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agement Strategy

검색결과 7,741건 처리시간 0.036초

도시정체성 확립을 위한 도시재생의 유형 및 계획특성 분석 (Analyses on Type and Characteristics of Urban Regeneration for Establishment of Urban Identity)

  • 이주형;서의권;임종현
    • KIEAE Journal
    • /
    • 제9권5호
    • /
    • pp.85-96
    • /
    • 2009
  • This study analyzed a characteristic by types of urban regeneration helping the establishment of urban identity under social condition change. It will be foundation of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with strategy that secures world-wide competitive power. For this, sample cases that established identity from urban regeneration were reviewed about the main subject and the supporting subject in business side and hardware, software, system, and finance in design factors. 4samples each in inheritance intensification type and change creation type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 said it is most effective to establish urban identity when inheritance intensification type is the private-centered for urban regeneration. And it is better to do the project that the main subject and the supporting subject are taken by the private or the private-leading partnership.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region and plan events with software design factors more than hardware design factors. In addition, for urban identity, it was found to be desirable to utilize and preserve fully current resources such as historical scenery and activate the communities than making new facilities. On the contrary, the project based on change creation type needs to be under the public management with innovative idea. Also, when it comes to design factors, facilities related to culture and art and community spaces should open and run actively. It is important for the region to improve its image by New design style such as TOD. In software side, it is important to manage the region by monitoring about urban regeneration business and solve social mix and employment problem.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system and administration, both types don't show a difference in urban identity establishment, since it is same that both should make partnership and get a support of subsidy to be most effective.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귀여움 표현 요소 연구 : 이등신 캐릭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rformance Factors of Cute Characters Center Around a Two-Headed Character)

  • 하산;박성원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7권4호
    • /
    • pp.85-91
    • /
    • 2020
  • Animation is a field of popular visual art that is established in human life, and the form of characters appearing is an important factor that is highly anticipated by the public. Designing animation characters according to aesthetic characteristics not only satisfies people's aesthetic needs but can also increase their artistic immersion in animation works. In addition, animation storytelling is delivered around characters and enhances the value of the work by encouraging more public to focus on it. In this paper, we tried to analyze the design elements of Minions characters to derive the reason why they are loved by the public. Among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bicepsin characters,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fact that bicepsin characters visually express 'cute' through the study of infantile eating and color. The visual cuteness elements of a bisung character will soon be linked to the psychological satisfaction of the audience's work and will be a factor in the appreciation of the value of the work. By studying the elements of expression that represent isosin characters, I would like to discuss the factors that help the audience to immerse and get satisfaction with the characters. This will be used as an important factor for an animation character to have for the audience and will reveal its value. Second-class animation images belong to the art of small pieces, suitable for all the audience to enjoy. The two-size animated image has a strong appeal and entertainment, is a confusing visual attribute, can stimulate the audience's five senses. Compared with the actors in the movie, the visual form of the animation is more important.

보편적 학습설계 관점에서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앱 개발 가이드라인 (Application development guidelines for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based 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UDL))

  • 한동욱;강민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485-491
    • /
    • 2014
  • 본 연구는 보편적 학습설계 관점에서 발달장애 학생들을 위한 교육용 앱 개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 위해 다양한 매체의 보편적 학습설계와 관련된 문헌 연구를 통해 기초가 되는 가이드라인을 정리하였다. 정리한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스마트 콘텐츠 개발 전문가와 특수교육 전공 교수들의 검토를 거쳐 콘텐츠의 표현 측면 14개, 교육전략 측면 12개, 교육몰입 측면 9개로 총 35개의 예비 개발 가이드라인을 구성하였다. 이를 토대로 실제로 앱을 사용하게 될 장애학생을 교육하는 특수교사 및 장애학생을 둔 부모와 특수교육 전공 교수들에게 중요도 측면에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를 분석하여 평균보다 중요도가 낮은 항목을 제외시키는 방법으로 3개 분야 20개의 주요 개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간호사 이미지 지각은 어떠한가?: 전공학생과 비전공 학생비교 (What is Perceived the Image of Nurses?: Comparison Major and Non-Major Students)

  • 유승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353-361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전통적, 사회적, 전문적 및 개인적 이미지의 차원에서 전공자와 비전공자간의 지각차이가 존재하는가와 미디어에 비친 간호사역할 이미지 지각차이가 있는가 및 간호사와 관련된 정보를 접하는 매체와 간호사 관련 정보와 이미지 접촉매체에서 기존의 연구결과와 차이가 있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간호학 전공자와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간호사의 전통적, 사회적, 전문적 및 개인적 이미지에서 인식의 격차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미디어에 비친 간호사의 이미지는 의사의 보조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에 대한 이미지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간호사 정보 접촉매체는 TV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환자와 간호사간의 공감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는데 근거자료를 제공해 줄 것이며, 특히 매체활용(PPL전략과 퍼블리시티 활용전략)을 통한 간호사 이미지 향상방안을 제언하는데 의의가 있다.

한국인의 인체정보 활용을 위한 전략적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rategic Factors for the Application of Digitalized Korean Human Dataset)

  • 박동진;이상태;이상호;이승복;신동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8권2호
    • /
    • pp.203-216
    • /
    • 2010
  • 본 연구는 디지털화된 한국인 인체정보 데이터세트의 전략적 활용계획수립과 관련된다. 구체적으로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R&D 전략 포트폴리오의 작성을 위하여 필요한 중요한 의사결정 요인들을 파악하고 조직화하는 것이다. 타 국가의 경우를 보더라도 디지털 인체정보 데이터세트와 시각화 에프리케이션의 개발은 국가수준에서 전략적인 R&D 프로젝트로 선정하여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해당 분야의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였으며, 이들을 통하여 R&D 비전, SWOT분석 및 전략개발, 연구분야 및 세부과제를 파악하였다. 또한 전략계획 수립을 위하여 각 세부과제들을 중요도와 시급도 관점에서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브레인스토밍, 델파이방법과 AHP(Analytical Hierarchy Process) 기법을 도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R&D 포트폴리오 작성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될 뿐 아니라, 해당 분야에 연구투자를 평가하는 프레임워크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 PDF

기업의 학습조직 구축요인이 심리적 자본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Learning Organization Building Factors on Psychological Capital and Innovative Behavior in Firms)

  • 권중생;노수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3호
    • /
    • pp.105-115
    • /
    • 2014
  • 본 연구는 학습조직 구축요인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관계에서 심리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 포항 등 5개 도시 기업체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지 310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주된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기법을 사용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조직 인적요인은 혁신행동과 심리적 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습조직 구조적요인은 심리적 자본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혁신행동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학습조직 인적요인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심리적 자본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조직 구조적 요인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심리적 자본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습조직 육성정책이나 수행지침과 관련하여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을 판단되며, 지금까지 학습조직의 상황적인 요인을 조직단위에서만 고려하던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심리적 자본을 적용한 새로운 관점을 확인하였으므로 선행연구와의 차별적 의의가 있다.

도로 위의 군비경쟁: LDA 토픽모델을 활용한 SUV의 인기 요인 탐구 (The Arms Race on the Road: Exploring Factors of SUVs' Popularity by LDA Topic Model)

  • 전승봉;고태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239-252
    • /
    • 2020
  • 본 연구자들은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SUV 선호 증가의 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온라인 자동차 커뮤니티인 보배드림에서 2005년부터 2019년까지 작성된 SUV 관련 게시글 32,679개를 수집한 후, LDA 토픽모델링 기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SUV 담화에서 주요한 토픽으로 등장한 '안전'이 범죄로부터 개인의 위험에 주목한 기존 연구와 달리 교통사고 및 고속주행 상황에서의 안전을 의미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 사회의 SUV 소비는 개인이 운전하면서 느끼는 불안과 위험에 대한 대비 수단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위험 인식 저변에는 불평등 증대로 인해 감소하는 타인에 대한 신뢰가 작동한다고 할 수 있다.

Orientation and International Strategies for the East Asian Journal of Business Economics

  • Kim, Byoung-Goo;Kim, Young-Ei
    • 동아시아경상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2-46
    • /
    • 2018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and analyze EAJBE (The East Asian Journal of Business Economics) of EABEA (The East Asia Business Economics Association) and all of their published articles of 2013 to 2017 and to revise and update the existing publication standards and practices in order to improve the overall quality and reputation of EAJB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paper applied an analytical approach, a case study method, to analyze and examine the published articles and the publication standards and practices of EAJBE (East Asian Journal of Business Economics) from their first publication. Results - The EAJBE has been issuing academic journals four times a year since its foundation. Although it is a journal based in Korea, overseas scholars publish articles steadily compared to other academic journals and the EAJBE raises the level of globalization. The level of internationalization of association's management and editorial members is also high, making the overall academic journal more cosmopolitan. Conclusions - Although the EABEA (The East Asia Business Economics Association) is a newly formed, the association is actively managing the academic community and making two major goals for the development of the academic journal. First, this journal is actively attracting overseas scholars, and is raising the level of internationalization. As an integrated academic conference is held with overseas scholars, they actively exchange with overseas scholars by contributing and publishing their papers. Second, it is seeking to establish national and international ties by publishing the papers of Korean scholars as well as abroad and holding academic contests regularly.

기술집약형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 지원정책 연구: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사례 (A Study on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olicy for Technology-based SMEs: Case on Daedeok Innopolis)

  • 황혜란;김경근;정형권
    • 벤처창업연구
    • /
    • 제8권3호
    • /
    • pp.39-52
    • /
    • 2013
  • 기술집약형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 활동은 초기 기술을 대상으로 사업화를 전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기술 및 시장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높다. 따라서 개별 기업의 역량이나 전략만으로 설명되기 보다는 혁신시스템적 관점에서 파악할 때 실효성 있는 정책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집약형 중소기업이 집적되어 있는 대덕연구개발특구 지역을 중심으로 이들 기업의 기술사업화 행태와 혁신시스템의 분석을 통해 그 특성을 밝히고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기술사업화 지원정책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현재 대덕연구개발특구의 기술사업화 시스템의 한계와 문제점을 국가수준과 지역 수준에서의 혁신시스템 전환기에 나타나는 '시스템 전환 지체'로 파악하고, 이러한 시스템 실패 극복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를 제안하였다.

  • PDF

인천항의 브랜드파워 제고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rand Power Enhancement Strategy in Incheon Port)

  • 김병일;김홍섭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1-136
    • /
    • 2011
  • 본 연구는 항만당국 및 마케터들로 하여금 실제로 통제하고 관리하기에 쉽도록 항만브랜드자산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브랜드파워 및 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상대적인 영향력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또한 인천항과 경쟁관계에 있는 국내항만과의 브랜드경쟁력 수준을 비교하여 인천항의 브랜드파워 증진을 위한 유용한 전략적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항만브랜드 자산의 구성요인이 인지도, 이미지, 서비스품질, 관계만족으로 구분됨을 확인하였고, 이들 4차원과 충성도간 영향관계에서 인천항은 인지도 및 관계만족이 매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항만간 비교평가를 통해 인천항과 평택항은 관계만족만이, 부산항은 이미지와 서비스품질에서 경영성과가 높게 나타나는 고객군에 있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