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LECULAR WEIGHT

검색결과 5,158건 처리시간 0.031초

Chronic Alcohol Consumption Results in Greater Damage to the Pancreas Than to the Liver in the Rats

  • Lee, Seong-Su;Hong, Oak-Kee;Ju, Anes;Kim, Myung-Jun;Kim, Bong-Jo;Kim, Sung-Rae;Kim, Won-Ho;Cho, Nam-Han;Kang, Moo-Il;Kang, Sung-Koo;Kim, Dai-Jin;Yoo, Soon-Jib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9권4호
    • /
    • pp.309-318
    • /
    • 2015
  • Alcohol consumption increases the risk of type 2 diabetes. However, its effects on prediabetes or early diabetes have not been studied. We investigated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 in the pancreas and liver resulting from chronic alcohol consumption in the prediabetes and early stages of diabetes. We separated Otsuka Long-Evans Tokushima Fatty (OLETF) rats, a type-2 diabetic animal model, into two groups based on diabetic stage: prediabetes and early diabetes were defined as occurrence between the ages of 11 to 16 weeks and 17 to 22 weeks,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n ethanol-containing liquid diet for 6 weeks. An intraperitoneal glucose tolerance test was conducted after 16 and 22 weeks for the prediabetic and early diabetes groups,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weight between the control and ethanol groups. Fasting and 120-min glucose levels were lower and higher, respectively, in the ethano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In prediabetes rats, alcohol induced significant expression of ER stress markers in the pancreas; however, alcohol did not affect the liver. In early diabetes rats, alcohol significantly increased most ER stress-marker levels in both the pancreas and liv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hronic alcohol consumption increased the risk of diabetes in prediabetic and early diabetic OLETF rats; the pancreas was more susceptible to damage than was the liver in the early diabetic stages, and the adaptive and proapoptotic pathway of ER stress may play key roles i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diabetes affected by chronic alcohol ingestion.

폴리비닐 알콜 분해균 Xanthomonas campestris J2Y의 Polyvinyl alcohol oxidase 정제 및 성질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the Polyvinyl alcohol oxidase from Xanthomonas campestris J2Y)

  • 권대준;조윤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5호
    • /
    • pp.349-354
    • /
    • 1996
  • 생물학적 난분해성 물질인 폴리비닐 알콜(PVA : Polyvinyl alcohol)을 탄소원 및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Xanthomonas campestris J2Y로부터 PVA oxidase를 생산하여 정제하기 위하여 PVA가 탄소원으로 첨가된 배지에서 진탕배양한 배양액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10 mM phosphate buffer(pH 7.5)로 평형시킨 DEAE -cellulose를 통과시켜 얻은 분획을 사용하여 DEAE-cellulose와 Sephadex G-150을 이용한 Gel filtration을 통하여 PVA oxidase를 정제하였다. 정제된 PVA oxidase는 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으로 단일밴드로 확인되었으며 SDS-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과 Sephadex G-150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해 측정한 결과 55,000 daltons 이었다. PVA oxidase의 최적 pH는 7이고 최적온도는 $37^{\circ}C$였다. 열 안정성은 $50^{\circ}C$까지는 70% 이상의 안정성을 나타내었고, pH에 대한 안정성은 5-11에서 비교적 안정하였다. 금속이온에 대한 영향은 $Ag^{2+},\;Hg^{2+},\;Sn^{2+}$ 등에서는 아주 강한 저해를 받았고, $Co^{2+},\;Fe^{2+},\;Zn^{2+},\;Pb^{2+}$에서는 50% 정도의 저해를 받았다. 반면에 $Mn^{2+},\;Cu^{2+}$는 효소활성을 증가시켰다. PVA에 정제 PVA oxidase의 Km치는 $7.04{\times}10\;^2mmol/{\ell}$이었다.

  • PDF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 및 이황화 결합 환원제 처리가 쌀의 이화학적 성질과 호화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otease and Disulfide Bond Reducing Agent Treatment on the Physicochemical and Gelatinization Properties of Rice)

  • 김성란;안승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6호
    • /
    • pp.554-562
    • /
    • 1995
  • 밥의 식미가 다른 추청벼(자포니카형), 조생통일벼(통일계), IR 36(인디카형)의 세 품종의 쌀을 시료로 하여 단백질 사수분해 효소와 이황화 결합 환원제 처리가 쌀의 이화학적 성질, 호화 특성 및 가용성 탄수화물용출 양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실험하였다. 세 품종 쌀의 아밀로오스 함량은 IR 36이 24.56%로 가장 높고 조생통일벼가 20.63%, 추청벼가 20.36%였다. 팽윤력과 용해도는 IR 36이 특히 낮았다. 시차 주사열량계로 조사한 호화 엔탈피와 X-선 회절에 의한 결정성은 IR 36이 가장 컸다. 쌀가루의 단백질을 효소로 가수분해 시켰을 때 가열 중 수분 흡수량이 증가하였고, 쌀에 2-mercaptoethanol 처리를 하였을 때 세 품종 모두 수분흡수 속도가 커지고 수분 흡수량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IR 36에서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아밀로그램의 호화개시온도는 추청벼가 가장 낮고 IR 36이 높았으며 $50^{\circ}C$의 냉각 점도와 setback은 IR 36이 가장 컸다. 효소처리와 2-mercaptoethanol 처리는 아밀로그램의 점도 감소를 초래하여 쌀알 중의 단백질이 전분립의 팽윤을 제한하고 전분립에 강도를 부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효소처리를 한 팔 전분 현탁액에서도 쌀가루만큼 뚜렷하지는 않았으나 아밀로그램의 점도가 감소하였다. 가용성 탄수화물의 분자량 분포는 세 품종간에 차이가 있었다. 추청벼가 용출된 가용성 탄수화물의 양이 가장 많았고, 큰 분자량의 분율이 다른 품종보다 높았다.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처리는 쌀가루의 가용성 탄수화물 용출량, 특히 큰 분자량($K_{av}\;0.3$ 이상)의 용출을 증가시켰다. 이 증가량은 IR 36에서 가장 컸고 조생통일벼, 추청벼의 순이었다.

  • PDF

단식(斷食), 재급식(再給食)과 인슈린주사(注射)에 따른 쥐의 간세포핵단백질(肝細胞核蛋白質)에 대한 전기영동상의 분포양상 비교 (Comparison of SDS Gel Electrophoretic Patterns of Rat Liver Nuclear Proteins in Response to Starvation, Refeeding and Insulin Injection)

  • 이효사;데이비드 엠 깁슨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2권3호
    • /
    • pp.173-180
    • /
    • 1979
  • 쥐를 48시간 굶긴 뒤에 위에 탄수화물 농도가 높은 먹이를 주거나 streptozotocin을 이용하여 당뇨병을 가지게 만든 쥐에 인슈린 주사를 주었을 때 쥐 간계포의 핵단백질중 가장 주요한 0.14M NaCl에 녹는 핵단백질, histones 그리고 페놀에 녹는 핵단백질의 분포 변화를 조사하고자 SDS gel 전기영동법을 이용하였다. 각 핵단백질 분획을 전기영동법으로 분리시킨 단백질의 상대량을 비교하였을 때 0.14M NaCl 추출물은 현저한 변화를 나타내었으나 histones과 페놀로 추출된 핵단백질 분획들은 분리된 단백질 상대량에 큰 변화가 없었다. 48시간 굶긴 쥐와 정상적으로 먹이를 준 쥐의 0.14M MaCl 추출 핵단백질 분획을 비교하였을때 분자량이 50,000 과 180,000 daltons 사이에 있는 적어도 5개의 핵단백질의 농도가 다른 핵단백질에 비교하여 크게 감소되었다. 반면 분자량이 36,000 daltons 단백질의 농도는 48시간 굶긴 쥐에게 다시 탄수화물 농도가 높은 먹이를 주었을 때 24시간 동안에 정상적으로 먹이를 준 쥐에서 관찰한 핵단백질 분포 양상과 비슷한 결과를 얻었다. 당뇨병을 가진 쥐에게 인슈린 주사를 준 쥐와 인슈린주사를 주지 않은 당뇨병 쥐의 0.14M NaCl추출 핵단백질 분획을 비교 조사한 결과는 굶은 쥐에게 탄수화물 농도가 높은 먹이를 준 다음에 얻은 뒤의 결과와 정상적으로 유사하였다. 여기서 얻은 실험결과들은 0.14M NaCl 추출 핵단백질 중에 있는 어떤 핵단백질의 분포 변화가 이미 알려진 인슈린 신호에 따라 조정되고 cytosol에 있는 지방합성에 관하는 효소(lipogenic enzymes)들의 유도에 관련된 세포핵 활성 조절에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시사해 준다.

  • PDF

${\beta}-Mannanase$ 군(群)의 정제(精製) 및 그들의 성질(性質)에 관(關)한 연구(硏究)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beta}-Mannanases$ from Germinated Guar Bean)

  • 이서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7권
    • /
    • pp.1-13
    • /
    • 1966
  • (1) 콩과 식물인 guar (Cyamopsis tetragonolobus)의 발아종자(發芽種子)에서 세 가지의 다른 다당류가수분해효소(多糖類加水分解酵素)인 ${\beta}-1$, 4-mannanase A,B,C 를 추출(抽出), 유안염석(硫安鹽析), 이온교환(交換)크로마토그래휘 및 젤여과법(濾過法)에 의하여 분리(分離), 정제(精製)하였다. (2) 이들 효소(酵素)는 작용최적(作用最適) pH, 급속이온의 영향, 분자량(分子量), ior nut mannan A에 대한 Michaelis 항수(恒數), 가수분해(加水分解)의 한도(限度) 및 생성물등(生成物等) 여러 가지 점(點)에서 다르다. (3) ${\beta}-1$, 4-Mannanase A 와 C 는 기질(基質)인 ${\beta}-1$, 4-mannanase 에 random으로 작용(作用)하여 과당류(寡糖類)를 생성(生成)하는 endo형(型) 효소(酵素)임이 밝혀졌다. 한편 ${\beta}-1$, 4-mannanase B 는 같은 기질(基質)의 비환원말단기(非還元末端基)로 부터 수차로 작용(作用)하여 단당류(單糖類)를 생성(生成)하는 exo형(型) 효소(酵素)로 추리(推理)된다. (4) Guar 종자중(種子中)의 galactomannan 인 guaran에 이들 정제효소(精製酵素)를 작용(作用)시킨 결과(結果)로부터 기질(基質)의 구조(構造) 및 guar 종자(種子)의 발아중(發芽中)에 가지는 역할(役割)과 관련시켜 논의(論議)하였다.

  • PDF

다시마 알긴산으로 제조한 에스테르화합물 캡슐에 있어서 내부물질의 잔존량에 미치는 유화조건과 알긴산농도의 영향 (Effects of Emulsifying Conditions and Alginate Concentration of Encapsulating Ester Compounds on Retention Rate of Core Material in Microcapsules Prepared with Sea Tangle Alginates)

  • 유병진;임영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54-659
    • /
    • 2002
  • 다시마 알긴산으로 에스테르 화합물을 캡슐화할 때 에스테르화합물의 잔존량에 영향을 미치는 가공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에스테르 화합물의 종류, 유화제 첨가비율 및 에스테르 화합물 (내부물질)에 대한 alginates (벽막물질)의 비율을 달리하여 캡슐을 제조하고 제조중에 사용하는 gelling solution ($1 M\;CaCl_2$)과 캡슐의 세척수에 이동되는 에스테르 화합물의 량과 캡슐에 잔존하는 에스테르 화합물의 량을 측정하였다. 에스테르 화합물의 분자량이 커질수록 캡슐에 잔존하는 량이 증가하였고 gelling solu-tion과 세척수에 이동되는 량이 감소하였다. Ethyl caprylate량에 대한 유화제의 첨가 비율이 증가하석도 gelling solution와 세척수에 이동되는 ethyl caprylate의 량은 1.7$\~$$1.8\%$와 2.3$\~$$6.5\%$이었고 캡슬에 잔존하는 량은 $90.4\~96.0\%$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캡슐을 25$^{\circ}C$에 저장할 때 ethyl caprlate의 반감기는 유화제의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급격히 증가하였다. Ethyl capr빈ate에 대한 alginates 비율이 증가하여도 gelling solution과 세척수에 이동되는 ethyl caprylate 량은 각각 $1.8\~2.0\%$$2.9\~3.5\%$이었고 캡슐에 잔존하는 량은 $94.3-95.0\%$로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캡슐을 25$^{\circ}C$에 저장할 때에 벽막물질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내부물질의 반감기는 증가하였다.

아미노산 공중합체/난용성 약물 나노입자의 제조: 고분자 특성 및 가공변수 (Preparation of Amino Acid Copolymers/water-insoluble Drug Nanoparticles: Polymer Properties and Processing Variables)

  • 유지연;이수정;안철희;최지연;이종휘
    • 폴리머
    • /
    • 제29권5호
    • /
    • pp.440-444
    • /
    • 2005
  • 입자크기 감소에 의한 약물의 표면적 증가는 불용성 약물의 생체이용률 즉, 약물의 흡수량과 속도를 향상시켜 주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 동안 약물 나노제제 공정 동안 약물 나노입자가 응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정제 또는 분산제로서 한정된 수의 부형제만 사용되어 공정의 개선에 제약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N-카복시안하이드라이드 단량체의 개환 중합으로 합성한 소수성과 친수성을 가진 아미노산 공중합체가 불용성 약물인 나프록센 나노입자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새로운 물질로서 사용되었다. 합성된 아미노산 공중합체로 안정화된 나프록센 나노입자는 60분간 습식 분쇄 공정에 의해 $200\~500nm$의 크기로 제조되었고, 공중합체의 소수성 부분이 적어도 $10 mol\%$ 이상이어야 효과적인 크기 감소를 볼 수 있으며, 공중합체의 모폴로지와 분자량은 입자 크기 감소를 결정하는 중요 요소가 아니었다. 또한 제조된 약물 나노입자 크기는 눈에 띄는 응집없이 14일까지 안정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알킬기가 도입된 올리고 아믹산 구조를 가진 고내열 친유기 층상 실리케이트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나노복합재의 특성평가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Heat Resistant Organophilic Layered Silicate Modified with Oligo(amic acid)s Having Alkyl Side Chains and Their Nanocomposites)

  • 한지연;원종찬;이재홍;서경도;김용석
    • 폴리머
    • /
    • 제29권5호
    • /
    • pp.451-456
    • /
    • 2005
  • 폴리이미드 나노복합재의 나노충전제를 설계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나노충전제의 내열성 및 매트릭스 고분자인 폴리이미드와의 상용성이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의 요소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알킬사슬을 가지며 말단기가 아민인 올리고 아믹산을 설계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층상 실리케이트의 표면을 개질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자량이 2000g/mol로 조절되고 말단기가 아민인 올리고 아믹산을 제조하였고 이후 이온 교환반응을 통하여 고내열 친유기 층상 무기소재를 제조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조된 고내열 친유기 층상 무기물은 TGA로 분석한 결과 초기분해 온도가 $280^{\circ}C$ 이상이었으며, XRD로 분석한 결과, 개질하지 않은 층상 무기물에 비해 최소 $4{\AA}$ 이상의 층간거리 증가를 나타내었다. 또한 이들의 나노복합필름의 경우 X선 실험을 통해 친유기성 층상 무기물이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을 알았으며, 친유기성 층상 무기물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CTE 역시 최대 $26\%$ 감소함을 TMA실험 결과를 통해 확인하였다.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결합된 Polysuccinimide의 합성과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ethylene glycol) Grafted Polysuccinimide)

  • 임낙현;이하영;김문석;강길선;이해방;조선행
    • 폴리머
    • /
    • 제29권1호
    • /
    • pp.36-40
    • /
    • 2005
  • 폴리(아미노산)유도체는 약물전달시스템의 약물전달체로 많이 연구되고 있으며 그 중 Polysuccinimide(PSI)는 생체적합성과 생분해성 등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약물전달체로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고분자이다. 축합중합을 이용하여 아스파르트산이 고리를 형성함으로써 PSI를 중합하였다. 이 때 PSI의 중합 최적조건을 관찰하기 위하여 시간과 촉매함량의 변화에 따른 평균분자량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또한 친수성과 소수성으로 이루어진 고분자 미셀을 제조하기 위하여 친수성 사슬인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MPEG)을 결합시켰다. 합성한 고분자는 1H-NMR, FT-IR 및 GPC를 통하여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ELS와 AFM을 통해 미셀의 형성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미셀의 평균크기는 90~130 nm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PSI를 주사슬로 하는 가지 공중합체가 미셀 형태의 약물전달용 전달체로서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Effect of Hot Pressing/Melt Mixing on the Properties of Thermoplastic Polyurethane

  • Lee, Young-Hee;Kang, Bo-Kyung;Kim, Han-Do;Yoo, Hye-Jin;Kim, Jung-Soo;Huh, Jae-Ho;Jung, Young-Jin;Lee, Dong-Jin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7권8호
    • /
    • pp.616-622
    • /
    • 2009
  •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influence of hot pressing and melt processing on the properties of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is critical for effective mechanical recycling of TPU scrap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s of hot pressing and melt mixing on molecular weight (MW), polydispersity index (PDI), melt index (MI), characteristic IR peaks, hardness, thermal degrad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PU. The original TPU pellet (o-TPU) showed two broad peaks at lower and higher MW regions. However, four TPU film samples, TPU-0 prepared only by hot pressing of o-TPU pellet and TPU-1, TPU-2 and TPU-3 obtained by hot pressing of melt mixed TPUs (where the numbers indicate the run number of melt mixing), exhibited only a single peak at higher MW region. The TPU-0 film sample had the highest $M_n$ and the lowest PDI and hardness. The TPU-1 film sample had the highest $M_w$ and tensile modulus. As the run number of melt mixing increased, the peak-intensity of hydrogen bonded C=O stretching increased, however, the free C=O peak intensity, tensile strength/elongation at break and average MW decreased. All the samples showed two stage degradations. The degradation temperatures of TPU-0 sample (359 $^{\circ}C$ and 394 $^{\circ}C$)were higher than those of o-TPU (342 $^{\circ}C$ and 391 $^{\circ}C$). While all the melt mixed samples degraded at almost the same temperature (365 $^{\circ}C$ and 381 $^{\circ}C$). The first round of hot pressing and melt mixing was found to be the critical condition which led to the significant changes of $M_n$/$M_w$/PDI, MI, mechanical property and thermal degradation of TP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