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L 검출

검색결과 521건 처리시간 0.029초

시공간 M-ary 직교 Walsh 수열 변조 (Space-Time M-ary Orthogonal Walsh Sequence Keying)

  • 김정창;전경훈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6권3호
    • /
    • pp.15-1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수신기에서 채널 추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MWSK (M-ary orthogonal Walsh sequence keying)를 적용한 ST-MWSK (space-time MWSK)를 제안한다. ST-MWSK의 noncoherent ML (maximum-likelihood) 검출기의 계산 복잡도는 기존의 ST-FSK (ST frequency-shift keying) 방식에 비해 크게 줄어든다. 또한 ST-MWSK는 ST-FSK와 거의 동일한 성능을 나타낸다.

난황 laY 항체의 Inhibition Enzyme-Linked Immunosorbant Assay(ELISA)법을 이용한 원유내 Pseudomonas fluorscens의 신속 검출 방법 개발 (Inhibitio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SIA) for Rapid Dection of Pseudomonas fluorescens in Raw Milk using IgY)

  • 이승배;최석호;백두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31-235
    • /
    • 2000
  • 원유에 존재하는 Ps. fluorescens의 균수를 신속하게 측정하기 위한 Inhibition Enzyme Linked Immunosorbant Assay (ELSIA)를 개발하기 위해 Ps, fluorescens(KCTC 2344)을 산란계에 접종하여 Ps.fluorescens에 대한 anti-Ps. fluorescens IgY 항체를 생산하고 그 항체의 역기를 ELISA로 측정한 결과 32일까지 항체 역가가 증가하였으며, 분리된 IgY 항체의 titer는 1:128,000으로 나타났다. Anti-Ps.fluorescens IgY 항체에대한 교차반응을 조사한 결과 그람양성균 Lactococcus faecalis, Staphylococcus aureus 뿐만 아니라 그람음성 균인 Achrombacter sal-monisida, Escherichia coil와도 교차반응을 거의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Anti-Ps. fluo-rescens IgY 항체를 가지고 Inhibition ELISA 방법으로 Ps. fluorescens 균수를 신속한 측정할 수 있는 표준곡선을 작성한 결과 Ps. fluorescens균을 5.0$\times$$10^4$cfu/ml부터 5.0$\times$$10^{8}$cfu/ml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저준위 액체섬광계수기와 파형분석법을 이용한 지하수중의 $^{222}Rn$ 측정 (Measurement of $^{222}Rn$ in ground water with low-level Liquid Scintillation Counter and pulse shape analysis)

  • 조수영;윤윤열;이길용;김용제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6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319-323
    • /
    • 2006
  • 파형분석(PSA) 기능과 백그라운드 낮고 계측효율이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저준위 액체섬광계수기를 이용하여 지하수중의 $^{222}Rn$ 측정을 위한 최적 분석조건을 확립하였다. 라돈분석을 위해 섬광용액 HiSafe 3 12 ml를 사용하여 물시료 8 ml 내 $^{222}Rn$ 을 측정하였다. 라돈은 딸핵종과의 방사평형을 위해 3시간동안 방치한 후 계측하였다. 최적 파형분석 (PSA) 준위는 100 이었다. $^{222}Rn$의 계측효율은 $^{226}Ra$ 표준시료를 동일 조건으로 제조한 후 약 20일 이상 방치한 다음 측정하여 결정하였으며 측정효율은 약 $91.6{\pm}3.6%$ 이었다. 동일 시료의 라돈 추출실험 재현성은 2 % 이내이었다. 계측시간 10시간을 기준으로 바탕값은 0.035 cpm 이었고 300분 계측시 검출하한값은 0.11 Bq/L 이었다.

  • PDF

HPLC 형광검출법에 의한 Glyphosate의 혈중농도 측정 (Determination of Glyphosate in Whole Blood by HPLC-fluorescence Detection)

  • 이상기;김기욱;양자열;인상환;이수연
    • 약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47-351
    • /
    • 2001
  •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glyphosate, a phosphated amino acid herbicide, in whole blood is presented. After removal of protein, the whale blood was purified by using the anion exchange resin (Dowex 1), and derivatized with 9-fluorenylmethyl chloroformate (FMCL). Derivatized glyphosate from blood sample was injected onto a Whatman partisil 10SAX column and separated with 0.1M phosphate buffer (pH 2.5) and acetonitrile (ratio=3:1). Th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fluorescence detection gave the detection limit of 86pg and linearity of 0.9999 in the range of 0.25 $\mu$g/ml and 25 $\mu$g/ml. The recoveries of glyphosate added to the blood samples were ranged from 75.3% to 100.4% compared to the samples prepared in water. The derivatized glyphosate was stable at various acidity and temperature. This method has been successfully applied to the blood samples of lethal intoxication with the herbicide glyphosate.

  • PDF

자연계로부터 분리한 strain YJ에 의한 수소생산에 관한 연구

  • 이기석;곽경오;김성준;정선용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2년도 생물공학의 동향 (X)
    • /
    • pp.407-410
    • /
    • 2002
  • Strain YJ는 혐기 발효에서 glucose를 이용하여 복합 유기산 및 수소를 생산하였다. 2% glucose를 이용할 때 총 38ml의 수소가 생산되었으며, pH 완충제인 인산염을 첨가시켰을 경우 1.21배의 수소가 증가되었다. 4% sucrose를 기질로 이용하였을 때 총 40.5ml의 수소를 생산하였으며, 5% fructose에서 38.1ml의 수소를 생산하였다. Glucose를 이용할 때 이 균주는 butyrate, propionate를 많이 축척하였고, acetate, formate등이 소량 검출되었다.

  • PDF

In vitro 검출시스템을 이용한 한약재 추출물로부터의 에스트로겐 활성의 검증 (Verification of Estrogenic Activities in Ethanol Extracts of Oriental Herbal Medicines using In vitro Detection System)

  • 이상현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054-1058
    • /
    • 2003
  • In order to evaluate the direct effect of estrogenic compounds in oriental herbal medicines, the estrogenic activity was measured using an in vitro detection system. For this system,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MCF7 was transfected using an estrogen responsive CAT reporter plasmid. Estrogenic activities of Platycodi radix, Astragali radix and Glycyrrhizae radix were evaluated using this system. Estrogenic activity of a 500 ㎍/ml ethanol extract of Platycodi radix was as same as that of a 10/sup -8/ M standard solution (17β-estradiol) and activity of a 50 ㎍/ml ethanol extract was between those of a 10/sup -8/ M and a 10/sup -9/ M standard solutions. In addition, estrogenic activity of a 50 ㎍/ml ethanol extract of Platycodi radix was as same as that of a 10/sup -10/ M standard solution. The same activity patterns were observed in the system which was treated by Astragali radix or Glycyrrhizae radix extracts. The most effective activity was observed in a system which was treated by Platycodi radix extract, but the least activity was observed by Glycyrrhizae radix extract. In this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Platycodi radix, Astragali radix and Glycyrrhizae radix extracts possess estrogenic compounds.

진도(珍島) 홍주(紅酒)의 보존중(保存中) 휘발성분(揮發成分)의 변화(變化) (Changes of Volatile Substances in Jindo Hong-Ju on Storage)

  • 정지흔;강성훈;김용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95-299
    • /
    • 1993
  • 술의 향미에 영향을 미치는 휘발성분에 관하여 진도홍주의 보존중 그 함량 변화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Ethanol과 total acid 함량은 보존중 감소현상을 나타내었고, 휘발성분의 함량은 acetaldehyde, fusel oil, acetate, furfural, methanol 순으로 나타났는데 1년 경과 후 methanol은 검출되지 않았고 furfural을 제외한 다른 성분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년 경과 후에는 acetaldehyde는 $21.4{\sim}58.4\;mg%$로 1년 경과 후와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n-propanol, 2-methyl-1-propanol, 2-methyl-1-butanol이 주성분을 이루는 fusel oil은 감소현상을 나타내어 $0.71{\sim}1.03\;mg/ml$ 함량을 보였다. Acetate는 계속 증가현상을 보여 $0.24{\sim}0.52\;mg/ml$로서 초기 함량보다 $4{\sim}6$배 증가하였으며 furfural은 $0.01{\sim}0.02\;mg/ml$로 감소하였다.

  • PDF

재래누룩에서 분리한 곰팡이를 이용한 탁주의 성분분석

  • 민경찬;이선희;박영심
    • 한국식품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학회 2001년도 동계 학술심포지움
    • /
    • pp.122-122
    • /
    • 2001
  • 쌀과 같은 곡류는 전분질을 당분으로 전환시켜 술을 제조하여야 하므로 미생물이 생성하는 효소가 필요한데 그 효소원이 누룩이며 누룩은 주류의 품질이나 생산량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전국44개 지역의 누룩에서 순수 분리된 89종의 곰팡이 중 효소역가와 당화력이 비교적 뛰어난 10종(Aspergillus sp. SH-412 Heunghae, Aspergillus sp. SH-422 Ulsan, Rhizopis sp. SH-606 Imdeok, Aspergillus sp. SH-607 Yhesan, Aspergilus sp. SH-613 Wolseong, Rhizopus sp. SH-654 Uncheon, Aspergillus sp. SH-660 Jeonkok, Aspergillus sp. SH-667 Dongseong, Aspergillus sp. SH-669 Uncheon, Aspergillus sp. SH-696 Daecheon)과 대조균주로 Aspergillus kawachii CF1002 그리고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사용하셨으며 탁주제조 중 균주별 술덧의 산도, 환원당, 아미노산도와 제조된 완성주의 유기산, 유리아미노산, 유리당, 휴젤유 및 색도를 HPLC, GC Mass, 색차계로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균주별 술덧의 주정도는 모든 실험구에서 Aspergillus kawachii보다 높았으며 특히 Aspergillus sp. SH-422는 14.9%로 가장 수율이 좋았다. 환원당은 Aspergillus sp. SH-613이 0.49%로 가장 높았고 Aspergillus sp. SH-422는 0.37%로 가장 낮았으며 산도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했으며 술덧 발효중 아미노산도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약간 상승 후 다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각 균주별 술덧의 유기산은 tata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lactic acid, acet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lactic acid 함량이 2.0∼3.2g/100ml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유기산은 Aspergillus sp. SH-669가 가장 높게 확인되었으며 Aspergillus sp. SH-607이 가장 낮게 분석되었다. 술덧의 주 아미노산은 histidine, alanine, glutamic acid, leucine, tryptophan순으로 검출되었으며 특히 alanine은 주류에 단맛을 주는 성분으로 모든 실험구에서 많은 양이 검출되었다. 각 균주별 술덧의 유리당은 glucose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Fusel oil은 iso-butyl alcohol과 iso-pentyl alcohol 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한편 균주별 술덧의 색차를 측정한 결과 L값은 63.33∼41.98, a값은 0.09∼-3.47, b값은 17.41∼4.90으로 나타났다.

  • PDF

변형된 DVC법을 이용한 난배양성 토양세균의 검출 및 정량적 평가 (The Detection and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Viable but Non-Culturable Soil Bacteria Using a Modified Direct Viable Count Method)

  • 황경숙;양희찬;염곡효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81-186
    • /
    • 2003
  • 형광현미경을 이용한 기존의 직접생균수측정(DVC)법을 변형하여 산림토양의 각 층위에 분포하는 난배양성 토양세균의 정량적 평가를 시도하였다. 기존의 방법에서 사용된 DNA합성저해제(nalidixic acid; 100${\mu}g$/ml, pipemidic acid; 50 ${\mu}g$/ml, piromidic acid; 50 ${\mu}g$/ml)보다 5배 높은 농도를 사용한 결과 토양세균 군집의 세포분열이 배양24시간까지 분히 억제되어 기존의 DVC법보다 10배 이상 높은 계수치를 얻었다. 토양시료를 제균수로 원심 세척한 경우 DVC는 전균수(TDC)의 약 I% 미만을 나타내어 첨가된 기질의 이용능을 정확히 판정할 수 있었다. 형광현미경을 이용하여 DVC법에 의해 검출된 생균수는 전균수의 18-44%를 나타내었고, 평판법(PC)에 의해 계수된 생균수는 전균수의 1% 미만을 나타내어 DVC법이 평판법에 비해 100-2000배 이상 높은 계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는 평판법으로는 배양할 수 없는 난배양성(VBNC)세균이 토양 내에 다수 존재해 있음으로 판단되었고, DVC법에 의해 난배양성 토양세균을 정량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영양기질로써 통상농도의 NB배지와 NB를 $10^{-2}$로 희석한 DNB배지를 사용하여 DVC법과 평판법에 의한 계수 결과를 비교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DNB배지에서의 생균수는 NB배지보다 5~10배 이상 높은 값을 나타내어 산림토양의 각 층위에 저영양세균(oligotrophic bacteria)이 다수 분포해 있음으로 추정되었다.

살균시유(殺菌市乳)의 세균오염원(細菌汚染源)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Sources of Bacterial Contamination in U. H. T. Processed Milk)

  • 김종우
    • 농업과학연구
    • /
    • 제7권2호
    • /
    • pp.103-108
    • /
    • 1980
  • U. H. T. 처리우유(處理牛乳)의 처리공정별(處理工程別) 세균함유수(細菌含有數)를 추적하므로서 살균시유(殺菌市乳)의 세균오염원(細菌汚染源)을 확인(確認)하고 보다 위생적(衛生的)인 시유(市乳)의 생산방법(生産方法)을 검토(檢討)코자 U. H. T. 시유(市乳) 치리장(處理場)에서 각(各) 공정(工程) 처리유(處理乳) 및 용기(容器), 공기(空氣), 처리수등(處理水等)이 함유(含有)하고 있는 중온성균(中溫性菌), 호열성균(好熱性菌), 호냉성균(好冷性菌) 및 대장균등(大腸菌等)의 소장(消長)을 시험(試驗)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U. H. T. 처리중(處理中) 저유(貯乳) tank로부터 예열전(豫熱前) pipe line까지의 우유중(牛乳中)에는 $1.2{\times}10^7{\sim}1.9{\times}10^7/ml$의 중온성균수(中溫性菌數)를 나타내고 있으나 예열(豫熱) 및 균질과정(均質過程)에서 $7.0{\times}10{\sim}3.4{\times}10^2/ml$로 감소(減少)되었고, 균과정(殺菌過程)에서 $1.0{\times}10/ml$ 이하로 격감되었으며 포장과정(包裝過程)에서는 $1.0{\times}10{\sim}1.2{\times}10^2/ml$로 균수(菌數)의 증가(增加)를 나타내었다. 2. 호열성균(好熱性菌)은 저유(貯乳) tank로 부터 예열전(豫熱前) 우유(牛乳)까지 $5.0{\times}10{\sim}1.0{\times}10^2/ml$의 균수(菌數) 나타내었으나 예열(豫熱) 및 균질과정(均質過程)에서는 $3.0{\times}10{\sim}5.0{\times}10/ml$의 균수(菌數)를, 살균기(殺菌機) 및 surge tank에서는 균수(菌數)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포장후(包裝後)에는 $1.0{\times}10{\sim}3.0{\times}10/ml$의 적은 균수(菌數)를 표시(表示)하였다. 3. 호냉성균(好冷性菌)에 있어서는 저유(貯乳) tank로 부터 예열전(豫熱前) 우유(牛乳)까지 $1.0{\times}10^6{\sim}3.7{\times}10^6/ml$의 균수(菌數)를 나타냈으나 예열(豫熱)과 균질과정(均質過程)을 거쳐 $1.0{\times}10{\sim}4.0{\times}10/ml$으로 감소(減少)되었고 살균후(殺菌後)에는 $1.0{\times}10/ml$로 감소(減少)되었다가 포장후(包裝後)에는 $2.0{\times}10{\sim}2.5{\times}10^2$ 까지 증가(增加)되었다. 4. 대장균(大腸園)에 있어서는 예열전(豫熱前)까지 $2.1{\times}10^4{\sim}6.5{\times}10^5/ml$의 균수(菌數)를 나타냈으나 가열처리(加熟處理) 이후(以後)에는 균수(菌數)를 나타내지 않았다. 5. 포장용기(包裝容器), 처리실(處理室) 공기(空氣) 및 처리수(處理水)에 대한 세균(細菌)의 함량조사결과(含量調査結果)에서는 공기(空氣), 처리수(處理水) 및 포장병(包裝甁)에서 $3.0{\times}10{\sim}7.4{\times}10^2$의 중온성균(中溫性菌)을, 공기(空氣)와 세척수(洗滌水)에서 $1.0{\times}10{\sim}3.0{\times}10$의 호열성균(好熱性菌)을, 공기(空氣), 세척수(洗滌水) 및 포장용기등(包裝容器等)에서 $1.0{\times}10{\sim}1.0{\times}10^2$의 호냉성균(好冷性菌)을 발견(發見)할 수 있었고 대장균(大腸菌)은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