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agement of The Urban Parks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5초

영국 공원녹지 정책의 최근 경향과 특성 (The Implic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licies for Park and Green Spaces in England)

  • 김연금;최정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86-96
    • /
    • 2012
  • 최근 공원녹지 공간은 여가 활동의 장소로 뿐만 아니라 환경복지, 사회교육과 일자리 창출, 탄소 저감 등에도 기여하고 있다. 그래서 공원녹지는 도로, 하천, 항만, 상하수도, 배수 같은 도시기반시설로 이해하거나, 교육 및 문화, 복지 시설 등과 같은 인프라에 포함하기도 한다. 이러한 변화는 공원 및 녹지 공간 관련 정책에 반영되고 있고, 많은 국가나 지자체에서 관심을 갖고 투자하고 있다. 영국에서 근래 이루어진 정책적 쇄신은 이에 대한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2년 이후 영국에서 이루어진 공원녹지 정책의 변화 과정과 내용, 변화된 정책의 특징과 시사점을 다루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정책서를 통한 정책 참여와 실천 유도이다. 이는 추상적 문구와 일반적 유형을 나열하여 실행 효과가 미흡한 성문법보다 실천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공원녹지공간의 정치적 행정적 위상 제고다. 일례로 공원녹지 공간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을 총괄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조직인 케이브 스페이스를 설립하였다. 셋째, 도시공원과 녹지를 위한 지원금 제도의 도입과 실행이다. 넷째, 공원녹지 공간의 질 저하 방지와 향상을 위한 단기적 장기적 정책 마련이다. 다섯째, 중앙정부, 지방정부, 커뮤니티의 역할배분과 파트너십 구축이다. 중앙정부는 지방정부와 제도적, 정보적 지원, 모니터링, 우수 사례 선발 같은 방식으로 파트너십을 유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는 정책수립과 실천에 다양한 주체들과 커뮤니티의 참여이다. 정책수립과 실천에 중앙정부조직들뿐만 아니라 제 3부문의 단체들, 민간기업 등을 포함시킴으로써 여러 정책과의 연계성 및 실천성을 높였다. 근래 우리나라에서는 공원 일몰제, 조경법, 도시숲법 등 당면 문제와 기후변화에 대한 대처, 질 높은 도시의 삶, 지속가능성 확보 등으로 인해 공원녹지 정책에 대한 재고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공원녹지정책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현실이다. 이에 국가적 차원에서 공원녹지 정책을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는 영국의 사례 검토는 의미 있는 일이다.

교통관련 포장지역 비점오염원에서의 오염물질 유출원단위 산정 (Determination of Pollutant Unit Loads from Various Transportation Landuses)

  • 이소영;이은주;;김이형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43-549
    • /
    • 2008
  • Human activities and land-use practices are intensely widening the urban areas. High impervious surface areas cover much of urban landscapes and are the primary pollutant sources which can lead to water quality and habitat degradation in its watershed. As the urban areas expand, transportation land-use such as parking lots, roads, service areas, toll-gates in highways and bridges also increase. These land-uses are significant in urban pollution due to high imperviousness rate and vehicular activities. To regulate the environmental impacts and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rivers and lake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OE) in Korea developed the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TPLMS) program. The main objective is to lead the watershed for a low impact development. On a local scale, some urban land surfaces can be emitting more pollution than others. Consequently, in urban areas, the unit loads are commonly employed to estimate total pollutant loadings emitted from various land-uses including residential, commercial, industrial, transportation, open lands such as parks and golf courses, and other developed land like parking areas as a result of development. In this research, unit pollutant loads derived specifically from transportation land-uses (i.e. branched out from urban areas) will be provided. Monitoring was conducted over 56 storm events at nine monitoring locations during three years. Results for the unit pollutant loads of transportation land-use are determined to be $399.5kg/km^2-day$ for TSS, $12.3kg/km^2-day$ for TN and $2.46kg/km^2-day$ for TP. The values are higher than those of urban areas in Korean MOE and US highways. These results can be used by MOE to separate the pollutant unit load of transportation landuses from urban areas.

우리나라 중소도시 비오톱 공간의 조성방안 (The Potential Assessment and Creation Programming of Biotopes in Small and Medium City in Korea)

  • 정문선;이명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75-90
    • /
    • 2000
  • This study suggests the methods of the assessment and creation of biotopes in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in Korea. For this purpose, Chonju city was selected to classify and asses the biotope types. Moreover, relevant legislations to conserve and enhance urban biotopes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ere two approaches to asses the potential of urban biotopes in medium-sized cities. One was the urban scale evaluation for urban green spaces and the other was the biotope scale evaluation for the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of biotopes. 2) The urban scale evaluation was developed through overlaping analysis of landuse and vegetation factors. This study also included the conception of watershed. In this conception, three watersheds in Chonju city were characterized. According to these characteristics, individual programs for conservation and enhancement of urban green space were suggested. 3) For the biotope scale evaluation, Selected site was inclusively mapped and field investigation actually was carried. There were total 9 types of bitopes. Especially landuse was appeared in various evaluation items were vegetation structure, area of green space, condition of vegetation and vegetation profile. Mt, Gonji and Dukjin park, Chonbuk national University and fields were evaluated highly I the potential. 4) The biotope programs were based on the results of assessment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biotopes. The uniform and simple levels on vegetation must be modified with various level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vernacular plants. 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like Points, Corridors and Patches can be organized by the conception of biotope networking theory. 5) The proper legislative environment was the clue elements for the biotope programs. Until now, only five types of parks and two types of green space are defined and the minimum size of green space has been proposed by the law. So, it is necessary to enlarge the conception of green space in legisla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green space by amending the related regulations. This study has limitation because it was selected only in Chonju. Through the continuous studies, we need to apply this other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South Korea. Also the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of theme maps such as actual vegetation, landuse and a soil must be done preliminary.

  • PDF

웨스트 첼시 개발과 하이라인의 역할에서 나타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성격 (Landscape Urbanism in Special West Chelsea District Rezoning and High Line Open Space Redevelopment Project)

  • 윤희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84-97
    • /
    • 2010
  •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은 90년대 대두된 조경계의 이론이며, 요점은 도시 설계의 과정에서 랜드스케이프 요소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오픈 스페이스 전략이 설계 과정을 이끄는 토대가 되어야 한다는 데에 있다. 그러나 이 이론이 도시 설계에 가져온 형태적인 영향과 해석이 없다는 점은 비판의 여지를 남겨 왔다. 이론의 제의자들이 많이 언급하고 예로써 사용했던 프로젝트는 규모가 큰 대형 공원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오픈 스페이스는 도시와의 관계를 밀접하게 제시해 주지 못한다는 한계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하이라인(High Line)이 대표하는 특수한 소형 공원이 지닌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적인 요소를 분석하여, 하이라인이 이 이론에 입각한 프로젝트라 간주될 수 있음을 보인 뒤, 이가 웨스트 첼시 재정비 과정에서 도시 설계에 작은 스케일의 변화를 주도했음을 결론 내렸다. 따라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이론은 현재 대형 공원에 국한되어 있던 연구 대상을 소형 공원으로도 넓혀야 하며, 작은 스케일에서 일어나는 상호 작용에서 그 형태적 영향력을 찾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하이라인과 같은 소형 공원이 주변 지역과 주고받는 영향에 대한 관찰과 정량적, 형태적 분석 과정이 뒤따라야 하며, 이로써 도출된 구체적인 전략이 있어야만 새로운 도시 설계 프로젝트에 적용할 수 있는 완전성을 지닌 이론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국립공원 입산시간지정제 정착을 위한 정책 제언 (Policy Implications for the Success of a Trekking Time Restriction Policy in National Parks)

  • 조우;성찬용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36-644
    • /
    • 2015
  • 본 연구는 2014년 현재 입산시간지정제를 시행하고 있는 7개 국립공원 탐방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입산시간지정제의 정착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설문 응답자들의 입산시간지정제에 대한 인지율이 60.7%로, 제도에 대한 홍보는 성공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이 인식하는 재난 안전사고 원인에 대한 중요도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탐방객의 부주의', '공원 안전관리 부족', '탐방객 산행 준비 부족'으로 축약할 수 있었다.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3개 잠재 요인과 응답자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하고 입산시간지정제 취지에 동의하는 정도를 종속변수로 한 회귀분석 결과, 재난 안전사고의 원인이 탐방객 산행 중 부주의와 탐방객 산행 준비 부족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일수록 입산시간지정제 취지에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입산시간지정제 취지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일수록 안전사고에 개인의 책임이 없다고 생각한다는 의미로, 재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공원 내 안전시설 설치보다는 탐방객들에게 안전사고에 대한 경각심을 주는 홍보에 투자하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도심지역 녹지의 국지적 대기환경영향에 관한 연구 (Impacts of Urban Green Spaces on Air Quality)

  • 주현수;김석철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3호
    • /
    • pp.386-393
    • /
    • 2009
  • 본 연구는 도심녹지의 대기질 영향을 정량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도심의 '근린공원 녹지'가 가스상 오염물질인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해 녹지의 대기환경영향평가 모델링시스템이 개발되었다. 모델링은 서울 도심의 대표적 근린공원이라 할 수 있는 종로구의 파고다 공원 인근지역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모델링 결과, 도시 근린공원의 수목은 자체적으로 오염물질을 흡수 제거하여 대기질을 개선시키는 기능이 크다고는 볼 수 없지만, 상대적으로 친환경적인 토지이용형태(배출원이 거의 없고, 해당지역 및 주변지역에서 원활한 기류소통 촉진)를 유지함으로서 대기환경 악화를 억제하는 효과는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오염이 심한 도시지역에서의 대기정책은 오염원 추가건설 제어를 위한 녹지보호정책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진주시 도시생활권 등산로 훼손실태에 관한 연구 (Damage Status of the Urban Forest Trails in Jinju, Gyeongsangnam-do)

  • 강민정;박재현;김기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3호
    • /
    • pp.315-320
    • /
    • 2016
  • 본 연구는 경상남도 진주시에 위치한 도시숲을 대상으로 토양 물리화학성 및 등산로 훼손유형을 평가하여 등산로 노면의 피해양상과 훼손실태를 파악함으로써 도시생활권 등산로의 관리를 위하여 수행하였다. 등산로와 산림지역의 토양 물리화학성 분석 결과, 등산로 토양깊이 0 cm, 5 cm의 토양경도가 산림지역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기타 토양물리화학성에서는 모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아울러 훼손유형 중 노폭확대형이 66%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노면침식형 59%, 샛길형 57%, 경계침식형과 수목뿌리노출형이 각각 41%로 나타났으며, 노면배수불량형과 급경사형, 산사태 훼손유형은 나타나지 않았다. 특히, 대부분 인자에서 차이가 없는 것은 등산로뿐만 아니라 산림지역도 훼손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진주시 도시숲 등산로는 이용객의 과밀현상 등에 의해 토양경도 훼손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대책이 우선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이용한 도시분원의 원리방법에 관한 연구 -어린이대공원을 사례로- (Application of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o management of urban parks - Case study in the children's Grand park-)

  • 홍성권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94-105
    • /
    • 1995
  •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pply and examine that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could be a useful park management tool. The IPA is an easily-applied technique developed in marketing field to measure attribute importance and performance. It displays them simultaneously on a 4-quardrant action grid; therefore, park managers can upgrade current services and address marketing strategies for various user segments. The children's grand park was selected as a study are. Two different types of questionaires were utilized for data analyses. They were collected from one respondent by on-site distribution or by mail survey, because attribute importance and performance should be rated before and after visiting a park, respectively. Then, total data was segmented systematically by 2 variables-age and benefit sought. Action grids from order to meet the needs of each segment. Several comments on both data collection methods and segment variables selection were described to improve the IPA in recreation settings for future researches.

  • PDF

도시 근린공원의 방문제약 요인 -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 (Constraints of Visit to Community Park - Focused on the TaeJon City's Community Park)

  • 이시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3-32
    • /
    • 2004
  • This study aims to examine constraints on visits to urban community parks and to find ways to elevate the efficient use of parks. To achieve this, the study relied on empirical study method and the descriptive method; additionally, present condition survey was performed with a user interview, on the assumption that a park visit is a form of leisure. As a result, the item of 'insufficient lighting facilities' shows the highest mean and the item of 'low quality of park' follows Previous research also revealed that the item of 'the lack of lighting facilities' is a major factor on user dissatisfaction, so a design and management program for night time users are fully researched and elaborately accomplished. Also, the high response of 'low quality of park' shows that the park supply policy in Korea focusses mainly on quantity so far, and it shows that user's dissatisfaction for park facilities becomes one of the major constraints of park visit. The factor analysis, on the object of 35 items except 2 items, appeared 5 factors: accessibility, inner discord, companion, family matters, park-itself-matters. Oneway Anova test showed that 4 factors except 'park-itself-matters' have reliable difference in constraint cognition by age and education. The visit constraint of 'park-itself-matters' did not appear different by any personal characteristics. Without regard to personal characteristics, it is regarded that this factor has the greatest effect upon park visits. In general, people who are disadvantaged strongly cognize constraints even in leisure such as a park visit, which is a simple and inexpensive leisure activity. Therefore, a park like a pocket park, which is small but located in a neighborhood, is more needed than a central park like a symbolic and huge park in every new city. Careful concern for night activity should be accomplished in the planning process.

자연공원내 주요 음용수의 수질환경평가 (Water Quality Assessment of Major Drinking Waters in Natural Parks)

  • 이영경;이병인;홍성철
    • 한국도시환경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39-45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자연공원내 주요 음용수에 대한 수질특성을 평가하여 기초정보를 제공함과 적절한 관리방안을 제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미생물은 자연공원이라는 지리적 특성상 대부분 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부 대상지에서는 현재 자외선살균기 및 오존처리를 시행하고 있듯이 기타 주요 음용수에도 확대하여 사용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가정에서 음용시 끓여 마심으로 자연소독을 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며, 탁도 등이 일부 먹는 물 수질기준(샘물)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음용수 주변의 환경정화 등으로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전반적으로 자연공원내 주요 음용수는 먹는물 수질기준(샘물)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청소 등의 정기적인 관리와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