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MPI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177초

홧병클리닉을 방문한 환자들의 임상 증상과 MMPI 상의 성격 특징에 대한 연구 (Clinical Symptoms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n MMPI of Patients in Hwa-Byung Clinic)

  • 이유진;백경원;김하경;연규월;임원정
    • 정신신체의학
    • /
    • 제16권2호
    • /
    • pp.120-124
    • /
    • 2008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홧병 클리닉을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증상과 MMPI상의 성격특성을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05년 12월부터 2006년 7월(7개월간)까지 이대 동대문 병원 내 가슴앓이 홧병 클리닉에 내원한 31명의 여성 환자($45.4{\pm}8.4$세)를 대상으로 호소하는 증상에 대해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고 신체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광고를 통해 모집된 31명의 여성 대조군($42.9{\pm}8.0$세)을 포함한 전체 대상군에게 MMPI를 완성하도록 하였다. 결과 : 홧병 클리닉 환자들이 호소한 주 증상은 31명 모두 가슴 답답함 혹은 통증을 호소하였으며, 소화기계 증상은 총 19명(61.3%)에서 있었다. 호흡기계 증상은 13명(41.9%)에서 관찰할 수 있었으며, 수면 장애는 12명 (38.7%)에서 있었다. 불안, 우울감 같은 정신과적 증상은 12명(38.7%)이 호소하였다. 8명(27.6%)의 환자에서 시행한 검사상 소화기계 질환이 진단되었다. 나이와 교육수준을 통제했을 때, 홧병 환자군에서 MMPI 소항목 척도 중 Hs(Hypochondriasis), D(Depression), Hy(Hysteria), Pt(Psychasthenia)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p=0.001, p=0.049, p=0.000 and p=0.029, ANCOVA, respectively). 결론 : 본 연구에서 홧병 클리닉을 방문한 환자들은 다양한 신체 질환을 호소하였고, 27.6%의 환자에서 실제 신체질환이 진단되었다. 또한, 홧병클리닉 환자들의 성격 특징은 건강염려적이고, 우울하며, 스트레스에 미숙하고, 불안하였다.

  • PDF

교통사고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서 증상 정도에 따른 인지기능의 차이 (The Difference of Cognitive Function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fter Traffic Accident According to Severity of Symptom)

  • 이재영;기백석;조순동;서동수
    • 정신신체의학
    • /
    • 제11권1호
    • /
    • pp.36-43
    • /
    • 2003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서 증상의 정도에 따른 인지기능의 차이가 어떠한지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방 법: 교통사고 관련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로 진단된 90명의 외래,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의 심각도(MMPI 우울증 척도, 강박 척도, 정신분열증 척도)와 인지기능(K-WAIS)을 측정하였다. 그들을 MMPI 우울증 척도, 강박증 척도, 정신분열증 척도 점수에 따라 상위 30%에 해당하는 집단과 하위 30%에 해당하는 집단으로 구분하여 두 군간의 지능과 소검사 점수 차이에 대하여 각각 검증하였다. 결 과: 우울증 척도의 상위군과 하위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리고 강박 척도에서 하위군이 상위군보다 기본지식, 어휘문제, 공통성문제, 빠진곳 찾기, 차례맞추기가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정신분열증 척도에서 하위군이 상위군보다 전체지능, 언어성지능, 동작성지능, 기본지식, 어휘문제, 이해문제, 산수문제, 빠진곳 찾기, 차례맞추기, 토막짜기, 모양맞추기, 바꿔쓰기가 유의하게 높았다. 결 론: 본 연구 결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서 증상의 정도에 따른 인지기능의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증상의 정도가 심한 집단에서 인지기능 장애가 더 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는 불안장애이기도 하지만 인지기능 또한 증상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치료함에 있어서 약물치료 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인지적 치료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군복무 적합성 평가를 위해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한 환자군의 MMPI-2-RF 프로파일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sychiatric Patients with Military Issues Using MMPI-2-RF)

  • 성기혜;박지현;김근향;이상혁;박은희;최지영
    • 정신신체의학
    • /
    • 제25권1호
    • /
    • pp.33-45
    • /
    • 2017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군복무 적합성에 대한 정밀평가 및 병사용 진단서를 목적으로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한 환자군의 심리적 특성을 확인하고자, 일반적인 정신과적 치료를 위해 내원한 환자군과의 비교를 통해 차이를 분석하였다. 방법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한 18세에서 27세까지의 남성환자 총 319명을 병사용 진단군 165명과 일반내원군 154명으로 분류하였다. 독립표본 t-test, ANCOVA, 절단점을 초과하는 사례수에 대한 ${\chi}^2$ 검정을 통해 두 집단 간 MMPI-2-RF의 척도들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두 집단 간 연령 및 교육수준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두 집단은 MMPI-2-RF의 타당도 척도, 상위차원척도, 재구성 임상척도, 특정문제척도, 성격병리 5요인척도 모두에서 차이가 있었다. 두 집단 간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시행한 세가지 분석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척도는 EID, RC7, HLP, SFD, SAV, SHY, DSF, INTR-r이었다. 결론 군복무 적합성 평가가 의뢰된 환자군의 경우, 일반내원 환자군에 비해 정서적 고통의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무력감이나 자신감 저하, 대인관계에서의 어려움이 더욱 현저한 것으로 시사되었다. 더불어 병사용 진단 군에서 보인 타당도 척도의 상승을 고려하여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공황장애 환자의 다면적 인성검사 (MMPI) 특성이 인지행동치료 결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MPI Characteristics on the Outcome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Panic Disorder)

  • 최영희;이정흠
    • 정신신체의학
    • /
    • 제6권2호
    • /
    • pp.147-154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공황장애 환자에 대한 인지행동치료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환자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면적 인성검사를 사용하여 환자의 특성을 측정하고 이들 환자 특성 중 어떤 변인이 치료결과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되는지를 알아보았다. 31명의 공황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11주의 공황장애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치료전에 다면적 인성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치료 전 후에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의 상태 불안 질문지(STAI-State), Agoraphobic Cognition Questionniaire(ACQ), Body Sensation Questionnaire(BSQ)의 질문지와 환자의 자기보고 등 5가지를 실시하여 치료 성과의 지표로 사용하였다. 최종상태 기능 (End-State Functioning) 에 따라 치료 결과가 좋은 집단(상위 최종상태 집단)과 치료 결과가 나쁜 집단(하위 최종상태 집단)을 구분하여 두 집단의 특성용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다면적 인성검사의 건강염려증 척도(Hs), 우울증 척도(D), 히스테리 척도(Hy), 강박증 척도(Pt), 정신분열증 척도(Sc), 그리고 타당도 척도인 F 척도에서 하위 최종상태 집단이 상위 최종상태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하지만 이러한 차이는 치료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환자 변인이라고 하기보다는 단순히 환자가 가진 증상의 심한 정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2) 치료 전에 실시한 다섯 가지 평가 지표에서 기본적으로 하위 최종상태 집단이 상위 최종상태 집단보다 증상의 정도가 심했지만, 두 집단 모두 치료를 통하여 비슷한 수준의 치료적 변화를 보인 결과는 1)의 해석을 지지해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다면적 인성검사는 인지행동 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환자의 특성을 파악하는데는 효과적이지 못한 방법으로 생각되며, 추후 연구에서는 보다 직접적으로 성격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 환자 변인을 찾아 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한의치료와 '마음의 방 그리기'를 활용한 공황장애 치험 1례 보고 (A Case Report on Panic Disorder Patient Using the 'MRM (Mentalizing the Rooms of Mind)' and Korean Medicine Therapy)

  • 김지수;정문주;이가원;유영수;강형원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97-211
    • /
    • 202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progress of treatment and improve clinical use after conducting Mentalizing the Rooms of Mind, the main technique of Mindfulness & Loving Beingness psychotherapy, for a patient with panic disorder. Methods: We conducted a Mentalizing the Rooms of Mind for 10 sessions on an age 23 female diagnosed with panic disorder based on the DSM-5 diagnostic criteria. After receiving consent from the subject, through chart review, the progress of treatment was observed focusing on the MMPI-2 and CSEI-s (The Core Seven Emotions Inventory-short form) conducted pre- and post-treatment. This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Wonkwang University Sanbon Hospital (WMCSB202007-55). Results: 1. The MMPI-2 clinical scales of an age 23 female with panic disorder showed a 7 (Pt)-1 (Hs)-3 (Hy) profile pre-treatment, but for post-treatment, the scale showed 1 (Hs)-3 (Hy) profile, and the 7 (Pt) scale showed significant decline. In the MMPI-2 reconstructed clinical scales, RC7 (Dysfunctional Negative Emotions) and RC8 (Aberrant Experiences) showed significant decline. 2. In the pre- and post-treatment MMPI-2 content scales, Anxiety, Fears, Obsessiveness, Social Discomfort, and Work Interference scores decreased, showing overall positive stability. On the MMPI-2 supplementary scales, the Anxiety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cores decreased, and the Ego Strength increased, resulting in improved overall psychological adaptation. 3. Pre- and post-treatment of an age 23 female with panic disorder, CSEI-s showed significant decline of 恐, 驚, 悲, and 思. So it seems that the emotions caused by Chiljeongsang (七情傷) were more stable than before treatment. Conclusions: As shown above, the treatment of panic disorder through Mentalizing the Rooms of Mind, a major technique of Mindfulness & Loving Beingness psychotherapy, showed positive changes in MMPI-2 as well as improvement of the subjective symptoms. Thus, Mentalizing the Rooms of Mind has high clinical use, and it seems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manual for this in the future.

교통사고 환자의 MMPI 및 통증, 영상평가에 대한 임상연구 (Clinical Study on Pain Index, Radiological Evaluation and MMPI of Traffic Accident Patient)

  • 김성태;송민영;김대훈;이은지;권민구;설재욱;김선종;배길준;최진봉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7-85
    • /
    • 2015
  • This study analyzed the MMPI (Minnesota Multiphashic Personality Inventory), VAS (Visual Analogue Scale), cervical and lumbar curvature (Cervical angle, Ishihara Index, Lumbar angle, Ferguson angle) and satisfaction score of patient of traffic accident. About 59 cases of patients admitted to the Korean Medicine hospital, MMPI and pain levels (VAS) cervical and lumbar curvature (Cervical angle, Ishihara Index, lumbar angle, Ferguson angle) and satisfaction score were measur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Depending on the type of accident divided into two groups of In car TA and Out car TA. After hospitalization, patient's pain index was improved as a whole. Pain index and evaluation of the cervical and lumbar curvature, according to the accident types,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analysis of the MMPI validity scales, In car TA group was analyzed by 'V-shaped', Out car TA group was analyzed by umbrella- shaped, 'inverted V-shaped'. Clinical scales of out car TA group were analyzed by 3-1 profile compared to the In car TA group.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no association between factors and MMPI scales. In the case of a traffic accident patients, damage to the body, as well as emotional and psychological factors are thought to affect the condition or prognosis of patients. In the future, for the management and treatment of these parts will be needed to complement the academic or institutional.

MMPI-2와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타당도 척도를 이용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의 증상과장 평가 (Measuring Symptom Exaggeration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using the MMPI-2 and th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Symptom Validity Scales)

  • 공성회;채정호;이종훈;한상우;박은진;최경숙;대한불안의학회 PTSD 연구회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2-30
    • /
    • 2012
  • Objective : We investigated whethe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atients have a higher tendency to exaggerate the extent of their psychological symptoms compared to other psychiatric patients. Methods :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had received psychiatric treatment at four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between January 2009 and December 2010,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We compared a group of 37 patients diagnosed with PTSD, and another group of 41 patients diagnosed with neurotic, stress-related and somatoform disorders according to the ICD-10. To compare the extent of malingering in the two groups, we compared the validity scales of MMPI-2 and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We determined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both groups feigning their responses by using various cutoff scores of the validity indicators. Results : The PTSD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the F (p=0.001), F (B)(p=0.000), F (P)(p=0.030), F-K (p=0.003) scale of the MMPI-2 compared to the other group of psychiatric patients. The PTSD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NIM score (p=0.001) but a lower PIM score (p=0.020) of the PAI compared to the other group of psychiatric patients. Using the cutoff scores, the PTSD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number of patients who feigned responses compared to the other group ($Fb{\geq}75$ (p=0.010), $F-K{\geq}1$ (p=0.005), $F-K{\geq}10$ (p=0.011) from the MMPI-2, and $NIM{\geq}80$ (p=0.001) from the PAI).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PTSD patients have a tendency to exaggerate their symptom. This group of patients overreported the severity of their condition during standardized personality assessment that included the MMPI-2 or PAI compared to patients diagnosed with other psychiatric disorders. Additional research is required to determine the factors influencing symptom exaggeration in PTSD.

다면적 인성검사 II 재구성판으로 살펴본 주요우울장애 자살 시도자의 심리적 특성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icide Attempter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using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Restructured Form)

  • 최지현;박은희
    • 정신신체의학
    • /
    • 제29권1호
    • /
    • pp.1-10
    • /
    • 2021
  • 연구목적 본 연구는 MMPI-2-RF를 통해 주요우울장애 환자군 중 자살 시도자들의 심리적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본 연구는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정신건강의학과를 방문한 입원 및 외래 환자 중 한국판 K-MINI-Plus 5.0을 통해 DSM-IV의 주요우울장애 진단적 준거를 충족시키는 자 10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을 C-SSRS를 사용하여 자살 시도군(n=43)과 비시도군(n=64)으로 분류하였고 ANOVA를 통해 두 집단 간 MMPI-2-RF 척도 점수에서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더불어 우울 증상의 심각도와 공존질환의 이환 여부가 자살 시도 여부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을 고려해 이를 공변인으로 하여 추가적으로 ANCOVA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 과 본 연구에서 자살 시도군이 비시도군에 비해 효능감 결여(NFC), 대인관계 수동성(IPP), 자살/죽음 사고(SUI) 척도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p<0.05). 다만 자살/죽음 사고(SUI) 척도의 경우 우울 증상과 공존질환의 이환 여부를 통제한 이후에는 두 집단 간 차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향성을 보여주었다(p<0.10). 결 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MMPI-2-RF가 중등도 이상의 증상 심각도를 지닌 주요우울장애 집단에서 실제 자살 시도로 이행될 위험이 있는 환자를 심리적 특성을 확인하는데 유용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한의대생의 성별에 따른 MBTI와 MMPI-2 특성 연구 (A Study on Myers-Briggs Type Indicator and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Characteristics Based on Gender of Oriental Medicine Students)

  • 이재혁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73-379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medical students with a focus on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and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MMPI-2).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01 Korean medical students to investigate thei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ith a focus on Myers-Briggs Type Indicator and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Results: Among the 16 MBTI personality types, ISTJ was the most common type with the prevalence of 24.8%. According to gender-based classification, there were more men in the J-type category and more women in the P-type category. In the MMPI-2 scales, males showed high scores in Pd, AGGR, DISC, MAC-R, and GM, and females showed high scores in Mf and GF. Conclusions: The personality test for male and female Korean medical students revealed few differences on some scales of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and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뇌졸중 입원 환자의 신체장애 부위별 MMPI 조사연구 (Studies of MMPI on the Somatic Disorder of CVA Patients)

  • 양희숙;장현호;안대종;강형원;류영수;민상준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5-92
    • /
    • 2002
  • To evaluate the relations between stroke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authors surveyed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 Inventory(MMPI) in CVA Pati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1. In the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group, the measure of F, Hy, Pd, Pt and Sc has appeared significantly high. 2. In the cerebral hemorrhage patients group, the measure of F and Ma has appeared significantly high. 3. In dysphasia-hemiparesis patients group, the measure of D has appeared high.4. In the Soyangin patients group, the measure of Pd and Ma has appeared high. 5. In the Soeumin patients group, the measure of D, Pt and Si has appeared hig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