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 II. Based on the Plant Taxa of the Natural Parks and Ulleung island-

자연환경 평가 -II. 국내 자연공원과 울릉도의 식물군을 이용하여-

  • 김철환 (전북대학교 생물과학부) ;
  • 이희천 (국립공원 관리공단 내장산 관리사무소)
  • Published : 2001.03.0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nvironment of natural parks and Ulleung island using the plant taxa classified by five degrees based on their distributional ranges. The scores differentially given based on the importance of each degree; taxa belonging to the fifth degree are given to 20 scores each, fourth 10, third 5, second 3.3, and first 2.5, respectively. The total assessed scores were ranked as Mt. Halla, Seorak, Jiri, Deokyu, Is. Ulleung, Mt. Sobaek, Odae, Palgong, Chink, Taebaek, Songni, Juwang, Gaya, Duryun, Gaeryong, Bukhan, Naebyeon, Worak, Naejang, Cheongryang, Naeyeon, Myeongii, Jokye, Mudeung, Wolchul, Geumo, Juheul, Biseul, Hwangmae, Jangan, Seonun, Moak, Seonam, Chilgap, and Gibaek, in order, respectively. It is suggested that the natural environments assessing more than 1,000 of total scores such as Mt. Halla and Mt. Deokyu are regarded as the most excellent ones, and those between 700 to 1,000 of total scores such as Is. Ulleung and Mt. Odae are regarded as relatively excellent ones. Natural parks scored between 500 to 700 such as Mt. Palgong and Mt. Gaya are regarded as good ones and parks scored between 300 to 500 such as Mt. Duryun and Mt. Mudeung are regarded as normal ones. The area assessed less than 300 of total scores such as Mt. Wolchul and Mt. Gibaek are regarded as the most inferior ones. The total scores of the national parks are generally higher than those of the provincial and county parks. In addition, Ulleung island has a total of 882.9 scores. Therefore, according to the IUCN the Ulleung island should be included in the criterion of the preservative model of natural ecosystem, sugges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Ulleung island should be included to the superior model of natural scenery resources by its uniqueness of topography, geography and natural environments. Ulleung island is assessed as having relatively excellent natural environments as compared with other national parks, suggesting that the island should be designated as a new national park.

여러 자연공원의 환경을 비교ㆍ분석하기 위하여 분포범위에 따라 5개의 등급으로 구분된 환경평가를 위한 식물군을 이용하였다. 식물군의 각 등급의 중요도에 따라 V등급을 구성하는 식물에는 20점, W등급 10점, III등급 5점, II등급 3.3점 그리고 I등급의 식물군에는 2.5점의 점수를 각각 부여하였다. 조사된 자연공원지역의 식물군에 따른 전체 평가점수의 순서는 한라산, 설악산, 지리산, 덕유산, 울릉도, 소백산, 오대산, 팔공산, 치악산, 태백산, 속리산, 주왕산, 가야산, 두륜산, 계룡산, 북한산, 내변산, 월악산, 내장산, 청량산, 내 연산, 명지산, 조계산, 무등산, 월출산, 금오산, 주흘산, 비슬산, 황매산, 장안산, 선운산, 모악산, 선암산, 칠갑산 및 기백산 순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식물군에 따른 자연환경은 1,000점 이상을 얻는 한라산-덕유산은 아주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며 700-1000점을 얻는 울릉도-오대산은 비교적 우수하고 500-700점을 얻는 팔공산-가야산은 우수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300-500점을 얻는 두륜산-무등산은 보통으로 평가하였으며 300점 이하의 점수를 얻는 월출산-기백산은 열세 지역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국립공원의 식물군의 평가점수가 도립과 국립공원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울릉도는 총 150개의 환경평가를 위한 식물군이 분포하고 그에 따른 평점은 882.9점으로 집계되어 IUCN의 기준에 따른 환경부의 자연생태계 보전형에 포함되는 것으로 예상되었다. 아울러 여러 자연환경을 감안하면 자연풍경자원 우수형에도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울릉도는 다른 국립공원과 비교해 손색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국립공원으로의 지정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으로 보였다.의 우수성의 판단을 의미하는 편견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안을 통해 기밀성 침해의 우려가 있는 메시지 명령어를 차단하고, 기능 명령어 차단에 의한 자원의 기밀성을 해결하였다.성 다한증 발생을 비교한 결과 교통가지 절제술에서 보상성 다한증 발생의 유의한 감소를 보여 보상성 다한증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교통가지 절제술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식도열공을 통한 식도절제술은 주변 장기에 침범이 없고 암의 길이가 비교적 짧고 술 전 전신상태가 좋지 않아 호흡기계 합병증 등이 우려되는 환자에게 선택적으로 시행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그리고 두 술식은 집도외간의 기호와 경험에도 좌우될 수 있다고 하겠다.<0.05), 면류(p<0.01)와 종류별로는 덮밥, 짜장밥(p<0.01), 해장국, 컵라면(p<0.05) 등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모두 26세 이상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석가공식품을 접하게 된 동기는 'TV광고', '호기심 ', '친구/가족들의 권유와 소개', '신문이나 잡지광고', '인터넷광고 및 홍보' 등의 순이었으며, 즉석가공식품의 구매장소로는 '편의점'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그 다음으로 '동네 인근슈퍼', '대형마트', '백화점 '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 볼 때 즉석가공식품의 이용률이 계속적으로 증대되고 있으나 남자가 여자보다 또는 비조리전공학생이 조리관련전공 학생보다 즉석가공식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세분화 고객에 대한 제품 개발과 홍보방안을 고려 해 보아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대학생들은 일부 즉석가공 식품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기호도와 이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학생들의 인터넷 사용율이 높은 점을 이용한 인터넷상의 적극적인

Keywords

References

  1. 지리산 모니터링 보고서 국립공원관리공단
  2. '99 국립공원 생태계 모니터링 종합보고서 국립공원관리공단
  3. 국립공원 자연휴식년제 구간 정밀 조사 국립공원관리공단
  4. 원광대 기초과학지 내장산 국립공원의 식물상 조사 길봉섭
  5. 원광대 기초과학지 v.22 장안산의 식물상과 다양한 분석 길봉섭;김창환
  6. 소백산 국립공원 자연자원 조사 김기중
  7. 전북대 기초과학지 v.9 적상산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김무열
  8. 제주식물도감(증보판) 김문홍
  9. 국립공원 및 자연보호구역의 효율적인 관리전략. 우리나라 국립공원 및 자연보호구역 보전을 위한 국가전략개발 김성일;이인규(등 편)
  10. 내연산 (포항)과 인근 산지의 식물상 김용식;강기호
  11. 식물분류학회지 v.5 금오산식물의 조사보고 김원;양인석
  12. 우리나라 국립공원의 생태학적 구조분석과 보전전략. 우리나라 국립공원 및 자연보호구역 보전을 위한 국라전략 개발 김종원;남화경;이인규(등 편)
  13. 순천대 논문집 v.13 두륜산과 대둔산 식물상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김종홍;신정식;전영문;박문수
  14. 환경생물학회지 v.18 자연환경 평가 - I. 식물군의 선정- 김철환
  15. 울릉도와 독도의 지형 v.19 박동원;박승필
  16. 식물분류학회지 v.2 무등산식물 조사연구 박수현
  17. 팔공산의 식물상. 팔공산 자연공원생태계 조사 보고서 박재홍
  18. 비슬산 (대구 · 달성)과 인근산지의 식물상 박재홍;최경
  19. 환경생물학회지 v.11 전북 모악산의 식물상과 보전대책 선병윤;김철환;김태진;임동욱
  20. 내변산 국립공원지역의 식물상 v.34 선병윤;김철환;서정수
  21. 황매산 (거창 · 산청)과 인근산지의 식물상 선병윤;김태진
  22. 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계룡산 국립공원의 식물생태계- 심정기
  23. 월악산 및 주흘산일대의 쌍자엽식물 (초본)상 v.15 양인석
  24. 선암산 (군위 · 영천)과 인근산지의 식물상 오병운;이진호
  25. 경북대 논문집 v.43 주왕산일대의 관속식물상에 관한 연구 오수영
  26. 국립공원 관리공단과 식물보전: 현황과 문제점. 21세기를 대비한 우리나라의 식물보전 전략 오장근
  27. 주흘산, 월악산의 단자엽식물조사 v.15 이영노;오용자
  28. 함양 백운산, 기백산과 황석산 일대 식물 조사 v.24 이영노;오용자
  29. 강원도 논문집 v.10 치악산의 식물조사보고 이우철
  30. 태백산의 식물상 v.25 이우철
  31. 속리산의 식물상 v.29 이우철;백원기
  32. 설천 백남극교수 정년퇴임 기념문집 설천면지역 일대의 식물상 이우철;백원기;유기억
  33. 울릉도와 독도의 식물상 v.19 이우철;양인석
  34. 계룡산 및 칠갑산의 식물상 v.17 이우철;이은복
  35. 소백산 국립공원의 식물상 v.33 이우철;이은복;유기억
  36. 식물분류학회지 v.8 no.SUP.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이우철;임양재
  37. 중앙대 박사논문 북한산 국립공원의 식생에 관한 연구 이은복
  38. 가야산 국립공원일대의 식물상 v.28 이은복;전의식;최병희;이병윤
  39. 월출산일대의 식물상 v.27 이은복;전의식;최병희;정규영
  40. 소금강 및 오대산의 식생 이창복
  41. 월악산 및 조령계곡의 목본식물상 v.15 이창복
  42. 식물학회지 v.5 명지산식물 조사보고 (I보) 이휘재;이원호
  43. 응용생태연구 v.7 덕유산 국립공원지역의 관속식물상 임경빈;김용식;전승훈;전정일
  44. 지리산의 식생 임양재;김정언
  45. 설악산의 식생 임양재;백순달
  46. 청량산 도립공원 자연생태계 조사연구보고서 청량산의 관속식물상 정규영;제상훈
  47. 환경생물학회지 v.4 조계산 권역에 대한 녹지자연도의 사정과 식물상 정영호;김현
  48. 오대산의 식물상 정영호;유광일
  49. 국립공원구역 타당성조사 기준작성 환경부
  50. Korea. J. Nat. Sci. v.7 The flora of Seonunsan provincial park area Kim JU;YJ Yim;BS Kil
  51. Bot. Mag. v.31 Notulae ad Plantas Japoniae et Koreae XIII Nakai T
  52. Bot. Mag. v.32 Notulae ad Plantas Japoniae et Koreae XVII Nakai T
  53. Flora of Is Dagelet. Govern. Chosen Nakai T
  54. J. Jap. Bot. v.14 Notulae ad plantas Asiae Orientalis V Nakai T
  55. Evolution and Speciation of Island Plants Preliminary observations on the evolution of endemic angiosperms of Ullung Island, Korea Sun VY;TF Stuessy;Stuessy TF(ed.);M Ono(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