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PN method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3초

영유아용 분말 조제분유의 미생물 품질분석과 위해세균 모니터링 (Microbiological Quality and Potential Pathogen Monitoring for Powdered Infant Formulas from the Local Market)

  • 황지연;이지연;박종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55-561
    • /
    • 2008
  • 국내에서 생산, 유통되고 있는 영유아용 분말 조제분유 99제품을 수집하여 일반세균, 대장균군, FAO/WHO Category A, B, C 위해세균 분류에 따른 오염현황을 분석하였다. 일반세균수는 총 99개의 제품 중 92개의 제품에서 검출(93%)되었으며 $1.83{\pm}0.68\;Log\;CFU/g$의 분포를 보였다. 최고 $4.5\;Log\;CFU/g$가 검출된 한 제품을 제외하고는 조제분유의 총균수의 기준규격에 적합하였다. 대장균군은 조제분유 대장균군의 기준규격이 음성인 것에 비해 99개의 제품 중 12개의 제품에서 검출(12%)되었으며 $1.26{\pm}1.03\;\log\;MPN/g$의 분포를 보였다. 대장균은 한 제품에서 0.48 log MPN/g으로 검출되었다. Category A 세균인 Salmonella와 En. sakazakii의 오염도 분석 결과 총 99개의 모든 제품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Category B group인 세균 중에서 장내세균은 99개의 제품 중 25개의 제품에서 검출(25%)되었고 오염수준은 $0.83{\pm}1.37\;\log\;MPN/g$으로 나타났다. 검출된 Category B group 세균들로는 Escherichia vulneris, Es. hermannii, Pantoea spp., Citrobacter koseri, Klebsiella pneumoniae, Enterobacter cloaceae 등이었다. Category C세균의 오염은 Bacillus cereus가 조제분유 99개의 제품 중에서 29개의 제품이 검출(29%)되어 비교적 높은 오염도를 보였지만 오염수준은 $0.69{\pm}0.32\;\log\;MPN/g$으로서 B. cereus의 국내 기준규격에 모두 적합하였다. 그 외의 Category C 세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국내 유통 조제분유의 주요 위해세균의 대한 미생물 오염정도가 낮아 미생물 기준 규격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Category B의 장내세균은 높은 검출율을 보였고 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는 균들이 확인되어 잠재적인 위험이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비살균식품인 조제분유의 특성상 잠재적인 위해세균 모니터링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며 그에 대한 안전성 확보에 능동적 자세가 필요하다.

시판 굴의 유통조건에 따른 장염비브리오균의 미생물학적 변화 (Microbiological Popula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 Oysters of Wholesale Seafood Markets)

  • 이향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38-243
    • /
    • 2006
  • 수산물도매시장에서 판매중인 굴의 계절별, 판매, 소비 조건별 V. parahaemolyticus의 밀도를 조사하고, 유통단계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점을 모색하였다. 시장 내에서 유통 중인 굴은 3월에서 11월중에 V. parahaemolyticus가 분리되고 $<2\sim1.4\times106MPN/100g$의 밀도를 보였다. V. parahaemolyticus의 접종 실험에서 $0^{\circ}C$에서는 48시간동안 균의 증식이 거의 없었고 $36^{\circ}C$에서는 15시간 후 $1.4\times107CFU/100g$, $25^{\circ}C$에서는 15시간 후 $5.4\times105CFU/100g$, $4^{\circ}C$에서는 15시간 후 $2.7\times104CFU/100g$으로 정점을 나타냈다. Icebox에 포장되어 유통되는 굴이, 얼음위에 전시되어 소분 판매기는 좌판위의 굴보다 V. parahaemolyticus의 밀도가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으나 그 차이가 현저하지 않아 시장 내의 보관 상태에는 큰 문제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구입 후 소비처로 운반하는 동안 하절기 외기에 노출되었을 때는 $1.4\times108CFU/100g$까지도 급격하게 균이 증식하여 식중독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소분판매 시 반드시 얼음 등을 채워 $0^{\circ}C\sim4^{\circ}C$의 저온 상태에서 운반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통상적인 세척조건에서도 균 양의 감소가 현저하지 않아 장시간 노출시 다시 급격하게 위험수준으로 증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조리 후 저온 저장에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문제점 파악을 위하여 비교적 위험도가 높을 조건을 전제로 실험을 시도하였으므로 실제 유통상황은 보다 단전할 것이나 판매, 조리 단계에서 저온을 유지한다면 현재보다 식중독위험성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Disinfection and Reactivation of Microorganisms after UV Irradiation for Agricultural Water Reuse of Biofilter Effluent

  • Jung, Kwang-Wook;Yoon, Chun-G.;Hwang, Ha-Sun;Ham, Jong-Hwa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5권7호
    • /
    • pp.94-106
    • /
    • 2003
  • A pilot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UV disinfection system and the reactivation of indicator microorganisms (TC, FC, E. coli) after UV irradiation for agricultural reuse of reclaimed water. Photoreactivation and dark repair enable UV-inactivated microorganisms to recover and may reduce the efficacy of UV inactivation, which might be drawbacks of the UV disinfection method. The effluent of biofilter for 16-unit apartment house was used as input to the UV disinfection system, and average SS and BOD concentration were 3.8 and 5.7 mg/L, respectively, and the mean level of total coliform was in the range of $1.0\times10^4$ MPN/100mL. UV disinfection was found to be effective and it reduced mean concentration of indicator microorganisms (total coliform, fecal coliform, and E. coli) to less than 100 MPN/100mL within 60s exposure using 17, 25, and 40W lamps. Two UV doses of 6 and 16 mW$\cdot$s/$\textrm{km}^2$ were applied and microorganisms reactivation was monitored under the dark, photoreactivating light, and solar irradiation. Microorganisms reactivation was observed in the UV dose of 6 mW$\cdot$s/$\textrm{km}^2$, and numbers increased up to 5% at the photoreactivating light and 1% at the dark. However, microorganisms were inactivated rather than reactivated at the solar radiation and numbers decreased to non-detectible level about below 2 MPN/100mL in 4 hours. In the case of 16 mW$\cdot$s/$\textrm{km}^2$, microorganism reactivation was not observed indicating that UV dose might affect the reactivation process such as photoreactivation and dark repair. Therefore, concern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 reactivation could be controlled by sufficient UV dose application. Agricultural reuse of reclaimed water might be even less concerned due to exposure to the solar irradiation that could further inactivate microorganisms. The pilot study result is encouraging, however, sanitary concern in water reuse is so critical that more comprehensive investigation is recommended.

한국 전통식품 중 미생물 분석을 위한 건조필름법 평가 (Evaluation of Dry Rehydratable Film Method for Enumeration of Microorganisms in Korean Traditional Foods)

  • 김관식;배은경;하상도;박영서;목철균;홍관표;김상필;박지용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09-216
    • /
    • 2004
  • 우리나라 전통식품인 김치, 된장, 고추장, 간장. 탁주, 식혜, 수정과에 있는 미생물 분석을 위하여 건조필름법과 전통적인 미생물 분석법을 비교하였다. 일반세균 분석에는 plate count agar 법과 $Petrifilm^{TM}$ aerobic count plate 법을 비교하였고, 대장균군과 대장균의 분석에는 most probable number (MPN) 법과 $Petrifilm^{TM}$ coliform count plate 및 $Petrifilm^{TM}$ E. coli/colmfom count plate 법을 각각 비교하였으며, 효모와 곰팡이의 분석에는 potato dextrose agar 법과 $Petrifilm^{TM}$ yeast and mold count plate 법을 비교하였다. 황색포도상구균의 분석에는 coagulase 시험법과 $Petrifilm^{TM}$ Staph express fount plate 법을 비교하였다. 두 방법간의 상관계수는 일반세균이 0.974-0.998, 대장균군이 0.955-0.978, 대장균이 0.968-0.986, 효모와 곰팡이가 0.913-0.995, 황색포도상구균이 0.998-0.999로 두 방법간의 상관성이 매우 높았으며, 평균 미생물수에 있어서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이러한 결과로부터 건조필름법이 기존의 전통적인 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미생물 분석법임이 확인되었다.

Prevalence and Quantifica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 Raw Salad Vegetables at Retail Level

  • Tunung, R.;Margaret, S.P.;Jeyaletchumi, P.;Chai, L.C.;Zainazor, T.C. Tuan;Ghazali, F.M.;Nakaguchi, Y.;Nishibuchi, M.;Son, R.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2호
    • /
    • pp.391-396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iosafety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 raw salad vegetables at wet markets and supermarkets in Malaysia. A combination of the most probable number-polymerase chain reaction (MPN-PCR) method was applied to detect the presence of V. parahaemolyticus and to enumerate their density in the food samples. The study analyzed 276 samples of common vegetables eaten raw in Malaysia (Wild cosmos=8; Japanese parsley=21; Cabbage=30; Lettuce=16; Indian pennywort=17; Carrot=31; Sweet potato=29; Tomato=38; Cucumber=28; Four-winged bean=26; Long bean=32). The samples were purchased from two supermarkets (A and B) and two wet markets (C and D). The occurrence of V. parahaemolyticus detected was 20.65%, with a higher frequency of V. parahaemolyticus in vegetables obtained from wet markets (Wet market C=27.27%; Wet Market D=32.05%) compared with supermarkets (Supermarket A=1.64%; Supermarket B=16.67%). V. parahaemolyticus was most prevalent in Indian pennywort (41.18%). The density of V. parahaemolyticus in all the samples ranged from <3 up to >2,400 MPN/g, mostly <3 MPN/g concentration. Raw vegetables from wet markets contained higher levels of V. parahaemolyticus compared with supermarkets. Although V. parahaemolyticus was present in raw vegetables, its numbers were low. The results suggest that raw vegetables act as a transmission route for V. parahaemolyticus. This study will be the first biosafety assessment of V. parahaemolyticus in raw vegetables in Malaysia.

공단지역 및 청정지역 식물 잎권의 잎표면세균 및 내산성세균의 분포 (Distribution of Epiphytic Bacteria and Acid-Tolerant Bacteria on the Phyllosphere in the Industrial and Clean Areas)

  • 안종훈;방숙진;한남정;송왕영;황소영;이인수;박성주
    • 미생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62-266
    • /
    • 1997
  • 산성강하물의 영향을 받는 대전공단지역과 영향을 받지 않는 청정지역인 대전 계족산 자연휴양림에서 자라는 밤나무(Castanea crenata)의 잎표면에서 서식하는 총세균수, 생존세균수, 종속영양세균수, 내산성세균수를 1996년 8월부터 1997년 8월까지 5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공단지역 잎표면 평균 총세균수, 생존세균수 및 종속영양세균수는 각각 $9.9{\times}10^5cell/cm^2$, $1.6{\times}10^6cell/cm^2$, $7.1{\times}10^3cfu/cm^2$로서 청정지역에 비하여 각각 1.5배, 2배, 2.6배 정도로 관찰되었다. MPN법으로 측정한 pH 5.6에서의 잎표면 내산성세균수는 공단지역 $3.3{\times}10^4$, 청정지역 $3.4{\times}10^4MPN/cm^2$로 거의 같았고, pH 4.0에서의 내산성세균수는 공단지역에서 $1.9{\times}10^{-1}MPN/cm^2$인 반면 청정지역세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pH 3.0에서의 내산성 잎표면세균수는 공단지역과 청정지역의 잎권 어느 곳에서도 검출되지 않았다. 한편 계절별 잎포면세균수의 분포는 대체로 잎이 나기 시작하여 크기가 가장 작은 5월에 최대를, 그리고 낙엽이 지는 11월에 최소를 나타내었다. 이런 결과는 공단지역의 대기오염물질의 침적이 주변의 식물 잎표면 세균수를 감소시키지는 않으며, 특히 산성강하물의 영향으로 내산성세균수가 증가함을 보여주고 있다.

  • PDF

Competitive PCR을 이용한 돼지고기 오염 살모넬라의 신속 계수 (Rapid Enumeration of Salmonella spp. in Contaminated Pork Meat Using Competitive PCR)

  • 문애리;최원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48-256
    • /
    • 2007
  • 돼지고기에 오염된 살모넬라의 수를 직접 측정하는 방법으로 경쟁적 PCR(competitive PCR)을 사용하였다. 세가지 DNA추출방법을 비교한 후 guanidine thiocyanate-phenol-chloroform 방법을 일부 수정하여 인위적으로 살모넬라를 오염시킨 돼지고기로부터 DNA를 직접 추출하는 방법으로 선택하였다. Rahn 등(Mol. Cell. Probes 1992년)이 이미 보고한 284-bp iuvA gene의 특이성을 평가하기 위해 살모넬라 57균주와 살모넬라가 아닌 균주 24개를 사용하였다. 시험해 본 모든 살모넬라 균주는 invA 양성으로 살모넬라가 아닌 모든 균주는 invA 음성으로 판명되었으며 살모넬라가 아닌 균주 중 양성으로 잘 못 판명된 경우는 없었다. 돼지고기 0.1 g을 사용할 경우 검출한계는 1,460 cfu였다. 경쟁적 PCR을 위해 invA gene중 82-bp를 결실시킨 DNA조각을 pGEM-4Z백터에 클로닝을 하였다. 인위적으로 오염된 돼지고기로부터 추출한 살모넬라 염색체 DNA와 이와 같은 primer결합자리를 가진 경쟁 DNA를 동시에 경쟁적 PCR로 증폭하였다. 경쟁적 PCR을 사용하여 결정한 균수와 MPN방법으로 결정한 균수는 거의 유사하였으며 전체 과정을 수행하는 데 약 5시간이 소요되었다.

농법에 따른 메탄생성과 메탄생성 세균의 T-RFLP 패턴 (Methane Production and T-RFLP Patterns of Methanogenic Bacteria Dependent on Agricultural Methods)

  • 김훈수;조주식;박경량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7-25
    • /
    • 2009
  • 농법에 따른 토양의 토양 성분과, 메탄생성량, 메탄생성 세균의 수, 그리고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T-RFLP) 패턴을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의 대부분 토양 성분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토양내 물 함량은 5월 시료 보다 10월 시료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most probable number (MPN) 방법을 이용한 메탄생성 세균 계수에서, 모든 논토양에 메탄생성 세균이 비교적 많이 존재하였으나 수소를 이용하는 메탄생성 세균과 포름산을 이용하는 메탄생성 세균에 비해 아세트산을 이용하는 메탄 세균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 포름산 이용 실험에서 대부분 토양이 1주부터 빠른 포름산 이용능을 보여, 4주에는 미량만이 검출되었으나, 아세트산을 첨가한 실험에서는 3주까지 아세트산이 증가된 후, 그 이후에야 아세트산이 이용되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수소를 첨가해준 모든 시료에서는 많은 양의 메탄생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 Sou96I을 처리한 mcrA 유전자의 T-RFLP 패턴을 분석한 결과, 농법에 따라 토양성분이 크게 차이가 없는 것과 같이 농법과 계절에 의해서도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일부 통계분석 자료는 유의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토양 미생물의 군집비교 기법을 미생물학적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하수 방류수에서 대장균군의 검출방법의 비교 (Comparative Study on Detecting Methods for Total Coliform in Sewage Effluent)

  • 이미애;성일화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22-427
    • /
    • 200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oncentration of total coliforms in sewage effluents during the period from August 2004 to October 2005. The removal efficiency range of multi-tube method and plate count method were $31.3{\sim}99.5%$ and $66.8{\sim}99.2%$, respectively. Though a correlation between the multi-tube method and the plate count method in the same sample is low, not only is an experimental procedure very simple, but the time required also is short. The seasonal correlation between methods showed more sensitive spring and summer than autumn and winter. So the study indicated plate count method can be used in rapid and reliance identification of total coliform more than the multi-tube method.

측정방법에 따른 장염비브리오균의 검출율의 비교 (DIFFERENCES IN VIBRIO PARAHAEMOLYTICUS DETECTION RATIO BY ANALYTICAL METHODS)

  • 장동석;김영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9-24
    • /
    • 1978
  • 장염비브리오균 검사에 있어서 검출방법에 따른 검출율은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부산지방을 중심으로 해수 298개 시료, 112개 시료, 패류 169개 시료 어류 80개 시료 총 659개 시료를 단일 시험관을 사용하였을 때와 다수의 시험관을 사용하였을 때, 원시료 또는 일단계희석하였을 때의 검출율를 비교 실험한 자료를 분석 검토하여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해수에 있어서 10 ml를 접종 배양할 때에 장염비브리오균 음성인데도 같은 시료에서 1/100 는 1/1000로 희석한 시료에서 장염비브리오균 양성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현상은 이토, 패류, 어류에서도 같은 경향이었다. 2. 총 659개 시료 중에서 $52\%$에 해당하는 343개 시료가 장염비브리오균 양성으로 판정되었는데 이중희석하지 않은 시료에서 이 균이 검출된 것은 $22.5\%$인 149개 시료에 불과하였다. 시료별로 보면 해수는 $50\%$$24.5\%$, 이토의 경우는 $65.2\%$$28.6\%$, 패류에서는 $56.2\%$$22.5\%$에 불과하였다. 3. 최확수법에 의한 장염비브리오균 검출율은 단일희석법으로 측정했을 경우의 2배 이상이었다. 4. 3개 시험관을 사용한 최확수법에 있어서 제일 낮은 희석단계에서 양성으로 판정된 것은 $28.9\%$, 3개의 시험관 모두가 양성인 것은 $9.4\%$뿐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