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ager Support

검색결과 418건 처리시간 0.038초

일본의 개호보험체제상의 개호지원전문원제도의 구조와 특징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are Manager Systems i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of Japan)

  • 정재욱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1호
    • /
    • pp.31-58
    • /
    • 2006
  • 일본은 1990년 이후 사회복지제도를 개혁하는 과정에서 이용자본위의 서비스지원, 자기결정에 따른 서비스이용, 자립생활을 지원하는 서비스 등을 새로운 개혁이념으로 제시하면서, 이를 실천하는 제도적 장치의 하나로써 서비스에 대안 이용지원제도를 제시하였으며, 개호보험제도의 개호지원전문원이 당해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따라서 개호지원전문원의 도입은 사회복지서비스의 이용과정의 따른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왔다. 즉, 조치제도에 따른 서비스이용의 타율성과 서비스의 이용과정의 복잡성을 고려할 때, 개호지원전문원이라는 단일창구를 통한 서비스의 종합적 상담 지원 그리고 시장기능에 따라서 움직이는 개호지원전문원의 역할을 고려할 때, 요원조고령자의 서비스 선택폭은 크게 확대 강화되었다. 한편, 개호지원전문원제도는 구조적 취약점도 지니고 있다. 즉, 개호지원사업자(소)를 중심으로 한 개호지원기능 개호지원사업자와 서비스사업자간의 병행 운영, 개호지원전문원의 업무내용과 범위의 모호, 개호지원전문원의 겸무허용에 따른 업무과다, 처리역량을 벗어난 사례담당에 따른 어려움, 사회적 지원제도의 부족, 역할과 신분을 초과하는 의무와 처벌 등이 이에 해당된다. 한편, 일본의 개호보험제도와 비슷한 노인수발보장제도와 평가관리원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한국의 입장에서 보면 이와 같은 개호지원전문원제도의 구조와 특징은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PDF

건설현장 보건관리자의 업무수행정도와 관련요인 분석 (Analysis of Work Performance and Related Factors of Construction Site Health Manager)

  • 정혜선;최은희;백은미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8-58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present status of the work performanc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health managers and the developmental direction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health management.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9 health managers working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Data of a total of 130 participants were analyzed by excluding the missing data among field workers. The contents of the survey we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place, the difficulties and requirements of health management, and the level of job performance. Results: The factors affecting measuring work environment task were age, number of workers, number of safety managers, and lack of support from the headquarters. The factors affecting managing work environment and physicochemical harmful factors were age, type of contract and conflicting business opinions. The factors affecting implementing health examination were age, type of contract, and number of safety managers. The factors affecting healthcare were age, type of contract, number of safety manager, presence of healthcare room, and conflicting business opinion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actical guidance and practical resources, and education for strengthening capacity. The support for business owners and managers support is needed.

Development of the Base Station Controller and Manager in the CDMA Mobile System

  • Ahn, Jee-Hwan;Shin, Dong-Jin;Cho, Cheol-Hye
    • ETRI Journal
    • /
    • 제19권3호
    • /
    • pp.141-168
    • /
    • 1997
  • The base station (BS) in the CDMA Mobile System (CMS) connects calls through the radio interface and is designed to provide mobile subscribers with high quality service in spite of mobile subscribers motions. The BS consists of multiple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s (BTSs), a base station controller (BSC) and a base station manager (BSM).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BSC and the BSM. The BSC is located between the BTSs and the mobile switching center (MSC) connected with the public network, and to mobile subscribers via the BTSs. The BSM provides operator-interfaces per the BS and takes responsibility of operation and maintenance (OAM) of the BS. Design of the BSC is based on two module types: functional module and unit module. The functional module is used to support new services easily and the unit module to increase the system capacity economically. Both modular types are easily achieved by inserting the corresponding modules to the system. Particularly, in order to efficiently support the soft handover which is one of CDMA superior advantages, the BSC adopts a large high-speed Packet switch connecting up to 512 BTSs, and thus mobile subscribers can be provided with soft handover in high probability. The BSM is based on a commercial workstation to support OAM functions efficiently and guarantee high reliability of the functions. The BSM uses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or efficient OAM functions of the BS.

  • PDF

창업지원 매니저의 역량 특성이 창업지원단 몰입도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매니저의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Start-up Accelerating Manager's Enabling Characteristics on Their Full Commitment & Performance to Start-up Support Groups: In The Center of Manager's Self-Efficacy)

  • 강혜정;양영석;김명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1호
    • /
    • pp.13-28
    • /
    • 2022
  • 2011년 이후, 정부의 창업지원 사업 규모가 급속히 커지며 이를 전담하는 창업지원 매니저의 규모 또한 증가하며 이들에 대한 역할과 역량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창업지원 매니저들에 대한 역할과 역량에 대한 구체적인 개념이나 창업지원 매니저의 요구역량과 보유역량 간의 간극이 커지며 자기효능감이 감소하고 이것이 창업지원단의 몰입도와 업무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업지원 매니저의 정의와 창업기업의 성공적인 사업수행을 돕기 위해 요구되는 핵심역량에 따라 매니저가 조직에 몰입할 수 있는 정도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하는 것에 초점 두며, 이를 통해, 창업지원 매니저의 역량 강화 방안을 제시하여 이들의 자기효능감을 배가하여 창업지원단 업무에 몰입하고 성과를 높이기 위한 정책시사점 도출과 이를 통해 향후 창업지원 매니저 관련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연구는 크게 네 가지의 연구를 수행하였고 각각의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관련 법률적 근거를 가지고 창업지원 매니저에 대한 개념을 제시하였다. 둘째, 창업지원 사업 운영에 있어 창업기업의 성공적인 육성을 위해 매니저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이 무엇인지 도출하였다. 셋째, 창업지원 매니저의 핵심역량에 대한 요인들을 나열하고, 창업보육 매니저들과의 비교를 통해 창업지원 매니저의 역량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넷째, 실증분석을 통해 정부 지원사업의 현실에 따른 창업지원 매니저의 고용 형태, 근무 환경 및 상황 등 창업지원단 조직몰입도와 업무성과 등을 자기효능감을 통해 어떠한 영향을 보여주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창업지원 매니저의 차별적 필요역량은 창업자 발굴역량, 프로젝트 관리역량, 검증·보강역량, 투자유치 컨설팅역량으로 정의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창업지원 매니저역량은 업무성과와 창업지원단 몰입도,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효능감은 창업지원 매니저의 역량과 업무성과, 창업지원단 몰입도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결과를 얻었다. 기초적인 업무 지식부터 전문적인 지식 습득을 위한 단계적, 맞춤식, 집중 교육 훈련, 창업자들의 빠른 성장을 위한 액셀러레이터 역량 강화 교육 등 이 뒷받침 되어야 하는 점을 시사점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역량 강화 교육 훈련이 이뤄진다면 창업지원 매니저들의 자기효능감은 높아질 것이고 자기효능감이 커질수록 창업지원 매니저는 본인의 역량을 크게 펼칠 수 있고, 이는 조직의 업무성과와 창업지원단 몰입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이론적 기여로는 기존 창업보육 매니저의 역량과는 달리 창업자 발굴역량, 프로젝트 관리역량, 검증·보강 역량, 투자유치 컨설팅역량이라는 새로운 창업지원 매니저역량을 도출하였다.

유비쿼터스 영농일지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System for a Ubiquitous Farming-diary)

  • 이용웅;조종식;주종길;신창선;여현;이종현;신한호;염창열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2권2호
    • /
    • pp.35-42
    • /
    • 2010
  • In this paper, we propose a ubiquitous Farming Diary System which can support the easy and reliable recording of a farming diary for the certificate 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by using the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technologies. By using growth-related data, the system can also control farming facilities remotely and automatically. To achieve this goal, the UFDS(Ubiquitous Farming Diary System) is consisted with 3 layers. The first 'physical layer' can collect data from sensors, cameras and facilities then controls the growth environment based on the analyzed information. The second 'Middle layer' can process and store the data from 'physical layer' to sensor manager, image manager, control manager and diary manager separately. The third 'application layer' can provide growth-related services to users through various applications. The UFDS can recording grow history information automatically and Easily. Besides, the system can make an accurate and reliable farming diary with multimedia information such as motion and sound. Furthermore,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luminance and soil conditions (soil temperature, soil humidity, soil EC) can be monitored in real-time and the facilities managed in remote sites.

논리볼륨 관리자를 위한 매핑 관리자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apping Manager for a Logical Volume Manager)

  • 최영희;유재수;오재철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 2002년도 추계공동학술대회 정보환경 변화에 따른 신정보기술 패러다임
    • /
    • pp.350-362
    • /
    • 2002
  • 높은 가용성 확장성, 시스템 성능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SAN(Storage Area Network)이 등장했다. SAN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대부분의 SAN 운영체제들은 SAN에 부착된 물리적 저장장치들을 가상적으로 하나의 커다란 볼륨으로 보이게 하는 저장장치 가상화 개념을 지원한다. 저장장치 가상화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논리볼륨 관리자이다. 논리볼륨 관리자는 논리 주소를 물리 주소로 매핑시킴으로서 저장장치 가상화를 실현한다. 이 논문에서는 논리볼륨 관리자를 위한 효율적이고 유연한 매핑 기법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 논문의 매핑 기법은 특정 시점의 볼륨이미지를 유지할 수 있는 스냅샷과 시스템을 정지시키지 않고 SAN에 디스크를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는 온라인 재구성 기능을 지원한다.

  • PDF

논리볼륨 관리자를 위한 매핑 관리자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apping Manager for a Logical Volume Manager)

  • 최영희;유재수;오재철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2002년도 추계공동학술대회
    • /
    • pp.350-362
    • /
    • 2002
  • 높은 가용성, 확장성, 시스템 성능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SAN(Storage Area Network)이 등장했다. SAN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대부분의 SAN 운영체제들은 SAN에 부착된 물리적 저장장치들을 가상적으로 하나의 커다란 볼륨으로 보이게 하는 저장장치 가상화 개념을 지원한다. 저장장치 가상화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논리볼륨 관리자이다. 논리볼륨 관리자는 논리 주소를 물리 주소로 매핑 시킴으로서 저장장치 가상화를 실현한다. 이 논문에서는 논리볼륨 관리자를 위한 효율적이고 유연한 매핑 기법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 논문의 매핑 기법은 특정 시점의 볼륨이미지를 유지할 수 있는 스냅 샷과 시스템을 정지시키지 않고 SAN에 디스크를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는 온라인 재구성 기능을 지원한다.

  • PDF

안전/보건관리자의 외상 사건 경험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를 통한 사회적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A Study on the Effects of Trauma Case Experience on PTSD of Safety/Health Manager's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through Job Stress-)

  • 심재범;이미은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8-49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mpact of safety/health managers' experience of trauma case on their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the mediation effects of job stress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social support. Metho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241 workplace safety/health managers with experience in trauma cas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IBM. Ver.26.0) and verified through SPSS PROCESS Macro (Ver. 3.4). Results: The trauma case experience and the job stress, which is a mediation variabl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the job stress had a positive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uma case exper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ocial suppor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moder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uma case experience and job stress; social support had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n the indirect effect of a job stress on the post-traumatic effect through a trauma case experience. Conclusion: The above findings suggest that work-related job stress management is important in order to reduce safety/health manager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aused by the experience of trauma case, and that social support is essential to reduce the job stress, which can later be used as a basis for further studies.

말레이시아 1개 병원과 병상규모가 유사한 한국의 병원 간 보건정보관리자 직무 비교연구 (Comparative Research on the Health Information Manager(HIM) Duties of One Malaysian Hospital and Similar Scale Korean hospitals)

  • 김혜경;이현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158-6167
    • /
    • 2014
  • 본 연구는 말레이시아 병원과 유사규모의 한국 병원을 대상으로 보건정보관리자(HIM)의 새로운 역할 7가지에 대한 직무를 비교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말레이시아 병원은 272병상 규모의 종합병원을 선정하였다. 말레이시아는 해당병원을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담당자 면담 등을 실시하였고 기간은 2013년 7월 22일부터 8월 2일까지 약 2주간이었다. 국내병원은 말레이시아와 병상규모가 유사한 병상대의 종합병원 총 13곳을 대상으로 유선 상 질의응답을 통해 확인하였다. HIM의 새로운 7가지 역할에서는 Health information manager로서 말레이시아 병원은 ICT가, 한국 병원은 조사대상 병원의 30.8%가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Clinical data specialist역할 관련 classification of disease & procedure는 양국 모두 실시하고 있었고 tumor registry은 말레이시아 병원은 담당하고 있었던 반면 한국 병원에서는 15.4%만이 담당하고 있었다. 퇴원환자 통계는 말레이시아에서는 담당하지 않았고 한국은 76.9%에서 담당하고 있었다. 특수질환 등록업무는 한국은 22.1%에서 담당한 반면 말레이시아는 전체 법정전염병 등록 뿐 아니라 병원출생아와 사망자에 대한 정보등록까지 실시하고 있었다. 그 외 Patient Information Coordinator, Data Quality Manager, Document and Repository Manager, Research and Decision Support Analyst 역할은 양국 모두에서 실시하고 있지 않았다. HIM의 새로운 역할은 한국 중소병원에서 실천률이 낮은 편이다. 따라서 한국전체에서 HIM 역할이 확고히 정립되려면 중소규모 병원까지도 그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해당 협회차원의 지속적인 교육, 지원을 통해 일부 대형병원뿐 아니라 중소병원을 포함한 전체 병원에서 역할이 명확화 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특수질환 등 등록업무는 말레이시아 병원이 한국 병원에 비해 역할이 잘 정립되어 있어 이를 벤치마킹하여 업무를 확대하는 방안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정보통신 기술의 상용화 성공요인 분석 (Success Factors of Commercialization in IT Technology)

  • 이영덕
    • 기술혁신연구
    • /
    • 제12권3호
    • /
    • pp.259-276
    • /
    • 2004
  • This paper identifies success factors influencing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develops a framework for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model among factors, commercialization,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framework, and suggests policy alternatives for more effectiv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n the area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dustries in Korea. To facilitate commercialization of government-sponsored R&D projects,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manager's willingness and support on commercialization, and more abundant commercialization fund, former experience on commercialization, strong linkage with present business and technology, more information about government commercialization programs and technologies, and improved environment of commercialization including market protection and penetration suppor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