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ne Spill Accident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9초

우리나라 기름오염방제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National Oil Pollution Response System : Current Issues and Policy Recommendation)

  • 목진용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05-121
    • /
    • 2001
  • After the Sea Prince oil spill accident in 1995, the korean government has taken a measure to establish an emergency response system and equip clean-up capacity against large spill, major contents of which are as follows: First, Korea Marine Pollution Response Corporation has been established as a non-government organization for recovery of spilled oil in order to improve private response capabilities. Second, clean-up equipments, such as large clean-up vessels and oil fences for the open sea operation has been expanded. Third, a national contingency plan on the large spill accidents has been established compliance with the provisions of Article 6 of the OPRC 1990. However, there exist some problems in the national response system, such as clearly roles definition between government and private agencies; propel amendment of the Marine Pollution Prevention Act to incorporate major contents of the OPRC 1990; and training and exercises of clean-up personnel. With the above problems in mind, this paper reviews the current issues on the national oil pollution response system and recommends policy-making to tackle to those problems.

  • PDF

재난안전관리 체계 개선 방안 연구 - 해양오일유출 확산방지기술 중심으로 - (A Study on Improved Emergency Management System - Focused on Response to Diffusion of Oil Spilled in Marine -)

  • 유병태;오금호;백종배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83-89
    • /
    • 2015
  • In Korea for 20 years(1993-2012), total number and average annual number of oil spills were 6,608 cases and total volume and average annual volume of oils spilt were $57,328k{\ell}$ and nearly $2,866k{\ell}/year$, respectively. The annual number of oil spills and annual amount of oil spilt tended to decrease with the lapse of year in Korea. As oil transportation worldwide continues to increase, many communities are at risk of oil spill disasters and must anticipate and prepare for them. Factors that influence oil spill consequences are myriad and rage from the biophysical to the social. In this paper, we analysed the emergency response systems and recovery apparatuses for oil spill accident in marine and proposed a developed oil diffusion apparatus which can be used to initial response stage by crew, and to extend golden times. This system can be minimized casualties for rescued people in disaster.

유출유 확산 예측 모델의 상시 운용 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Operational System for Oil Spill Prediction Model)

  • 김혜진;이문진;오세웅;강준묵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75-382
    • /
    • 2011
  • 기초자료의 획득 체계 및 가공 체계의 부재와 복잡한 사용자 입력 체계로 인해서 유출유 확산 예측 모델의 활용에 제약이 따른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류오염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과학적 방제 전략 수립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실정을 고려하여 유출유 확산 예측 모델 구동을 위한 최선의 상시 활용 체계를 수립하였다. 모든 기초자료를 직접 구축하고 관리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외부 기관의 실시간 동적 자료를 연계하고 최소한의 데이터베이스만을 직접 구축하여 실시간 유출유 확산 예측의 상시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용자와 모델간 인터페이스부분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최소화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와 모델 연산 결과를 시공간 측면에서 다차원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결과 표출 인터페이스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구축된 유출유 확산 예측 모델의 상시 운용 체계는 외부 자료에 의존하기 때문에 모델 결과의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유류오염사고 발생시 신속하게 모델을 구동하여 유출유 확산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실제 방제 현장에서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다.

모듈형 HNS 사고 시나리오 개발 (Development of Modular HNS Accident Scenarios)

  • 하민재;이문진;이은방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65-172
    • /
    • 2017
  • 현행 해양유출사고 시나리오는 예상가능한 최대 유출사고를 근거로 하여 시나리오가 작성되었다. 하지만, 최대유출사고 시나리오와 유사한 규모의 사고는 실제 거의 일어나지 않았는데, 이러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한 훈련이나 대응장비배치 등은 대비 측면에서 본다면 낮은 비용효율을 가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현행의 시나리오는 활용성과 현장도가 높은 시나리오 구현을 통한 실전에 가까운 형태로 구성될 필요가 있고, 활용 목적에 적합하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거 사고사례를 바탕으로 한 시나리오 작성을 위해 기 개발된 HNS 사고 표준코드를 활용하여 현행 시나리오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 사고 시나리오(Alternative Accident Scenario)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시나리오는 HNS 사고 표준코드를 모듈화하여 최대 빈도 시나리오, 최대 피해 시나리오, 최대 취약성 시나리오 3가지로 구분하여 작성하였다. 이런 과정을 거쳐 제시된 각 시나리오별로 제시된 사고발생 상황은 실제 사고와 유사한 형태를 나타내므로 현장에서의 합목적적인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유류오염 포텐셜 해석을 통한 방제대책 수립방법에 관한 연구 -부산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tingency Planning Methods under the Analysis of Oil Spill Potential -Application to the Port of Busan-)

  • 전용호;류청로;황창수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7-302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heck the contingency planning methods under the analysis of oil spill potential and make a guide line to apply the results to the port of Busan. The expected spilled oil drift patterns are considered with the most probable scenarios under the base of the oil spill potential.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nalysis method of oil spill potent was proposed and the applicability was proved by the application example to the port of Busan to make the contingency plan. (2) Responsible oil spill contingency planning methods / flow are suggested considered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oil spill potential. (3) The coastal waters of Busan was consist of rocky flat, man-made solid shore and beach shore. Marine traffic have high density of oil tanker and cargo ship. Also, oil tanker ship are examined in the small ships to be less than 3000t to supply oil to the ship moored / anchored as well as the large amount of oil tank / basin are located along the coast of Busan port. These systems are introduced to make in put data to the analysis of oil spill potential. (4)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historical records of oil spill accident in Busan, the frequency of accidents by cargo ship rank highest and 45% of accidents is caused by carelessness. about 65% of total accidents shows a small spill accident of less than $10k{\ell}$.

  • PDF

해양사고에 의한 유출유 모니터링 사례 소개와 향후 방향 (Case Study of Oil Spill Monitoring Caused by Maritime Casualties Using Satellite Data in 2014)

  • 양찬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9-80
    • /
    • 2014
  • 우리나라에서 해양오염사고는 일반적으로 선박에 의한 유출유에 기인한다. 2014년 1월 31일 여수에서 그리고 2월 15일 부산에서 해양오염사고가 발생하였다. 일반적으로 해상에서의 기름 배출 감시 및 유출유 모니터링에는 합성개구레이더가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2013년 발사된 다목적실용위성-5호(KOMPSAT-5)가 정상 운영되는 시점에서는 그 활용성이 기대된다. 지난 오염사고 당시에는 다목적실용위성-3호 등 고해상도 광학위성이 관측되었다. 본 발표에서는 유출유의 광학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해석을 수행하고, 유출 해역 산정을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해양오염 감시와 대응을 위한 원격탐사기술의 역할과 방향에 대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 PDF

복합 위성을 이용한 허베이스피리트 유류오염해역 모니터링 (M/T Herbei Sprit Oil Spill Area Monitoring Using Multiple Satellite Data)

  • 김상우;정희동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83-28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인 아리랑 2호(KOMPSAT-2)와 ENVISAT ASAR(Synthetic Aperture Radar) 마이크로웨이브 위성 영상을 이용한 유류 분포 면적 추정과 저해상도인 해색위성 자료를 이용하여 허베이스피리트호 유류오염 사고 발생 전후의 클로로필 a 농도를 분석하였다. KOMPSAT-2와 ASAR 위성에서 추정된 유출유 확산 분포 면적은 각각 59,456 $m^2$ 과 1,168 $km^2$로 추정되었다. QuickScat 위성관측 바람은 유류오염 사고 전후에 북풍과 북서풍이 우세하였고, 유류오염 사고 당시 바람은 10m/s 이상의 강한 북서풍이 탁월하였다. 태안과 안면도 연안해역의 클로로필 a의 월별 농도는 유류사고 당시인 2007년 12월에 각각 2.9 mg/$m^3$과 2.5 /$m^3$ 이었으나, 그 한 달 후인 2008년 1월에는 각각 6.3 mg/$m^3$과 3.7 mg/$m^3$로 클로로필 a 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이들 지역에서 콜로로필 a 농도의 단기변화는 유류오염 사고 발생 1-2 주일 후에 그 농도가 감소한 것을 알았다.

  • PDF

유류피해지역 어장환경 개선사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 (An Analysis on Economic Effectiveness of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in Oil Spill Damaged Fishing Grounds)

  • 김홍식;전형주;김도훈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6호
    • /
    • pp.1781-1791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conomic effectiveness on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that has been implemented in five fishing grounds of Taean-gun which had been damaged by the Hebei Spirit oil spill accident. In the analysis, first, this study performed the survey on residents perceptions about the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Second, the cost-benefit analysis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conomic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The survey results of residents perceptions indicated that the damage of oil spill was considerable in the target areas. It also showed that residents wanted to continue the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and the levels of project satisfaction were quitely high. The economic results showed that 3 areas(Woong-do, Wang-san, and Dang-mi) would have positive values of NPV and B/C ratio, but the other(Nu-dong) would have negative values. The findings of this analysis could be used as the base data for increasing operational efficiency of future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우리나라 해안오염 방제종료 의사결정절차의 고찰 (A Study on the Decision Making Procedure of Clean-up Endpoints for Oiled Shorelines in Korea)

  • 김동근;정해종;김재동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4권5호
    • /
    • pp.712-720
    • /
    • 2012
  • Recently, many problems related on shoreline response to spill oil were exposed again on a occasion of M/T Hebei spirit accident even though the weakness on the shoreline response system has been brought up since M/T Sea Prince oil spill accident.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shoreline response system that best suits our country is needed through considering the response system of well-developed country. The socioeconomic conflict between the persons concerned on the clean-up endpoints can be sharpened in Korea because the frequency of coastal use of our country is too high compared to other countries. Thus procedural justification, that is, how the clean-up endpoints be established is more important than what type of clean-up endpoints be used. In the present paper, we attempted to suggest a new manner on the decision making system for clean-up endpoints that best suits our country. The decision making system for clean-up endpoints need to be divided into two steps, that is, set-up step of clean-up endpoints criteria and decision step of clean-up endpoints. The decision making organization of local governments play a key role in case of set-up step of clean-up endpoints criteria, while the response command headquarters under Korean coast guard and decision making organization of local governments codecide whether the clean-up endpoints criteria is fits or n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