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Sueki Excavated from the Gaya Region

가야권역에서 출토된 스에키계토기의 역사적인 배경

  • SUZUKI, Koki (Program of Cultural Anthropology, Yeongnam University)
  • Received : 2021.12.31
  • Accepted : 2022.05.10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In the mid-Kofun period, the technology employ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had reached the Japanese archipelago, and a Japanese-style unglazed earthenware called Sueki was produced.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spread of technology, regional elements from all over the Korean Peninsula remained strong, with production on the Japanese archipelago carried out only in very limited regions. After that, production in all parts of the archipelago began gradually. The Sueki culture was introduced to the Japanese archipelago with the technology of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many excavations have been reported in the Korean Peninsula(these excavations are even called Suekitype). Many of these excavations were conducted in Jeolla-do, Yeongnam, and the Yeongsan River basin. As revealed in previous studies, however, many imitations were excavated around Jeolla-do, while Sueki of the Japanese archipelago were excavated from tombs in the Yeongnam area. The excavation period was generally from the late 5th century to the early 6th century(especially from the TK23 to MT15 stage), which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at of Jeolla-do. Regarding the locations where Sueki were excavated, the majority were found in the tombs of local authorities. They were rarely excavated from the tombs of the royal people. Furthermore, there is no evidence of special meaning given to funeral ceremonies or Sueki in the Japanese archipelago form; therefore, most of them are thought to have been treated the same as unglazed earthenware. Considering the tombs as a whole, influential people(groups, families, and forces) were not only connected to certain areas of the Gaya region but also had complex and larger relationships. In other words, the Sueki excavated from the Yeongnam area may reflect the rise and fall of the forces in each Gaya region and the changes of the Yeongnam period. The role of negotiation and exchange can be seen not only from the fact that influential people in the central government of the Gaya region were involved but also from the existence of areas(groups, families, forces) discovered in the Gaya region indicating mutual relationships.

고분(古墳)시대 중기에 한반도 남부지역의 기술이 일본열도로 전해져, 스에키라고 하는 일본열도식 도질토기가 탄생하였다. 제작기술이 전파된 초기 무렵은 한반도 각지의 요소가 강하게 남아 있고, 또한 일본열도 내에서의 생산도 매우 제한된 장소에서만 행해졌으며, 그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본열도 각지에서의 생산도 개시하게 된다. 스에키는 한반도의 기술을 가지고 일본열도로 전해졌지만, 한반도 내에서도 많은 출토 사례가 보고되고 있으며(한반도에서 출토되는 것은 스에키계 토기라고 불린다.), 그 중에서도 영남지역이나 영산강유역을 중심으로 한 전라도에서 많이 출토되는 경향을 보인다. 기왕의 연구에서 밝혀졌듯이 전라도 주변에서 출토되는 것은 모방품이 많이 포함되는 경향을 보이지만, 영남지역 분묘에서는 일본열도에서 제작된 스에키가 출토된다. 출토시기가 5세기 후엽~6세기 전엽(특히 TK23~MT15형식이 제작되는 시기)에 집중되는 경향이 강하여, 전라도 지역과는 근본적으로 차이를 보인다. 스에키계토기가 출토되는 분묘를 살펴보면, 대부분 지역 유력자층 분묘에서 확인되며, 왕릉급 분묘에서는 거의 출토되지 않는다. 또한 일본열도식 장송의례나 스에키계토기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했던 흔적이 확인되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은 도질토기와 같은 의미로 다루어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유력자층(집단, 일족, 세력 등)도 분묘 전체로 보면, 일정 가야권역만 관계를 맺고 있었던 것이 아닌, 복잡하고 광역적인 관계구조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영남지역(가야권역)에서 출토된 스에키계토기를 보면, 각 가야권역 세력의 변천을 여실히 반영하고 있고, 각 가야권역의 중앙정권 아래에서 교섭과 교류의 역할을 수행한 지역 유력자층의 실체를 나타내며, 가야권역 내에서 복수의 지역이 상호관계를 유지함으로써 성립된 지역(집단, 일족, 세력)의 존재를 가야권역에서 출토된 스에키계토기에서 엿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木下亘, 2003, 「韓半島出土 須恵器(系)土器에 대하여」, 「百済研究」37号,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pp.21~36.
  2. 박천수, 2010a, 「가야토기」, 진인진.
  3. 김일규, 2011, 「남해안지역 須惠器(系)土器의 출현배경과 의의」, 「삼국시대 남해안지역의 문화상과 교류」, 第35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韓國考古學會, pp.180~206.
  4. 조성원, 2013, 「토기문화로 본 삼국시대 낙동강하구의 교류영상」, 「韓國考古學報」 第89輯, 韓國考古學會, pp.138~171.
  5. 이지희, 2015, 「한반도 출토 須惠器의 시공적 분포연구」, 경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고고학 석사학위논문.
  6. 조성원, 2016, 「영남지역 출토 4~5세기대 土師器系土器의 재검토」, 「韓國考古學報」 第99輯, 韓國考古學會, pp.138~169.
  7. 鈴木広樹, 2019a, 「對馬출토 須恵器 및 도질토기로 본 한일교류」, 「중앙고고연구」 29, 중앙문화재연구원, pp.31~62.
  8. 鈴木広樹, 2019b, 「한.일 출토 주형토기, 埴輪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삼국, 고분시대 출토자료를 중심으로-」, 「도서문화」 54, 도서문화연구원, pp.41~72.
  9. 東亞大學校博物館, 1986, 「陜川 鳳溪里 古墳群」.
  10. 嶺南文化財硏究院, 1997, 「宜寧 泉谷里 古墳群 I」.
  11. 慶南發展硏究院 歷史文化센터, 2004, 「山淸 明洞遺蹟 I」.
  12. 慶南發展硏究院 歷史文化센터, 2004, 「山淸 明洞遺蹟 II」.
  13. 嶺南文化財硏究院, 2004, 「高靈 池山洞 古墳群 I」.
  14. 東亞大學校博物館, 2005, 「固城 松鶴洞古墳群」.
  15. 慶尙大學校博物館.山淸郡, 2006, 「山淸 生草 古墳群」.
  16. 東亞文化硏究院, 2006, 「泗川勒島 進入路 開設區間 內 文化遺蹟 發掘調査報告書」.
  17. (재)三江文化財硏究院, 2009, 「金海 官洞里 三國時代 津址 -김해 율하택지사업구간내 발굴조사보고-」.
  18. (재)우리文化財硏究院, 2009, 「부산 연제구 연산동 공동주택 예정부지 내 유적」.
  19. (재)우리文化財硏究院.대한주택공사, 2009, 「金海 餘來里遺蹟」.
  20. (재)우리文化財硏究院, 2009, 「金海 餘來里遺蹟」.
  21. (재)우리文化財硏究院.(株)엘앤피, 2010, 「咸安 梧谷里 28番地 遺蹟」.
  22. 慶南發展硏究院 歷史文化센터, 2011, 「마산-진동간 국도건설공사 구간 내 마산진북 대평리유적」.
  23. (재)東亞細亞文化財硏究院, 2011, 「鎭海 馬川洞遺蹟」.
  24. 慶南文化財硏究院, 2014, 「기장 월드컵 빌리지 및 에코파크조성부지내 기장 동백리유적」.
  25. 小田富士雄, 1991, 「須恵器文化の形成と日韓交渉.総説編-西日本初期須恵器の成立をめぐって-」, 「古文化談叢」 第24集, 九州古文化研究会, pp.1~92.
  26. 亀田修一, 1993, 「考古学から見た渡来人」, 「古文化談叢」 第30集, 九州古文化研究会, pp.747~778.
  27. 酒井清治, 1993, 「韓国出土の須恵器類似品」, 「古文化談叢」 第30集, 九州古文化研究, pp.899~914.
  28. 尾野善裕, 1997, 「尾張.西三河(窯跡)」, 「古代の土器5-1 7世紀の土器(近畿東部.東海編)」, 古代の土器研究会.
  29. 尾野善裕, 1998, 「中.後期古墳時代歴年代観の再検討-いわゆる(武蔵国造の乱)をめぐって-」, 「第6回東海考古学フォーラム岐阜大会 土器.墓が語る」, 第6回東海考古学フォーラム岐阜大会実行委員会.
  30. 酒井清治, 2004, 「須恵器生産のはじまり」, 「国立歴史民俗博物館研究報告」 第110集, 第一法規出版, pp.339~365.
  31. 酒井清治, 2008, 「韓国出土の須恵器」, 「生産の考古学」 II, 同成社, pp.149~169.
  32. 朴天秀, 2010b, 「新羅.伽耶の歴年代」, 「韓式系土器研究IX」, 韓式系土器研究会, pp.85~106.
  33. 高田貫太, 2018, 「朝鮮半島」, 「季刊考古学」 第142号, 雄山閣, pp.65~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