numerical methods employed for WAVIS.

  • PDF

해운.항만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An Analysis of the Economic Effects of Marine Transport and Port Industry)

  • 정분도;심재희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11-329
    • /
    • 2011
  • 해운 항만산업은 수출입의 최전선이자 무한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국가적 산업이다. 최근의 세계 경제위기로 인해 항만물동량이 둔화되는 등 우리의 해운 항만산업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은 이를 어떻게 준비하고 대응하느냐에 따라서 새로운 도약을 위한 기회가 될 수 있다. 해운 항만 업체 스스로 끊임없는 노력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한다면 머지않아 국내에도 외국 해운 항만업체와 당당하게 경쟁할 수 있는 대표적인 업체가 생겨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해운 항만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해운 항만산업의 경제적 효과를 요약하면, 첫째, 2005년 생산유발계수는 항만시설이 1.958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연안 및 내륙수상운송 1.857, 하역 1.842, 기타 운수관련서비스 1.768, 보관 및 창고 1.676, 수상운수보조서비스 1.422, 외항운송이 1.283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가가치유발계수를 살펴보면, 수상운수보조서비스 0.924, 하역, 보관 및 창고 0.902, 기타 운수관련서비스 0.885, 항만시설 0.832, 연안 및 내륙수상운송 0.752, 외항운송이 0.258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2005년 중 수입유발계수를 보면, 외항운송 0.742, 연안 및 내륙수상운송 0.248, 항만시설 0.168, 기타 운수관련서비스 0.115, 하역, 보관 및 창고 0.098, 수상운수보조서비스가 0.076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넷째, 기타 운수 관련서비스(1.125)와 하역(0.882)의 감응도계수가 높고, 항만시설과 외항운송이 0.514로 감응도계수가 낮다. 항만시설(1.006)과 연안 및 내륙수상운송(0.954), 하역(0.946), 기타 운수관련 서비스(0.908)의 영향력계수가 높고, 반면 외항운송(0.659)의 영향력계수가 낮다.

여수해만 특정해역의 해상교통시스템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posal of the Improved Marine Traffic System for Specified Area on Yosu Bay)

  • 정재용;김철승;정중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9권8호
    • /
    • pp.653-660
    • /
    • 2005
  • 여수해만의 교통안전특정해역은 1988년에 설정된 이후 선박 입항 척수 및 톤수가 크게 변하는 등 해상교통환경이 급격하게 변화된 것에도 불구하고, 통항분리가 되지 않은 채 흘수제약선의 깊은수심항로만 지정되어 있고 흘수제약선 이외의 통항선박들에 대한 항로체계는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여수해만 입구의 A, B, C, W 묘박지에서 항로로 진입하는 선박과 조업어선 등의 무질서한 운항으로 통항선박의 안전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수해만 특정해역에 대하여 장래의 교통여건까지 고려하여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강구하는 등 해양사고 예방을 위한 종합적인 해상교통체제 설정에 목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