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MSE filter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7초

에지 영역을 고려한 호모모르픽 웨이브렛 기반 MMSE 필터를 이용한 영상 신호의 스펙클 잡음 제거 (Reduction of Speckle Noise in Images Using Homomorphic Wavelet-Based MMSE Filter with Edge Detection)

  • 박원용;장익훈;김남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11C호
    • /
    • pp.1098-1110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스펙클 잡음으로 열화 된 영상을 복원하기 위하여 에지 영역을 고려한 호모모르픽 웨이브렛 기반 MMSE 필터를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스펙클 잡음이 섞인 영상을 로그 영역으로 변환한 다음 호모모르픽 방향성 MMSE 필터로 복원된 영상에 DIP 연산자를 적용하여 각 화소를 평탄 영역과 에지 영역으로 분류한다. 평탄 영역에서는 호모모르픽 웨이브렛 기반 MMSE 필터링을 수행하고 에지 영역에서는 호모모르픽 웨이브렛 기반 MMSE 필터링의 결과와 호모모르픽 방향성 MMSE 필터링의 결과를 가중하여 합하는 가중 평균 필터링을 수행한다. 그런 다음 지수 함수를 이용하여 공간 영역으로 역 변환하여 복원된 영상을 얻는다. 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으로 복원된 영상은 기존의 호모모르픽 평균 필터와 메디안 필터에 의하여 복원된 영상에 비하여 3.3-4.0 ㏈의 ISNR 성능 향상을 보였다. 또한 0.0103-0.0126의 에지 보존도 측정 파라미터 $\beta$ 성능 향상을 보이고, 에지가 잘 보존되면서 잡음이 잘 제거된 우수한 주관적 화질을 보였다.

호모모르픽 웨이브렛 기반 MMSE 필터를 이용한 초음파영상의 스펙클 잡음 제거 (Speckle Noise Reduction for Ultrasonic Images Using Homomorphic Wavelet-based MMSE Filter)

  • 박원용;장익훈;김남철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제13회 신호처리 합동 학술대회 논문집
    • /
    • pp.679-682
    • /
    • 2000
  • In this paper, a MMSE filter in homomorphic wavelet transform domain is proposed for restoring an ultrasonic images corrupted by speckle noise. In order to remove effectively the speckle noise which is a kind of multiplicative noise, speckle noise is transformed into a form of additive noise and then the additive noise is denoised through the MMSE filter in homomorphic wavelet transform domain. The proposed method shows much higher quality in terms of ISNR and subject quality.

  • PDF

Study on the Transmit Power, MMSE Receiver Filter, and Access Point Selection Optimization Algorithm

  • Oh, Changyo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9호
    • /
    • pp.65-72
    • /
    • 2021
  • 다중 엑세스포인트에 적용하는 전송전력, 최소평균제곱오차(MMSE) 수신필터와 최적의 엑세스 포인트 선택 최적화문제를 살펴본다. 지난 연구에서는 전송전력과 MMSE 수신필터 최적화문제[1]와 전송전력과 최적의 엑세스포인트 선택문제[2]를 다루었다. 각각의 문제에 대한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알고리즘의 전송전력의 최소값에 수렴함을 증명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세 가지 변수를 함께 최적화하여 알고리즘의 성능을 개선한다. 구체적으로, 1) 전송전력, MMSE 수신필터, 엑세스포인트 선정을 동시에 고려하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2) 또한, 제안하는 알고리즘이 최적화 전송전력값에 수렴하는 것이 보장하는 것을 증명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이 기존에 제안되었던 두 개의 알고리즘인 1)전송전력과 MMSE 수신필터 최적화 알고리즘, 2) 전송전력 최적화 알고리즘보다 전송전력 소모량에서 성능이 우수함을 실험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다중 엑세스 포인트에서 전송전력과 MMSE 수신필터 알고리즘 (Transmit Power and MMSE Receiver Filter Algorithm for Multi Access Points)

  • 오창윤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11-118
    • /
    • 2020
  • We investigate the optimization problem of transmit power control and MMSE Receiver filter for multi access points environment. Previous work showed that increasing the number of access points decreases the transmit power consumption. Accordingly, transmit power control algorithm was developed in such a way that the transmit power is minimized, while each terminal meets 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Requirement. In this work, we further reduce the transmit power consumption by optimizing the transmit power level and the MMSE receiver filter together. We showed that the proposed joint optimization algorithm satisfies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to be standard interference function, which guarantees convergence and minimum transmit power consumption. We observ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outperforms the algorithm which only optimizes the transmit power.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연 간섭 제거를 이용한 저 복잡도 MMSE 신호 검출 방법 (Simplified MMSE Detection with SoIC for Iterative Receivers in Multiple Antenna Systems)

  • 김종경;서종수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85-392
    • /
    • 2009
  • 본 논문은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연 간섭 제거(SoIC)를 이용한 저 복잡도 최소 평균 제곱 에러(MMSE) 신호 검파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검파 방식은 다중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서로 다른 정보 신호를 낮은 복잡도로 검파하기 위하여 복호기와 검파기의 터보 반복 과정에서 검파기의 필터 계수 계산 시 역행렬 연산이 필요한 행렬에 간단한 역행렬 정리를 적용하여 검파 필터의 계수를 구함으로써 반복 수신 당 한번의 역행렬 연산으로 기존의 MMSE 검파 방식과 동일한 필터 계수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정한 신호 전력을 갖는 변조 방식을 사용하는 시스템의 경우 검파 성능에 영향을 주는 가장 큰 간섭 신호만을 선택하여 제안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더욱 낮은 복잡도로 검파기의 필터 계수를 구할 수 있도록 한다. 전산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안 방식의 검파 성능을 기존 검파 방식과 비교함으로써 제안하는 검파 방식이 반복 수신기를 사용하는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영상신호에서의 복합 잡음 제거를 위한 수정된 적응 MMSE 필터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ified Adaptive MMSE Filtering for Mixed-Noise Elimination in Image Signals)

  • 이재일;김성환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70-76
    • /
    • 1996
  • 영상이 복합잡음으로 오염된 경우, 기존의 MMSE 필터는 임펄스 잡음의 부근에서 최소평균오차의 추정 편이가 발생하여, 이러한 잡음을 적절히 제거하지 못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잡음제거를 위하여 MMSE 필터의 구조에 방향성에 따른 다중 윈도윙과 차순 필터링 기법을 결합시켜 새로운 필터링 방법을 제안하였다. 결과적으로 정량적인 방법인 NMSE 측정으로 기존의 MMSE 필터보다 9.7-35.2배의 향상된 영상을 얻었고, 시각적인 면과 정량적인 관점에서도 향상된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Non-parametric Linear MMSE Filter in Wireless Ad-Hoc Networks

  • Seo, Heejin;Shim, Byonghyo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4-55
    • /
    • 2015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pursuing robustness in ad hoc network system when the CSI of interferers is unavailable. The non-parametric linear minimum mean square error filter is exploited to achieve large fraction of the MMSE filter transmission capacity employing the perfect covariance matrix information. From the numerical results, we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brings substantial transmission capacity gain over conventional MMSE filter using sample covariance matrix.

  • PDF

MMSE based Wiener-Hopf Equation

  • Cho, Juphil;Lee, Il Kyu;Cha, Jae S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4권1호
    • /
    • pp.18-22
    • /
    • 2012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quivalent Wiener-Hopf equation. The proposed algorithm can obtain the weight vector of a TDL(tapped-delay-line) filter and the error simultaneously if the inputs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The equivalent Wiener-Hopf equation was analyzed theoretically based on the MMSE(minimum mean square error) method. The results present that the proposed algorithm is equivalent to original Wiener-Hopf equation. In conclusion, our method can find the coefficient of the TDL (tapped-delay-line) filter where a lattice filter is used, and also when the process of Gram-Schmidt orthogonalization is used. Furthermore, a new cost function is suggested which may facilitate research in the adaptive signal processing area.

시간-주파수 스무딩이 적용된 소프트 마스크 필터를 이용한 단일 채널 음성 분리 (Single-Channel Speech Separation Using the Time-Frequency Smoothed Soft Mask Filter)

  • 이윤경;권오욱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67호
    • /
    • pp.195-216
    • /
    • 2008
  • This paper addresses the problem of single-channel speech separation to extract the speech signal uttered by the speaker of interest from a mixture of speech signals. We propose to apply time-frequency smoothing to the existing statistical single-channel speech separation algorithms: The soft mask and the minimum-mean-square-error (MMSE) algorithms. In the proposed method, we use the two smoothing later. One is the uniform mask filter whose filter length is uniform at the time-Sequency domain, and the other is the met-scale filter whose filter length is met-scaled at the time domain. In our speech separation experiments, the uniform mask filter improves speaker-to-interference ratio (SIR) by 2.1dB and 1dB for the soft mask algorithm and the MMSE algorithm, respectively, whereas the mel-scale filter achieves 1.1dB and 0.8dB for the same algorithms.

  • PDF

증폭 및 전달 릴레이 기반 다중 사용자 피어투피어 통신 시스템에서 강인한 MMSE 필터 설계 방법 (On Robust MMSE-Based Filter Designs for Multi-User Peer-to-Peer Amplify-and-Forward Relay Systems)

  • 신준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A권9호
    • /
    • pp.798-809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부정확한 채널 정보가 주어진 환경에서 multi-user peer-to-peer 증폭 및 전달 릴레이 시스템에 대한 robust 릴레이 및 수신기 필터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평균 자승 오류율 합을 최소화 하는 관점에서 릴레이 및 수신기 필터를 구한다. 우선 iterative 연산이 필요한 joint 최적화 필터 설계 방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iterative 방법의 연산 복잡도를 개선하기 위해 릴레이 필터의 분해능에 기반을 둔 두 가지 robust non-iterative 부최적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릴레이와 특정 수신기 간의 local channel state information 만을 이용하는 변형된 수신기 설계 방법을 추가적으로 제안한다. 연산 복잡도 분석과 평균 자승 오류율 합 및 비트 오류율 성능을 확인하는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robust non-iterative 부최적화 방법이 robust iterative 최적화 방법과 비교해 연산량 감소 효과는 크면서 성능 열화는 제한적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채널 정보의 부정확함이 존재하는 시스템 환경에서 제안하는 방법의 상당한 robustness 를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