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jor Education

검색결과 6,938건 처리시간 0.027초

교육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 및 재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 E평생교육센터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effect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which Influence Re-Use and Customer Satisfaction - Focusing on E life-long Education Center -)

  • 김지현;이상복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55-166
    • /
    • 2011
  • In this research, we study on to find the inter-relation among education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and re-use focusing on E life-long education center. Education service quality consists of four factors such as training center's facility, trainer, employee's service and operating service. As lik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 found that three factors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such as facility, trainer and operating service give a positive effect to customer satisfaction and also we found that customer satisfaction gives a positive effect to re-use.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진학과 진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cedures of Entrance into Early Childhood Teachers College and the Career Progression of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송주연;조준오
    • 아동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49-26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cedures for entering college, their perception of major areas of satisfaction and career progres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22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Busa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jor motivation of entering into college for these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to become an early childhood teacher'. Second, the majority of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satisfied with their majors for their aptitude for studying in this area. Third, the most commonly expressed employment preference for such students was that of a public kindergarten teacher due primarily to job security and appropriate rates of pay.

국내 공유대학 운영 사례 분석: DSC(대전·세종·충남) 공유대학을 중심으로 (A Study on Domestic Shared University Operation Case Analysis: Focusing on DSC(Daejeon·Sejong·Chungnam) Platform University)

  • 김동현;황영식;배유라;김태훈
    • 공학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47-57
    • /
    • 2023
  •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shared universities in Korea and seeks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from the analysis of its operation. This study overviews the current status of stud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jor in the DSC Shared University. This provides the future improvement direction and analyzes the survey of attending students. The results shows the most DSC students are engineering students, and they are taking classes centering on the major courses opened by their school. Future direction of shared universities include the recruitment of students from various backgrounds, expansions of enrollment in other schools' curriculum.

컴퓨터공학 교육에서 젠더 다양성을 위한 교육 방안 (The Scheme of Education for Gender Diversity in Computer Engineering Education)

  • 조정래;임숙자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3-20
    • /
    • 2015
  • 현재 컴퓨터공학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여학생들의 전공과 일에 대한 가치관을 조사하고 전공 만족도와 유지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 및 평가 과정 개발을 위한 새로운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우리 사회에서 컴퓨터공학 기술 분야의 젠더 다양성을 높이고 여성과 컴퓨터공학 기술 분야의 새로운 관계를 모색하는 데 기여하기 위하여 컴퓨터공학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량적 및 정성적 조사를 실시한 결과 여학생의 경우 컴퓨터공학 교육 과정을 접하면서 흥미가 감소되고 멘토가 부족하며 자아 존중감이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났고 전공과 직업 선택의 연계 과정이 불일치할 수 있어 여성의 이공계 탈출 현상을 초래할 수 있음이 드러났다. 연구 결과 컴퓨터공학 전공 여학생에게 적합한 ICT교육 방법은 지역적, 역사적, 사회적 맥락에 맞게 재설계되어야 하며 컴퓨터공학 전공 여학생들이 갖고 있는 불안감이나 약한 조직 소속감에서 드러나는 특성을 우선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맞는 교수법을 제안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치위생 교육과정 분석 (Analysis of dental hygiene curriculum of dental hygiene programs in Korea)

  • 이형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808-823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basic data to develop the national exam contents for dental hygiene by comparing with those of other country. Methods : Several dental hygiene education course results were reviewed, and analyzed the culture subjects, basic major subjects, educational subjects, national exam contents in 3 or 4 years dental hygiene curriculum. Results : In Korea, grades of culture subjects in dental hygiene curriculum were different between 3 and 4 years education course, mean grades were 10.4, and 34.5 respectively. While there were few different between 3 and 4 years education course, mean grades were 36, and 36.5 respectively in foreign country. In Korea, grades of major subjects in dental hygiene curriculum were similar between 3 and 4 years education course as mean grades of 110, while there were different between 3 and 4 years education course, mean grades were 60 and 80 respectively in foreign country. In Korea, number of major subject was higher in 4 years(n=61) than 3 years(n=54). However, it was lower in 4 years(n=27) than in 3 years(n=33) in foreign country. Total grade number was 129 in 3 years, and 145 in 4 years in Korea, while it was 97 in 3 years, and 116 in 4 years in foreign country. By analyzing 3 years education course, culture subject was 9.5%, basic health was 11.2%, oral biology was 11.2%, clinical dentistry was 20.7%, public oral health was 10.4%, oral hygiene care was 35.9%, management of dental clinic was 9.4%, education was 2.8% in Korea. In USA, dental hygiene examination contains practice work as major part, while theory was thought of as most important things in korea. Conclusions : It is necessary to improve learning course of dental hygiene curriculum on the basis of other country's system, and then it could be possible to development of good quality's national examination contents, thus good quality of dental hygiene personnel would be turned out in Korea.

  • PDF

컴퓨터 비전공 예비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 교양 강좌에서 컴퓨터학습태도 요인 간 인과분석을 통한 정의적 교수전략 제언 (Suggestions of Instructional Strategy in the Affective Aspect through the Analysis of Causality between the Computer Learning Attitude Factors of the Non-Major Students in the Software Education Class of the Teacher Training College)

  • 전용주;김태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5-23
    • /
    • 2016
  • 최근 4차 산업혁명이란 단어로 표현되는 소프트웨어 융합의 시대가 시작되었다. 이로 인해 미래 인재를 육성하게 될 예비교사들도 전공을 뛰어넘어 소프트웨어 교육을 이수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함양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 교양 강좌를 수강한 컴퓨터 비전공 예비교사들의 컴퓨터학습태도의 외부적인 하위 요인, 즉 주의집중, 자율학습, 학습기술의 적용에 영향을 미치는 타 내부적인 하위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요인 간 상관분석 및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에 대한 주의집중은 컴퓨터학습에서의 흥미도, 자율학습은 우월감, 학습기술의 적용은 성취동기와 목적의식이 유의한 요인으로 분석되어 컴퓨터 비전공 예비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 강좌에서 컴퓨터 학습에 대한 정의적 태도를 향상하기 위한 교수전략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IPA분석을 통한 공학계열 대학생 진로역량 보유수준 및 필요수준에 대한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Level of Career Competency and Needs for Engineering Students : Using IPA Analysis Within the Engineering Educational Contexts)

  • 김윤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26권6호
    • /
    • pp.3-18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retention level and the required level of engineering students' career competency that they think they need based on their perceptions. Ultimat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used as basic data when designing the major/general education program and the curricular/extra-curricular career program. The task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retention level and the required level of engineering students' career competency. And based on this, it is to confirm the educational needs of engineering students for the career competency. For this purpose, literature research on career competency education in universities was reviewed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Next, previous studies on career competency and sub-competence derived from career competency-related studies and detailed questions were analyzed. Based on this, an initial evaluation tool for career competency of engineering students was developed. Finally, through expert review, a career competency evaluation tool with a total of 43 items in 10 competency groups was developed. A career competency evaluation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197 engineeri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2022 Engineering Education Festa, and as a result of the IPA analysis, 'global competency' was found to be the competency with the largest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execution. Next, 'major job competency'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ppeared in order. Reflec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mutually organic design of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curriculum and major curriculum that can cultivate global competency, major job competency, and career development capability will be carried out through learning activities and field practice.

대학의 비전공자 SW교양교육에 관한 인식 연구 (A Study on Non-Majors Students' Perception of the SW Liberal Education in University)

  • 서주영;신승훈;구은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5호
    • /
    • pp.21-31
    • /
    • 2018
  • 최근 SW교육이 전공과 상관없이 교양필수교육으로 운영되는 대학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교양필수로 운영된 SW교육의 수업 사례를 토대로 비전공자 SW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설문 조사를 통해 '성별, 단과대학별, SW학습경험유무별'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남자, 사회과학대학생, SW학습경험이 있는 경우, 비전공자 SW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인식이 매우 강했고 'SW교육은 나의 전공을 공부하는 데 매우 도움이 된다'의 전공 관련성이 비전공자의 SW교육의 필요조건으로 함께 분석되었다. 특히 비전공자가 느끼는 SW학습 난이도는 비전공자 SW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인식엔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전공자 SW교육이 자신의 전공에 도움을 주는 SW기술을 토대로 한다면 필수교과로서의 SW교육에 대해 깊은 공감대를 이끌 것으로 기대한다.

3년제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학과 적응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a mentoring program assisting freshmen belonging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ree year college to adapt to their major)

  • 서혜정;원계선;임진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01-230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3년제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학과 적응을 돕기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신입생의 학과 적응에 대한 어려움의 목록을 추출하기 위해 focus group 인터뷰를 하였다. 이후, 신입생의 학과적응을 도와주기 위한 방법에 대해 학년별로 브레인스토밍과 서술식 질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3년제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어려움은 개인 내 어려움, 대인간 어려움, 지원체계에 대한 것이었다. 신입생의 어려움을 돕기 위해서는 신입생 겪는 어려움을 해소시키는 것과 그들의 대학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정보 안내가 필요하였다. 3년제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학과적응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은 신입생이 겪는 학과 적응의 어려움 해소를 위한 내용과 신입생에게 필요한 정보 안내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은 총 8회기로 구성되었으며, 그 내용은 시간 관리, 학업 활동, 사회적 관계 형성, 진로 및 취업 준비, 교과 외 활동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에서 학습자 전공분야의 융합 가능성 탐색 - 컴퓨터 비전공 대학 신입생을 중심으로 - (Exploring the Convergence Possibility of Learner's Major Field in Software Project -Focus on the Non-Computer Major Freshmen-)

  • 정혜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263-270
    • /
    • 2020
  • 최근 여러 학문 분야와의 협력과 통합을 통한 새로운 지식의 창출과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출 수 있는 교육의 필요성이 증가됨에 따라 대학에서는 타 전공지식과 소프트웨어 소양을 겸비한 창의융합인재 양성을 위해 소프트웨어 역량 교육의 필수화를 추진하고 있다. 컴퓨터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교육을 통해 창의융합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다양한 지식을 활용 및 적용하여 문제를 스스로 해결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비전공 대학 신입생들이 소프트웨어 교과목을 이수하며 만들어낸 프로젝트와 학습자의 사전 사후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해봄으로써 소프트웨어와 학습자 전공분야와의 융합 가능성을 탐색하고 향후 컴퓨터 비전공 대학 신입생들의 소프트웨어 교육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