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Forest Vegetation and Floristic Studies of Mt. Gaya National Park - Especially on the Danji - bong Area -  

Park Kwang-Woo (Korea National Arboretum)
Kwon Yeong-Han (Korea National Arboretum)
Choi Kyung (Korea National Arboretum)
Oh Seung-Hwan (Korea National Arboretum)
Kim Dong-Kap (Division of Life Science, Daejeon University)
Kim Joo-Hwan (Division of Life Science, Daejeon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v.23, no.1, 2005 , pp. 1-2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lora of Mt. Gaya National Park, especially focused on the forested wetland vegetation of Danji-bong area. The flora of Mt. Gaya was investigated from April in 2003 to October in 2004. Vascular plants of this area consist of total 465 taxa, 4 hybrids, 12 forma, 75 varieties, 1 subspecies, 373 species, 268 genera, 91 families. It corresponds to 11.4% of totally 4,071 taxa appeared in Korea. Korean endemic plants were composed 11 families, 15 genera, 14 species, 1 variety and totaling 15 taxa. And also actual vegetation structures were analyzed the newly founded forested wetland and natural population Ajuga spectabilis on the Danji-bong area using the vegetation and the species composition by tree layer.
Keywords
Ajuga spectabilis; Danji-bong; Forested wetland; Vascular pla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준선, 김갑태, 임경빈, 1989b. 가야산 국립공원지역의 현존 식생 및 녹지자연도. 응용생태연구. 3:1-15
2 이병렬. 2001. 가야산일대의 산림식생에 대한 연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6pp
3 이우철, 백원기, 유기억. 1992. 가야산 식물상의 재검토. 과학기술연구 (강원대학교). 31:44-50
4 정민호, 김창환, 길봉섭, 유현경, 신성은. 1997. 가야산 국립공원의 삼림식생. 한국생태학회지. 20:145-151
5 Braun-Blanquet, J. 1964. Pflazensoziologie, Grundzude der Vegetationskunde. 3rd ed. Springer, New York. 865 pp
6 이우철, 임양재. 1978. 한반도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8:1-33
7 전의식, 김준민, 임양재, 2000. 한국의 귀화식물. 사이언스북스. 서울
8 배관호. 1994. 가야산 산림군락분류와 주요 군락의 동태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1-131
9 이우철. 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10 이창복. 1984. 우리나라 특산식물과 분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14:21-32
11 이창복. 1979.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12 이은복, 전의식, 최병희, 이병윤. 1990. 가야산국립공원일대의 식물상.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28:35-55
13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anzenfamilien. Gebruder Berntraeger, Berlin. Band II
14 주상우. 1958. 가야산 식물조사보고서. 제2회 한국식물학회 연구발표회 보고서. pp.53-56
15 김철환. 2000. 자연환경 평가-1. 식물군의 선정. 환경생물 18:163-198
16 김용식, 김갑태, 우종서. 1989a. 가야산국립공원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응용생태연구. 3:16-27
17 박수현. 1995.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조각. 서울
18 조무현. 1989. 원색한국수목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19 조재창. 1987. 자연공원에서의 소나무림 보존대책에 관한 연구-국립공원 가야산 홍류동계곡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 석사학위논문. 56pp
20 오수영. 1973. 가야산 식물조사보고서-경북지방식물상 조사 연구 (제6보). 안동교대논문집. 6:241-280
21 Yim YJ. 1977. Distribution of forest vegetition and climate in Korean Peninsula IV Zonal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in relation to thermal climate. Jap. J. Ecol. 27:269-278
22 이경재, 조재창, 우종서. 1989. Ordination 및 classification 방법에 의한 가야산 지구의 식물군집 구조분석. 응용생태연구. 3:28-41
23 정태현, 이우철. 1965. 한국삼림식물대 및 적지적수론. 성균관대논문집. 10:329-396
24 임양재, 양권열, 김종근, 방제룡. 1990. 가야산국립공원의 식생.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28:56-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