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 OF MOTHERS' SELF-PERCEPTION WITH PERCEPTION OF CHILDREN'S PROBLEMS - FOCUSING ON VALIDITY SCALES OF MMPI & KPI-C -

어머니의 자기 지각 성향과 자녀 문제에 대한 지각 성향간의 관계 - MMPI와 KPI-C의 타당도 척도를 중심으로 -

  • Kim, Keun-Hyang (Department of Psychiat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Jung, Yoo-Sook (Department of Psychiat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Hong, Sung-Do (Department of Psychiat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E-Yong (Department of Psychiat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Ji-Hae (Department of Psychiat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김근향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과학교실) ;
  • 정유숙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과학교실) ;
  • 홍성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과학교실) ;
  • 김이영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과학교실) ;
  • 김지혜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1998.12.31

Abstract

Objective: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self-perception and perception of children's problems. Method:Subjects were 63 children, mothers, who visited child & adolescent psychiatric clinic. Their mothers completed Minnesota Mulpiphasic Personality Inventory(MMPI) & 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KPI-C). Correlation between validity scales of mothers' MMPI and validity scales of KPI-C was analysed, and then we divided subjects into two group(High & Low Group) according to the MMPI validity scales, and compared KPI-C's validity scales by student t-test. Result: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r=.30) between K scale of MMPI and L scale of KPI-C,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r=-.32) F scale of MMPI and L scale of KPI-C. The Means of T scores did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MMPI F, K scales in KPI-C L scale, to MMPI L scale in KPI-C F scale. Conclusion:These results indicated that defensive mothers tend to perceive her child's problems more defensively. However mothers who exaggerate their problem more severely, do not exaggerate their children's problem. Therefore, these result suggested that we should be careful not to underestimate children's problem whose mother elevated in K scale of MMPI.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자기지각 성향과 자녀 문제에 대한 지각 성향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소아 정신과를 방문한 아동 62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다면적 인성검사(MMPI)의 타당도 척도와 그 어머니가 보고한 자녀의 한국아동인성검사(KPI-C)의 타당도 척도간의 상관을 구하였고 t-test를 통해 KPI-C 세 타당도 척도(T-R, L, F) 각각에서 MMPI 타당도 척도 각각의 상·하위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 보았다. MMPI의 K 척도와 KPI-C의 거짓말(L) 척도간에 유의한 정적상관, MMPI의 F 척도와 KPI-C의 L 척도간에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t-test결과, KPI-C의 L 척도는 MMPI의 F, K 척도의 상 ${\cdot}$ 하위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KPI-C의 F 척도는 MMPI L 척도의 상 ${\cdot}$ 하위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자신의 심리적인 문제에 대해 정교한 방어기제를 사용하는 어머니가 자녀의 심리적인 문제에 대해서도 방어적으로 지각하는 성향이 있는 반면, 자신의 문제를 고통스럽고 과장되게 지각하는 어머니는 자녀의 심리적인 문제에 대해서 과장되게 지각하지는 않음이 시사되었다. 또한 자신의 심리적인 문제를 부인하고 단순한 방어기제를 사용하는 어머니는 자녀의 문제에 대해서는 그 정도를 심각하게 지각하지 않음이 드러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MMPI 타당도 척도 중에서 무엇보다도 K 척도가 상승하는 어머니가 자녀의 문제를 과소평가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감안하여 그러한 어머니가 보고한 자녀문제의 심각도와 내용을 신중하게 평가하여야 할 것을 시사한다.의 효과에 대해 비교했을 때 품행장애가 공존된 집단에서 치료전에 비해서 아동행동조사표의 문제행동목록 중 공격성 요인에서 유의한 감소(p<.05)가 보였으며, 사회적 능력 항목중 활동성과 사회성에서 유의한 차이(p<.0001)를 보였다. 지능저하등 다른질환군이 동반된 군에서는 사회기술 평가 척도의 사회기술 항목에서 유의한 증가(p<.05)를 보였다. 그러나 각 집단간의 치료효과에 대해서는 세 집단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위 결과로 보아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아동에서 사회기술훈련 치료프로그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할 만한 사회기술 향상은 보이지 않았다. 반면 품행장애가 동반된 군에서 공격적 행동의 감소를 가져오고 인지능력이 떨어진 군에서 사회기술 호전을 보이는 등 아동의 특성 및 동반증상에 따라 사회기술의 호전 및 증상의 변화에 도움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제이며, 이것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우리 의사들의 적극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에서 자기파괴적인 행동이 있었으며 46명(29.3%)에서 충동성이 동반되었고 35명(22.3%)에서 유뇨증이 관찰되었다. 환자의 발병연령과 내원시 연령, 병의 이병 기간, 강박증상의 정도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성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과잉행동성과 음성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과잉행동성과 충동성, 강박성, 야뇨증, 자기파괴적 행동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성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환자의 강박증상의 정도와 과잉행동성, 수면장애, 자기파괴적 행동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성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저자들은 외래에 내원한 뚜렛장애 환자의 임상적 특성이나 동반된 행동상 문제들이 이전 연구와 크게 상이하지 않음을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