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T. GAYA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7초

중부지방 비목나무 자생림의 식물군집구조 분석(I) (Plants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of Lindera erythrocarpa Native Forest in the Central Korea(I))

  • 이동철;심경구;최송현;이경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3-157
    • /
    • 1994
  • This study was executed to find out the succession stage and the ecological niche of Lindera erythrocarpa Markino. Four sites were selected by field investigation. They are Jeondungsa and Jeongsusa of Kanghwa Island, Mt. Suri of Anyang and Mt. Gaya of Chungcheongnamdo. They located in the region which have the similar temperature with Seoul region or lower average temperature for winter than that of adjacent Seoul. In the four sites, L, erythrocarpa was appeard in canopy layer at L. erythrocarpa community in Jeondungsa, L. erythrocarpa-Q. serrata, Z. serrata-L. erythrocarpa community in Jeongsusa, Castanea crenata-L, erythrocarpa community, L. erythrocarpa-Q. serrata community in Mt. Gaya and in the rest of the sites, it lives in subtree and shrub layer. And in the four sites but Jeongsusa area, it correspond with Chang(1991)'s study that L. erythrocarpa is dominant species in the site impacted by human. L. erythrocarpa lives with Quercus spp. such as Q. serrata, Q. variabilis, Q. mongolica and Carpinus laxiflora but it's presumably a passing phenomena.

  • PDF

Unrecorded moss species from Korean flora II

  • Yoon, Young Jun;Kim, Chul Hwan;Gorobets, Konstantin-V.;Sun, Byung-Yun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35-241
    • /
    • 2011
  • Five unrecorded species (Oedipodium griffithianum, Myurella tenerrima, Trachypus bicolor, Coscinodon humilis, Meteorium miquelianum subsp. atrovariegatum) with one unrecorded family and two unrecorded genera, were reported as new to the Korean moss flora. The monotypic family Oedipodiaceae consisting of a single genus and single species was distinguished from Splachnaceae by small plants that were 10 mm in length simple or sometimes branched, obovate-spathulate to ${\pm}$ orbicular, costa ending below the apex and entire margins except for the lower long-ciliate portion The species was first found at the top of the Mt. Seorak at an altitude of 1708 m. The two genera, Myurella and Coscinodon were found in the Korean Peninsula. Myurella tenerrima (Theliaceae) was found around the top of Jung-bong on Mt. Jiri. It was mixed with other mosses in the crevices of rocks in the alpine regions. The species is similar to M. sibirica, yet it can be distinguished by the position of papilla in the median laminal cells. Coscinodon humilis (Grimmiaceae) were found on the ridge of Mt. Gaya. C. humilis has a variety of hyaline apex according to leaf position and forms a capsule so it can be distinguished by family. Trachypus bicolor and Meteorium miquelianum subsp. atrovariegatum are unrecorded species. T. bicolor (Trachypodaceae) were found on the ridge of Mt. Gaya. T. bicolor is similar to T. humilis but distinguished by the costal lengths of the leaves. M. miquelianum subsp. atrovariegatum (Meteoriaceae) was found in Gageo-do. This species was distinguished by the plant form and morphology of stem leaves in the same genus.

가야산 구상나무 군락의 구조 및 동태 (Structure and Dynamics of Abies koreana Wilson Community in Mt. Gaya)

  • Lee, Chang-Seok;Hyun-Je Ch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6권1호
    • /
    • pp.75-91
    • /
    • 1993
  • Structure and dynamics of Abies koreana community in Mt. Gaya were studi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conservation of Abies koreana community, an endemic species in Korea. A. koreana community of this study site was composed of tree layer (4~7m), subtree layer (2~4m), shrub layer (1~2m), and herb layer (below 1m). The heights of tree and subtree layers were low. Floristic composition showed that this study site was subalpine and dry site. In frequency distribution diagram of diameter classes of major species consisting of A. koreana community, those of both A. koreana and other species showed reverse J-shaped types. From these results, it was estimated that A. koreana community of this site might be maintained continuously as a stable climax state like present state. In the spatal distribution diagram of major species, saplings of A. koreana were established under the canopy of A. koreana and Pinus koraiensis and under the dead tree of A. koreana. From these results, it was known that A. koreana saplings were recruited before the community was disturbed and regeneration was accomplished by advance regeneration pattern, in which these saplings established before occurrence of disturbance fill with open site originated from death of mature tree. Growth of annual rings was variable among individuals, it was estimated that such variation was originated in that growth of each individual relates to microclimatic conditions rather than macroclimatic ones. Ecological longevity of A. koreana in this study site estimated by disturbance types and age of dead trees was about 120 years.

  • PDF

기온과 봄 식물계절지수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and Spring Phytophenological Index)

  • 장정걸;유성태;김병도;손성원;이명훈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06-115
    • /
    • 2020
  • 본 연구는 봄 식물계절지수와 기온지표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지난 9년간(2010년-2018년) 대구수목원, 팔공산, 주왕산, 가야산에 공통적으로 생육하는 소나무, 일본잎갈나무, 신갈나무, 진달래, 생강나무, 당단풍나무 6종을 대상으로 발아, 개화, 개엽의 봄 식물계절 시기의 변화 경향과 기온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기온의 변화는 9년동안2월 보다 3~4월의 월평균 기온이 증가하였으며, 지역별로 수목원과 팔공산의 평균기온이 높았다. 발아, 개화, 개엽은 수종별로 생강나무가 가장 빠르며 소나무가 가장 느렸고, 지역별로 수목원에서 가장 빨리 식물계절시기가 도래하였다. 봄 식물계절시기는 -1.267~-6.151일/9년 정도 앞당겨지고 있는 경향을 보이는데 소나무(-6.151일/9년)가 가장 크며, 진달래(-1.267일/9년)의 변화율이 가장 낮았다. 발아, 개화, 개엽에서 모두 유의한 값을 보이는 수종은 진달래와 소나무로서 이들은 1월~3월 평균기온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봄 식물계절지수(SPI)의 시계열 변화를 확인한 결과 4개 지역의 변화율이 모두 음의 값으로 식물계절 시기가 모두 빨라지고 있었다. 그 중 수목원, 팔공산 및 가야산과 같은 내륙지역일수록 변화율이 컸으며, 다소 거리가 떨어진 주왕산의 경우 변화율이 조금 낮게 나타났다.

한국에서 서식하는 흰넓적다리붉은쥐 한 아종 Apodemus peninsulae peninsulae Thomas(포유강: 설치목)의 미토콘드리아 DNA 절단단편의 변이 (Variation of Mitochondrial DNA Restriction Fragments within One Subspecies of Korean Field mice, Apodemus peninsulae peninsulae Thomas (Mammalia: Rodentia), from Korea)

  • Hung Sun Koh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1권2호
    • /
    • pp.291-299
    • /
    • 1995
  • 한국의 6개 지역에서 채집한 흰넓적다리붉은쥐(Apodemus peninsulae p peninsulae)를 사용하여. 8개 제한효소로 절단한 미토콘드리아 DNA(mtDNA) 의 단펀들을 분석하였다. 총 29개의 절단단편들이 나타났고. 7개 mtDNA의 clone이 밝혀졌다. 이들 m mtDNA clone간의 nucleotide-sequence divergence(p)는 0.42-2.01%였으 며, 이들은 평균 divergence가 1. 52%인 3개 소군으로 나뒤어졌다. 한 소군은 3 개 clone으로써 3개 지역의 18마리(청주 16. 소백산 1. 설악산 1)였고, 다른 한 소군은 3개 clone으로 4개 지역의 8p1-리(청주 2. 월악산 2. 가야산 2. 해남 2)였 다 나머지 한 소군은 1개 clone으로 청주의 2마리였다. 뿐만아니라, 이들 3개 소 군은 Stu I의 genotype에 있어서 서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고, 전자의 2개 소군과 마지막 소군과는 Pvu II의 genotype이 달랐다. 이들 뚜렷한 mtDNA 소군의 분류학적 위치를 규명하기 위하여 한국내 여러지역 의 더 많은 표본들을 사용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PDF

가야산 포천계곡의 생태관광자원 활용을 위한 식생구조 분석과 관리 방안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Methodology for Ecotourism Resources of Pocheon Valley, Mt. Gaya in Korea)

  • 이성제;안영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695-707
    • /
    • 2019
  • 본 연구는 가야산 포천 계곡의 생태관광 자원 활용을 목적으로 현존 환경요인과 군집유형의 관계를 식물사회학적으로 분석하여 적절한 식생 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가야산 포천 계곡에서 다음과 같은 5개 유형의 군집이 조사되었다. 소나무-신갈나무군락, 졸참나무-굴참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졸참나무군락, 소나무-밤나무군락, 갯버들-달뿌리풀군락으로 나타났다. 졸참나무-굴참나무군락은 다시 조사지에 따라 2가지의 하위군락으로 나타났다. 조사지 식생을 대상으로 생태관광자원 활용과 건전한 자연식생 유지를 위해 다음과 같은 식생관리방안을 제안하는 바이다. 나타난 식물군집의 교목층에 대한 인위적인 관리는 철저히 배제하여 현존식생을 유지하도록 하며, 금후 시간 경과에 따라 관목층에서 생육하는 교목성 수종이 아교목층 이상으로 성장하였을 때, 숲 관리 등의 인위적 관리를 실시하여 기존 식생구조를 최대한 유지하도록 한다. 연구 대상지의 생물다양성을 높이기 위해 관목층 이하 층위에서 특정 종의 우점을 배제하고 다양한 식물종이 우점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인위적인 관리를 지속적으로 실시한다.

가야산국립공원일대의 식생 및 식물상 연구 -단지봉 지역을 중심으로- (Forest Vegetation and Floristic Studies of Mt. Gaya National Park - Especially on the Danji - bong Area -)

  • 박광우;권영한;최경;오승환;김동갑;김주환
    • 환경생물
    • /
    • 제23권1호
    • /
    • pp.1-20
    • /
    • 2005
  • 본 조사지역인 가야산국립공원은 지리학적으로는 북위 35°45'00'∼35°49'30', 동경 128°02'30'∼128°09'30'에 위치하고, 행적구역상으로는 경상남도의 합천군과 거창군, 경상북도의 성주군, 고령군에 걸쳐 있으며, 총면적은 57.81 ㎢에 이른다. 가야산은 우리나라 기후지역상 온대남부에 위치하고, 식물구계학적으로는 남부아구에, 식생구계학상으로는 냉온대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전체면적의 약 82.5%가 해발 600m 이상이며, 1,000m 이상이 약 10.3%에 해당된다. 가야산의 해인사-극락골-토신골 지역은 잘 보존된 소나무림이 우점하고 있고, 부분적으로 노각나무가 산생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해인사-진대밭골-두리봉 지역은 계곡에는 소나무와 졸참나무가 고지대에는 신갈나무 등이 부분적으로 군락을 형성하고 있었다. 또한 남산제일봉과 북사면은 각각 등산로와 임도가 형성되어 있어 소나무와 졸참나무, 신갈나무 등이 혼재된 양상을 나타내었고, 백운동계곡 주변은 다른 사면과 달리 식생의 발달정도가 소나무와 관목위주로 매우 단순했다. 특기할만한 점은 상왕봉 주변에서 흰참꽃, 설앵초, 네귀쓴풀, 백리향. 솔나리, 구름송이풀 등의 희귀 또는 고산성 식물들이 분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가야산국립공원지역에 분포하는 양치식물 이상의 관속식물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91과 268속 373종 1아종 75변종 12품종 4잡종으로 총 465분류군이 조사 확인되었으며,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4,071 분류군의 11.4%에 해당되었다. 한국특산식물은 11과 15속 15분류 군으로 조사지역내 분포하는 465분류군중 약 3.2%이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17과 21속 25분류군으로 이는 가야산 소산식물 465분류군의 5.4%이었고,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은 5과 7속 7분류군으로 우리 나라전체 귀화식물종 177종류의 4%이다. 또한 가야산 단지봉(1,028.5m)에서 새로 발견된 산간습지 (forested wetland)와 자란초 자생 군락지에 대해 식생 및 층위별 종조성을 토대로 현존 식생 구조를 분석하였다.

가야권역에서 출토된 스에키계토기의 역사적인 배경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Sueki Excavated from the Gaya Region)

  • 스즈키코키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2호
    • /
    • pp.66-79
    • /
    • 2022
  • 고분(古墳)시대 중기에 한반도 남부지역의 기술이 일본열도로 전해져, 스에키라고 하는 일본열도식 도질토기가 탄생하였다. 제작기술이 전파된 초기 무렵은 한반도 각지의 요소가 강하게 남아 있고, 또한 일본열도 내에서의 생산도 매우 제한된 장소에서만 행해졌으며, 그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본열도 각지에서의 생산도 개시하게 된다. 스에키는 한반도의 기술을 가지고 일본열도로 전해졌지만, 한반도 내에서도 많은 출토 사례가 보고되고 있으며(한반도에서 출토되는 것은 스에키계 토기라고 불린다.), 그 중에서도 영남지역이나 영산강유역을 중심으로 한 전라도에서 많이 출토되는 경향을 보인다. 기왕의 연구에서 밝혀졌듯이 전라도 주변에서 출토되는 것은 모방품이 많이 포함되는 경향을 보이지만, 영남지역 분묘에서는 일본열도에서 제작된 스에키가 출토된다. 출토시기가 5세기 후엽~6세기 전엽(특히 TK23~MT15형식이 제작되는 시기)에 집중되는 경향이 강하여, 전라도 지역과는 근본적으로 차이를 보인다. 스에키계토기가 출토되는 분묘를 살펴보면, 대부분 지역 유력자층 분묘에서 확인되며, 왕릉급 분묘에서는 거의 출토되지 않는다. 또한 일본열도식 장송의례나 스에키계토기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했던 흔적이 확인되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은 도질토기와 같은 의미로 다루어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유력자층(집단, 일족, 세력 등)도 분묘 전체로 보면, 일정 가야권역만 관계를 맺고 있었던 것이 아닌, 복잡하고 광역적인 관계구조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영남지역(가야권역)에서 출토된 스에키계토기를 보면, 각 가야권역 세력의 변천을 여실히 반영하고 있고, 각 가야권역의 중앙정권 아래에서 교섭과 교류의 역할을 수행한 지역 유력자층의 실체를 나타내며, 가야권역 내에서 복수의 지역이 상호관계를 유지함으로써 성립된 지역(집단, 일족, 세력)의 존재를 가야권역에서 출토된 스에키계토기에서 엿볼 수 있다.

자연환경 평가 -II. 국내 자연공원과 울릉도의 식물군을 이용하여-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 II. Based on the Plant Taxa of the Natural Parks and Ulleung island-)

  • 김철환;이희천
    • 환경생물
    • /
    • 제19권1호
    • /
    • pp.49-58
    • /
    • 2001
  • 여러 자연공원의 환경을 비교ㆍ분석하기 위하여 분포범위에 따라 5개의 등급으로 구분된 환경평가를 위한 식물군을 이용하였다. 식물군의 각 등급의 중요도에 따라 V등급을 구성하는 식물에는 20점, W등급 10점, III등급 5점, II등급 3.3점 그리고 I등급의 식물군에는 2.5점의 점수를 각각 부여하였다. 조사된 자연공원지역의 식물군에 따른 전체 평가점수의 순서는 한라산, 설악산, 지리산, 덕유산, 울릉도, 소백산, 오대산, 팔공산, 치악산, 태백산, 속리산, 주왕산, 가야산, 두륜산, 계룡산, 북한산, 내변산, 월악산, 내장산, 청량산, 내 연산, 명지산, 조계산, 무등산, 월출산, 금오산, 주흘산, 비슬산, 황매산, 장안산, 선운산, 모악산, 선암산, 칠갑산 및 기백산 순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식물군에 따른 자연환경은 1,000점 이상을 얻는 한라산-덕유산은 아주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며 700-1000점을 얻는 울릉도-오대산은 비교적 우수하고 500-700점을 얻는 팔공산-가야산은 우수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300-500점을 얻는 두륜산-무등산은 보통으로 평가하였으며 300점 이하의 점수를 얻는 월출산-기백산은 열세 지역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국립공원의 식물군의 평가점수가 도립과 국립공원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울릉도는 총 150개의 환경평가를 위한 식물군이 분포하고 그에 따른 평점은 882.9점으로 집계되어 IUCN의 기준에 따른 환경부의 자연생태계 보전형에 포함되는 것으로 예상되었다. 아울러 여러 자연환경을 감안하면 자연풍경자원 우수형에도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울릉도는 다른 국립공원과 비교해 손색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국립공원으로의 지정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으로 보였다.의 우수성의 판단을 의미하는 편견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안을 통해 기밀성 침해의 우려가 있는 메시지 명령어를 차단하고, 기능 명령어 차단에 의한 자원의 기밀성을 해결하였다.성 다한증 발생을 비교한 결과 교통가지 절제술에서 보상성 다한증 발생의 유의한 감소를 보여 보상성 다한증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교통가지 절제술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식도열공을 통한 식도절제술은 주변 장기에 침범이 없고 암의 길이가 비교적 짧고 술 전 전신상태가 좋지 않아 호흡기계 합병증 등이 우려되는 환자에게 선택적으로 시행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그리고 두 술식은 집도외간의 기호와 경험에도 좌우될 수 있다고 하겠다.<0.05), 면류(p<0.01)와 종류별로는 덮밥, 짜장밥(p<0.01), 해장국, 컵라면(p<0.05) 등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모두 26세 이상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석가공식품을 접하게 된 동기는 'TV광고', '호기심 ', '친구/가족들의 권유와 소개', '신문이나 잡지광고', '인터넷광고 및 홍보' 등의 순이었으며, 즉석가공식품의 구매장소로는 '편의점'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그 다음으로 '동네 인근슈퍼', '대형마트', '백화점 '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 볼 때 즉석가공식품의 이용률이 계속적으로 증대되고 있으나 남자가 여자보다 또는 비조리전공학생이 조리관련전공 학생보다 즉석가공식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세분화 고객에 대한 제품 개발과 홍보방안을 고려 해 보아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대학생들은 일부 즉석가공 식품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기호도와 이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학생들의 인터넷 사용율이 높은 점을 이용한 인터넷상의 적극적인

  • PDF

지리산 문화경관의 세계유산적 가치와 구성 (Value and Composition of Mt. Jiri's Cultural Landscape as a World Heritage)

  • 최원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2-54
    • /
    • 2012
  • 지리산은 수많은 사람들이 살았던 오랜 생활문화의 터전으로서 많은 역사유적과 종교경관, 생활경관이 남아있다. 지리산의 문화경관은 산의 신령한 장소성과 사람의 생활문화터전이 통합된 새로운 지평의 산악문화경관의 개념을 제시한다. 지리산은 예부터 '신성한 어머니산'으로 여겨져 신성시 되고 많은 사람들이 거주하였다. 지리산에는 삼국시대의 산성과 가야 고분을 비롯한 각종 역사 유적이 남아 있고, 국가적인 산신제의가 행해진 곳으로 현재까지 '남악제'로 이어지고 있다. 불교 사찰에는 수많은 문화재가 있고, 현재까지 불교신앙이 성행하여 살아있는 문화전통을 유지한다. 그리고 다양한 풍수경관이나 다랑이 논 등의 생활경관도 함께 존재하면서 역사, 종교문화 등과 어울려 지리산 문화경관의 모자이크를 이루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