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MPI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23초

한의대생의 Holland 검사 특성 및 MMPI-2와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n the Holland Types Characteristics of Korean Medical Students and Correlation with the MMPI-2)

  • 이재혁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31-238
    • /
    • 2018
  • Objectives: To evaluate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medical students focusing on the Holland types and the MMPI-2.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81 Korean medicine students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focusing on the Holland types and the MMPI-2. Results: The orders of frequency of the Holland type in Korean medicine students were S>I>C>A=E>R (all), I>S>C>R=E>A (male) and S>A>C>I>E>R (femal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Holland types and the MMPI-2 were R type (Mf negative), A type (Mf Pa Ma positive, Si negative), S type (Mf positive, D Pt Sc Si negative) and E type (Ma positive, D Si negative). Conclusions: From personality tests for male and female Korean medical students, there were differences on some scales of the Holland types. The Holland types are related to the specific scales of the MMPI-2.

PTSD 환자의 피해 사고 및 피해 사고에 기여하는 심리학적 요인 (Idea of Persecution and Psych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Idea of Persecution in Patients With PTSD)

  • 이승윤;문영경;이소라;최하연
    • 정신신체의학
    • /
    • 제31권2호
    • /
    • pp.155-164
    • /
    • 2023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중 Clinician-Administered PTSD Scale (CAPS)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MMPI-2)를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피해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방 법 2013년 5월부터 2020년 4월까지 중앙보훈병원에서 CAPS와 MMPI-2를 시행한 116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CAPS 점수를 기준으로 하여 환자들은 PTSD군(n=63, 연령: 58.16±17.84)과 외상 노출이 있는 비PTSD군(n=53, 연령: 67.34±12.05)으로 나뉘었다. 피해사고, CAPS 및 MMPI-2의 척도들 간의 상관 관계를 확인한 후 임상적으로 관련된 위험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선형 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PTSD 군은 외상 노출이 있는 비PTSD 군에 비해 MMPI-2에서 정신분열증, 피해 사고, 역기능적 부정적 정서, 기태적 경험, 정신증, 부정적 정서성/신경증, 불안, 우울, 분노 척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피해 사고와 CAPS, MMPI-2의 상관 관계를 보았을 때, 피해 사고와 MMPI-2 항목들 간에는 통제 결여 항목을 제외하고 강한 관련성을 보였다. PTSD 군에서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통해 역기능적 부정적 정서 및 분노 척도가 피해 사고의 위험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결 론 PTSD 군은 외상 노출이 있는 비 PTSD 군에 비해 피해 사고가 높게 나타나고, 역기능적 부정적 정서 및 분노 척도가 피해 사고의 위험 요인일 수 있어 이에 대해 평가하고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어머니의 자기 지각 성향과 자녀 문제에 대한 지각 성향간의 관계 - MMPI와 KPI-C의 타당도 척도를 중심으로 - (RELATIONSHIP OF MOTHERS' SELF-PERCEPTION WITH PERCEPTION OF CHILDREN'S PROBLEMS - FOCUSING ON VALIDITY SCALES OF MMPI & KPI-C -)

  • 김근향;정유숙;홍성도;김이영;김지혜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9권2호
    • /
    • pp.174-179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자기지각 성향과 자녀 문제에 대한 지각 성향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소아 정신과를 방문한 아동 62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다면적 인성검사(MMPI)의 타당도 척도와 그 어머니가 보고한 자녀의 한국아동인성검사(KPI-C)의 타당도 척도간의 상관을 구하였고 t-test를 통해 KPI-C 세 타당도 척도(T-R, L, F) 각각에서 MMPI 타당도 척도 각각의 상·하위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 보았다. MMPI의 K 척도와 KPI-C의 거짓말(L) 척도간에 유의한 정적상관, MMPI의 F 척도와 KPI-C의 L 척도간에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t-test결과, KPI-C의 L 척도는 MMPI의 F, K 척도의 상 ${\cdot}$ 하위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KPI-C의 F 척도는 MMPI L 척도의 상 ${\cdot}$ 하위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자신의 심리적인 문제에 대해 정교한 방어기제를 사용하는 어머니가 자녀의 심리적인 문제에 대해서도 방어적으로 지각하는 성향이 있는 반면, 자신의 문제를 고통스럽고 과장되게 지각하는 어머니는 자녀의 심리적인 문제에 대해서 과장되게 지각하지는 않음이 시사되었다. 또한 자신의 심리적인 문제를 부인하고 단순한 방어기제를 사용하는 어머니는 자녀의 문제에 대해서는 그 정도를 심각하게 지각하지 않음이 드러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MMPI 타당도 척도 중에서 무엇보다도 K 척도가 상승하는 어머니가 자녀의 문제를 과소평가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감안하여 그러한 어머니가 보고한 자녀문제의 심각도와 내용을 신중하게 평가하여야 할 것을 시사한다.의 효과에 대해 비교했을 때 품행장애가 공존된 집단에서 치료전에 비해서 아동행동조사표의 문제행동목록 중 공격성 요인에서 유의한 감소(p<.05)가 보였으며, 사회적 능력 항목중 활동성과 사회성에서 유의한 차이(p<.0001)를 보였다. 지능저하등 다른질환군이 동반된 군에서는 사회기술 평가 척도의 사회기술 항목에서 유의한 증가(p<.05)를 보였다. 그러나 각 집단간의 치료효과에 대해서는 세 집단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위 결과로 보아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아동에서 사회기술훈련 치료프로그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할 만한 사회기술 향상은 보이지 않았다. 반면 품행장애가 동반된 군에서 공격적 행동의 감소를 가져오고 인지능력이 떨어진 군에서 사회기술 호전을 보이는 등 아동의 특성 및 동반증상에 따라 사회기술의 호전 및 증상의 변화에 도움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제이며, 이것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우리 의사들의 적극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에서 자기파괴적인 행동이 있었으며 46명(29.3%)에서 충동성이 동반되었고 35명(22.3%)에서 유뇨증이 관찰되었다. 환자의 발병연령과 내원시 연령, 병의 이병 기간, 강박증상의 정도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성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과잉행동성과 음성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과잉행동성과 충동성, 강박성, 야뇨증, 자기파괴적 행동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성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환자의 강박증상의 정도와 과잉행동성, 수면장애, 자기파괴적 행동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성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저자들은 외래에 내원한 뚜렛장애 환자의 임상적 특성이나 동반된 행동상 문제들이 이전 연구와 크게 상이하지 않음을

  • PDF

수면관련 호흡장애 환자의 MMPI 및 SCL-90-R 반응 특성 (MMPI and SCL-90-R Profiles in Patients with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

  • 김경우;윤석준;양창국;한홍무
    • 정신신체의학
    • /
    • 제10권1호
    • /
    • pp.37-47
    • /
    • 2002
  • 연구목적 : 수면관련 호흡장애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 SRBD)는 생명을 위협하는 중요한 질환으로 유병율이 매우 높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차성 코골이 (PS) 환자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OSA) 환자들이 보이는 정신의학적 증상들을 조사하는데 있다. 방법 : 동아대학교병원 수연장애 클리닉에 내원, SRBD가 의심되어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한 환자 중, SRBD로 확진받은 80명 (PS 29명 OSA 51 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다면적 인성검사 (MMPI)와 간이정신진단검사 (SCL-90-R)를 실시하여 PS군과 OSA군의 정신의학적 증상들을 조사 분석하였다. 결과 : 전체 SRBD 환자군은 MMPI의 건강염려증(Hs), 우울증(D), 히스테리(Hy) 척도와 SCL-90-R의 선체화(SOM) 척도의 증가율이 타 척도보다 더 높았다. 이런 현상은 PS와 OSA로 구분하였을 때도 두군 모두에서 3가지 신경증 척도들의 증가율이 높았다 두군간의 비교에서, SCL-90-R의 강박증 (O-C, t=2.14), 우울증 (DEP, t=2.44), 편집증 (PAR, t=2.56), 전체 심도지수 (GSI, t=2.32) 척도(이상 p<0.05) 및 신체화(SOM, t=2.46), 표출 증상합계 (PST, t=2.75) 척도(이상 p<0.01)의 평균점수, 그리고 MMPI의 건강염려증(Hs, t=3.39) 척도와 SCL-90-R 신체화 (SOM, t=6.52) 척도의 증가율이 PS군보다 OSA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모두 p<0.05). 반응 척도와 수면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조사에서, 몇몇 심리 반응 척도들 즉, OSA군의 MMPI(D, Pt, Si) 및 SCL-90-R(ANX, PAR, PSDI) 척도와 PS군의 MMPI(Hy, Pt, Si) 및 SCL-90-R(I-S, PAR. PSDI) 척도, 그리고 PS군의 MMPI 척도 증가율(E')이 수면효율과 서파수면시간 등의 다양한 수면변인들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SRBD 환자들이 신체화 경향을 주로 하는 신경증적 특정을 보이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비록 OSA군이 PS군에 비하여 정신의학적 증상을 더 심하게 호소하고 있지만, PS군도 일반인구보다 정신의학적 증상을 더 많이 호소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OSA군뿐만 아니라 PS군에 대한 정신의학적 관심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

MMPI-A-RF의 내재화 및 외현화 상위 척도의 임상적 유용성: K-CBCL의 내재화 및 외현화 척도와의 비교 (Clinical Utility of the MMPI-A-RF's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Higher-Order Scales: Comparison With the K-CBCL's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Scales)

  • 신은빈;박은희;홍현주
    • 정신신체의학
    • /
    • 제30권2호
    • /
    • pp.119-126
    • /
    • 2022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자기보고식 다면적 인성 검사 청소년용 재구성판(MMPI-A-RF)의 내재화 및 외현화 상위 척도의 임상적 유용성을 살펴보고자 부모 보고식 한국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CBCL)의 내재화 및 외현화 척도와 비교하였다. 방 법 내재화 장애 청소년 43명, 외현화 장애 청소년 44명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MMPI-A-RF와 K-CBCL을 실시하였다. 내재화 및 외현화 장애 집단별 MMPI-A-RF와 K-CBCL의 내재화 및 외현화 척도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고 두 평가 도구 간 일치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내재화 및 외현화 장애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척도를 탐색하기 위하여 단계적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내재화 장애 집단에서 MMPI-A-RF와 K-CBCL의 내재화 척도 점수가 외현화 장애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외현화 장애 집단에서는 외현화 척도 점수가 내재화 장애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상관 분석 결과, 두 집단 모두 MMPI-A-RF와 K-CBCL 간 내재화 척도에 대해서만 유의한 정적 상관 관계를 보였다(각각 r=0.360, p<0.05; r=0.572, p<0.05). 또한 회귀 분석 결과, 내재화 및 외현화 장애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척도는 MMPI-A-RF의 내재화, 외현화, K-CBCL의 외현화 척도 순이었다(R2=0.407, p<0.05). 결 론 MMPI-A-RF의 내재화 및 외현화 상위 척도는 청소년 내재화 및 외현화 장애의 각 특징적인 증상들을 신뢰롭게 잘 반영하고 두 장애를 구분하는 데 유용한 평가 도구임을 밝혔다. 더불어 청소년이 외현화 문제를 보이는 경우, 부모가 평가한 K-CBCL의 외현화 척도로 추가적인 정보를 얻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겠다.

내재화장애 청소년의 평가에서 자기보고용 강점난점척도와 MMPI-A의 상호보완성 : 예비연구 (Complementarity between SDQ-SR and MMPI-A in Assessing Adolescents with Internalizing Disorder : A Preliminary Study)

  • 신교정;안정숙;임지영;이진희
    • 정신신체의학
    • /
    • 제26권1호
    • /
    • pp.9-18
    • /
    • 2018
  • 연구목적 청소년의 내재화장애는 겉으로 표출되지 않으므로 의료서비스 이용을 결정하는 부모나 교사가 그 증상을 인지하기 어렵고 청소년 자신도 정신의학적 개입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치료 기회를 놓치기 쉽다. 본 연구는 내재화장애 청소년의 정신병리를 자기보고식 강점난점설문지(SDQ-SR)와 MMPI-A를 사용하여 조사하고, 이 두 검사도구가 내재화장애를 진단평가하는데 상호보완성이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청소년 외래환자(13~17세) 91명을 임상진단에 따라 두 집단으로 나누었으며, 내재화장애집단 44명과 그 외 임상진단을 가진 비교집단 47명이 완성한 SDQ-SR과 MMPI-A 자료가 내재화장애 진단을 어느 정도로 예측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결 과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SDQ-SR의 정서증상 소척도가 1점 상승할 때 내재화장애의 진단예측력은 2.27배 증가하였다. 또한 ROC 곡선분석에서, SDQ-SR 정서장애 소척도의 절단점수를 4점으로 했을 때 내재화장애진단의 민감도와 특이도가 각각 88.94와 78.72로 나타났다. MMPI-A에서는 A-anx 절단점수가 56이었을 때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77.27과 74.47이었다. 그러나 이 두 검사도구 소척도들의 어떠한 조합도 SDQ-SR 정서증상 소척도가 갖는 진단예측력을 더 높이지는 못했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내재화장애를 진단하는데 SDQ-SR의 정서증상과 MMPI-A의 A-anx, A-aln, A 및 INTR가 중요한 소척도임을 알 수 있었으나 이를 확정하기 위해서는 정상대조군을 포함한 대규모의 연구가 필요하다.

핵심감정척도와 다면성 인성검사의 상관성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ship of the CSEI (The Core Seven-Emotions Inventory) and MMPI-2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 허은정;이가원;이나현;정문주;유영수;강형원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53-164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CSEI (The Core Seven-Emotions Inventory) and MMPI-2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Methods: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stu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lood type, MMPI-2, and CSEI us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24.0.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OVA), subsequent analysis duncan (post hoc multiple comparison),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1.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91 participants in this study: 60 males (65.9%), 88 unmarried (96.7%), 58 without religion (63.7%), 54 who have experienced stress in the last three months (59.4%), and 82 in their 20s (90.1%) comprised the majority. 2. As a result of verifying correlation by subfactors of CSEI, Hui (喜)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U (憂), Bi (悲), and Gong (恐). Six emotions except Hui (喜)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excep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U (憂) and Kyeong (驚). 3. Hui (喜) of CSEI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eight factors of MMPI-2 Clinical Scales except Pa (Paranoia) and Ma (Hypomania), whereas Bi (悲)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nine factors of MMPI-2 clinical scales except Mf (Masculinity-Femininity). Sa (思), Bi (悲), and Gong (恐) had similar tendency of positive correlation with six factors of MMPI-2 Restructured Clinical Scales.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concluded that CSEI's sub factors had consistent correlations with MMPI-2. Thus, CSEI could contribute to psychiatry clinical use.

MMPI를 통해 관찰한 동통장애 환자 증례 (Clinical study on a case of Pain Disorder with MMPI)

  • 서주희;성우용;임호제;손지형;설재욱;장하정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01-308
    • /
    • 2005
  • Pain disorder is the chronic syndrome that onset and change of pain is associated with mood change. But the patient of pain disorder can't perceive their inner conflict. We experienced a 58 year-old woman who had general pain, and whose condition was improved through oriental medical treatment. In this case, we assessed the pain disorder patient at MMPI. So we learned out the patient's inner conflict and dynamic. The applicability of understanding with MMPI has positive effects on the patient with Panic disorder.

  • PDF

비만환자의 MMPI에 대한 고찰 (Study of MMPI on Obese Patients)

  • 양재선;권영달;이상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1411-1418
    • /
    • 2005
  • Obesity is not classed in general psychiatry disease. But, psychoneurotic factor has been known to be a risk factor of obesity. In order to evaluate and understand the psychoneurotic state on obese patient, this study used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MMPI). Total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3 or 5 clusters. MMPI scores were compared according to education, BMI and Sasang Constitu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psychological factor on obese patients by age, height, weight, education, percent body fat, fat distribution, BMI. Based on this study, it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by education level, BMI, sasang(四象) constitution except L profile according to BMI. These result is different from our general recognition of the psychoneurotic state on obese patient. Therefore, the bigger sample study is needed.

컴퓨터 중독청소년의 MMPI(다면적 인성검사) 특성 (Characteristics of MMPI of Computer Addiction Adolescents)

  • 박순천;백경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7호
    • /
    • pp.1-21
    • /
    • 200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and to deal with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mputer addicted adolescent using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MMPI).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7(male 185, female 222) 2nd grade students in senior high school in Daegu. All participant were evaluated on the basis of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MMPI) and the upgraded Computer Addiction Inventory (CAI) scale which referred to the Young's Internet Addiction Self Diagnosis Scale and the Mind Test's Came Addiction. SPSS version 10.0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scores of F, Hs, D, Pd, Pa, Pt, Sc of the MMPI scale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mputer addicted adolescents and non-addicted adolescents. The rate of addicted adolesc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n-addicted adolescent in psychological problematic score ranges in the scal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ores of computer addiction adolescents were similar to those of alcohol and drug addicts in the scales of D, Pd, and Pt. This survey revealed that the psychological disorders suffered by computer addiction adolescents may cause more serious social problems than alcohol and drug addi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