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TA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19초

MTA1 Overexpression Induces Cisplatin Resistance Innasopharyngeal Carcinoma by Promoting Cancer Stem Cells Properties

  • Feng, Xiaohua;Zhang, Qianbing;Xia, Songxin;Xia, Bing;Zhang, Yue;Deng, Xubin;Su, Wenmei;Huang, Jianqi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37권9호
    • /
    • pp.699-704
    • /
    • 2014
  • Themetastasis-associated gene 1 (MTA1) oncogene hasbeen suggested to be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cancer progression. However, there is still no direct evidence that MTA1 regulates cisplatin (CDDP) resistance, as well as cancer stem cell properties. In this study, we found that MTA1 was enriched in CNE1/CDDP cells. Knock down of MTA1 in CNE1/CDDP cells reversed CSCs properties and CDDP resistance. However, ectopic expression of MTA1 in CNE1 cells induced CSCs phenotypes and CDDP insensitivity. Interestingly, ectopic overexpression of MTA1-induced CSCs properties and CDDP resistance were reversed in CNE1 cells after inhibition of PI3K/Akt by LY294002. In addition, MTA1 expression and Akt activity in CNE1/CDDP cells was much higher than that in CNE1 cell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TA1 may play a critical role in promoting CDDP resistance in NPC cells by regulatingcancer stem cell properties via thePI3K/Akt signaling pathway. Our findings suggested that MTA1 may be a potential target for overcoming CDDP resistance in NPC therapy.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에서 MTA의 주요 교훈 (Major Lessons from the MTA in Treatment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황준원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1권1호
    • /
    • pp.3-10
    • /
    • 2010
  • Objectives : The current review aimed to describe the major findings of the NIMH Collaborative Multisite Multimodal Treatment Study of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MTA) with regard to the treatment of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Methods : We performed a general review of the literature regarding the efficacy of the MTA's proposed treatments. Results : There is a large and still increasing body of evidence regarding the MTA's treatment outcomes. We present and discuss details of the findings at each follow-up point. Conclusion : Currently, findings regarding the MTA's treatments suggest children with combined-type ADHD exhibit significant impairment in adolescence, despite their initial symptom improvement. Further studies, using innovative treatment approaches and targeting specific areas of adolescent impairment, are needed in order to enhance ADHD treatment outcomes.

Mineral trioxide aggregate가 유치 및 영구치의 치수기질세포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neral Trioxide Aggregate on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Human Dental Pulp Stromal Cells from Permanent and Deciduous Teeth)

  • 김승혜;전미정;신동민;이제호;송제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85-193
    • /
    • 2013
  • 최근 유구치의 치수절단술 약제로 MTA의 임상 적용이 문헌들에서 보고된 바 있으나 MTA 표면에서 일어나는 유치 치수 세포의 반응에 대한 시험관내 연구는 많이 보고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유치 및 영구치에서 유래한 치수기질세포가 경화된 MTA 표면에서 나타내는 증식 및 분화 능력을 비교 평가하는 것이었다. 사람 영구치와 유치 치수 조직에서 분리된 치수기질세포를 경화된 MTA 표면에서 배양 후 세포증식율과 세포주기를 검사하였으며, 정량적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을 사용하여 분화양상을 분석하였다. 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2(Runx2)와 alkaline phosphatase(ALP)가 정량적 RT-PCR의 표지자로 사용되었고, MTA 표면에서 증식된 치수기질세포의 형태학적 변화를 주사전자현미경 하에서 관찰하였다. 영구치와 유치의 치수기질세포군은 세포증식률, 세포주기 분포 및 mRNA 발현 양상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주사전자현미경 상에서 두 군 모두 수지상 형태를 나타내었다. MTA 상에서 관찰된 유치와 영구치의 치수기질세포의 비슷한 증식력 및 광화를 유도하는 세포로의 분화능은 유치의 치수절단술 제재로 MTA가 생체친화적으로 적합함을 보여준다.

미성숙 영구 전치의 외상 후 MTA를 이용한 치근단 형성술 : 후향적 연구 (MTA APEXIFICATION OF TRAUMATIZED IMMATURE PERMANENT INCISORS: A RETROSPECTIVE STUDY)

  • 정서영;안병덕;홍소이;공은경;마연주;정영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7-24
    • /
    • 2011
  • 미성숙 영구 전치에서 MTA를 이용한 치근단 형성술의 예후를 평가하기 위해, 영구 전치의 외상으로 MTA를 이용한 치근단 형성술을 받은 환자 중 최소 3개월 이상의 경과 관찰이 시행된 환자 49명, 치아 64개의 의무기록과 방사선 사진을 검토하였다. 환자 정보, 치아 및 치주조직 외상 위치와 유형, 치료 전 치근단 병소 유무, 임상 증상 유무, MTA 충전 상태, 치근단 형성술 이후 치근단 병소 치유 및 치근단 경조직 장벽 형성 여부를 조사하고, 임상적, 방사선학적 성공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64개의 미성숙 영구전치에 시행된 MTA를 이용한 1-visit 치근단 형성술은 89.1%의 임상적 성공률과 73.4%의 방사선학적 성공률을 보였다. 2.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에 행해진 MTA를 이용한 1-visit 치근단 형성술 비교시 상악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 3. 치아 외상 및 치주조직 외상 유형에 따른 성공률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MTA의 적절한 충전 여부는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Sealing Ability of Three Different Materials Used as Retrograde Filling

  • Park, Ji-Hoon;Kang, Seung-Bok;Choi, Yong-Hoon;Bae, Ji-Hyun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5권2호
    • /
    • pp.60-67
    • /
    • 2012
  • Purpose: To test the apical leakage prevention performance of three different materials through protein leakage procedures using bovine serum albumin (BSA) and Bradford protein reagent.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60 human single-rooted teeth were divided into 4 groups, and conventional root canal filling was done. The root was cut 3 mm from the apex, and a cavity was formed. Proroot MTA (MTA), Fuji II LC (GI), Fuji II LC with XP bond (GIA), and Caviton (CA) were used as experimental materials to fill the cavity in a retrograde filling manner. The extent of BSA leakage was then measured with a ultraviolet visible spectrophotometer 24, 48, and 72 hours after filling. Result: After 24 hours, among the 15 teeth of each group, 2 in MTA, 4 in GI, 3 in GIA, and 7 in CA showed leakage. After 48 hours, 3 in MTA, 5 in GI, 5 in GIA, and 10 in CA had leakage and discoloration. After 72 hours, among the 15 teeth of each group, 3 in MTA, 6 in GI, 5 in GIA, and 10 in CA showed leakage. The leakage in the CA group was greater than that in the MTA group at 48 and 72 hours based on Fisher's exact test (P=0.025),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imilarly, the leakage in the CA group was greater than that in the MTA group over time based on the Kaplan-Meier survival estimate (P=0.011),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Glass ionomer, glass ionomer after adhesive application, and MTA all showed leakage. Caviton showed greater leakage compared to MTA 48 and 72 hours after filling,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us suggesting that Caviton is not appropriate as retrograde filling material considering its sealing ability.

치수 괴사된 미성숙 영구치에서 Retro MTA를 이용한 변색 없는 재생적 근관치료 : 증례 보고 (Regenerative Endodontic Treatment Without Discoloration of Infected Immature Permanent Teeth Using Retro MTA : Two Case Reports)

  • 김유정;김선미;최남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35-343
    • /
    • 2014
  • 재생적 근관치료는 치수 괴사를 보이는 미성숙 영구치 치료에 있어서 괴사된 치수를 치유하고 계속되는 치근의 발달을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는 몇 가지 단점과 불리한 결과들이 있다. 이 중 재생적 근관치료에 가장 큰 임상적 부작용은 minocycline과 MTA에 의한 변색이다. 본 증례에서는 재생적 근관치료 후에 나타나는 치관 변색을 방지하기 위해 minocycline을 clindamycin으로 대체한 triple antibiotics와 칼슘 지르코늄 알루민산염 시멘트인 Retro MTA를 사용하였다. 치수 괴사된 미성숙 영구치에서 근관 와동 형성 및 근관 세척 후 수정된 triple antibiotics를 적용하고, 혈병 또는 콜라겐 스펀지를 스캐폴드(scaffold)로 하여 Retro MTA로 근관을 폐쇄하였다. 정기적인 검진 결과 미성숙 영구치의 치근 성장 및 정상적인 치아 주위 조직들이 관찰되었으며, 치관 변색 없이 모두 양호한 치유 결과를 얻었다.

Hard tissue formation after direct pulp capping with osteostatin and MTA in vivo

  • Ji-Hye Yoon;Sung-Hyeon Choi ;Jeong-Tae Koh ;Bin-Na Lee ;Hoon-Sang Chang;In-Nam Hwang; Won-Mann Oh;Yun-Chan Hwang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6권2호
    • /
    • pp.17.1-17.9
    • /
    • 2021
  • Objectives: In recent in vitro study, it was reported that osteostatin (OST) has an odontogenic effect and synergistic effect with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 in human dental pulp cell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OST has a synergistic effect with MTA on hard tissue formation in vivo.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wo maxillary molars of Spraque-Dawley rats were used in this study. An occlusal cavity was prepared and the exposed pulps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groups: group 1 (control; ProRoot MTA), group 2 (OST 100 μM + ProRoot MTA), group 3 (OST 10 mM + ProRoot MTA). Exposed pulps were capped with each material and cavities were restored with resin modified glass ionomer.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fter 4 weeks. All harvested teeth were scanned with micro-computed tomography (CT). The samples were prepared and hard tissue formation was evaluated histologically. For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the specimens were sectioned and incubated with primary antibodies against dentin sialoprotein (DSP). Results: In the micro-CT analysis, it is revealed that OST with ProRoot MTA groups showed more mineralized bridge than the control (p < 0.05). In the H&E staining, it is showed that more quantity of the mineralized dentin bridge was formed in the OST with ProRoot MTA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p < 0.05). In all groups, DSP was expressed in newly formed reparative dentin area. Conclusions: OST can be a supplementary pulp capping material when used with MTA to make synergistic effect in hard tissue formation.

한국 소아청소년 근관치료 영역에서 재생치료, 근관치료재생술에 대한 증례보고 (Regenerative Endodontic Procedure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A Case Report)

  • 안소연;김진경;심연수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17-322
    • /
    • 2016
  • 최근 성장 중인 아동에서 치근의 성장이 계속됨에 따라 치수가 괴사되어 치근의 병변이 있는 미성숙 영구치에서도 치수의 재혈관화(revascularization)가 실제로 일어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소아치과영역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미성숙 영구치의 치근단 형성술의 목적은 열린 치근단에서 세균 침입을 제한하고 치근단 장벽 형성을 촉진하는 것이다. 미성숙 치아의 근관 치료에서 기존의 수산화칼슘을 이용한 치근단 형성술은 빈번한 내원과 장기간 소요되는 치료 기간, 환자협조 요구, 최종 처치의 지연, 장기간의 수산화칼슘 적용 이후 치아 파절 가능성의 증가 등의 단점이 보고되었다. 기존의 수산화칼슘 치근단형성술의 대체방법으로 MTA를 이용한 1-visit 치근단형성술을 시행하고 있다. MTA는 1990년대 초반 근관치료 분야에서 다양한 적용을 위해 개발되었다. MTA의 우수한 임상적 성질에 힘입어 국내에서도 OrthoMTA 및 Endo CEM 등의 mineral aggregate 제품이 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증례에서는 우리나라의 청소년에서 MTA 적용한 사례를 보고하는 데 있다. 이 연구를 통해 MTA를 이용하여 진료하는 임상가에게 소개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11~12세의 파절이 된 치아에 MTA를 적용하여 근관 치료를 하였다. 치료 받은 환자의 치아 상태를 12개월 동안 추적 관찰하였고, 국내에서 개발된 OrthoMTA를 이용한 치근단형성술을 시행한 후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관찰 결과를 통해 근관치료재생술(REP)에 관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으며, 치수괴사가 생긴 경우에서도 성공적으로 치수재생술을 적용할 수 있다는 정보를 제공하고 그 결과를 공유하기 위함이다.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가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에서 분비되는 cytokine과 성장인자 TGF-β1, FGF-2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ineral Trioxide Aggregate on the Production of Growth Factors and Cytokine by Human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s)

  • 권지윤;임성삼;백승호;배광식;강명회;이우철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3호
    • /
    • pp.191-197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에 MTA를 접촉시킨 뒤 성장인자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TGF-\beta1)$, fibroblast growth factor-2 (FGF-2) 및 cytokine interleukin-6 (IL-6)의 발현량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다. MTA군에서는 100 mg씩의 ProRoot MTA와 증류수를 혼합하고, IRM군은 동량의 IRM 분말을 용액에 혼합하여 이 시료들을 경화반응이 진행되도록 7일간 놓아두었다. 사람의 치주인대 섬유아세포를 배양하여 MTA와 IRM시료 상에 well당 $1\times10^5$개 수준으로 도포한뒤 6, 12, 24,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n = 5). 대조군으로는 재료의 접촉 없이 배양한 세포를 사용하였다. 시료에서 상층액을 분리하여 $TGF-\beta1$, FGF-2, IL-6의 발현량을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법으로 측정하였다. MTA군에서, 성장인자인 $TGF-\beta1$과 FCF-2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발현이 억제되었으며 (p < 0.05), cytokine인 IL-6 발현량은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Mineral trioxide Aggregate(MAT)의 생물학적 기전에 대한 고찰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 Review of its biologic properties)

  • 김의성;신수정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8권11호
    • /
    • pp.798-802
    • /
    • 2010
  • Introduction: MTA has been studied for more than 15 years since it was introduced and developed at Loma Linda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present the current published papers regarding MTA's biologic properties and to provide a deep insight into the material's mechanisms of actions. Results: MTA has appeared to be biocompatible in many previous researches. In addition to that, it had a potential to increase cell reactions such as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Recently, MTA like new endodontic materials has been introduced and marketed. Conclusions: On the basis of current evidences, MT A seems to be biocompatible. Meticulous studies need to be performed to adopt new endodontic materials into clinical ap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