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TF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43초

미선나무 미성숙 종자의 항산화 및 미백 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s of Ethyl Acetate Fractions from The Immature Seeds of Abeliophyllum distichum)

  • 장태원;박재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36-544
    • /
    • 2017
  • 미선나무 미성숙 종자는 물푸레나무과의 관목으로 전세계적으로 1속 1종의 중요한 식물자원이다. 대한민국에서는 미선나무 자생지를 보존하고 멸종위기식물로 보호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미선나무 미성숙 종자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 미선나무 미성숙 종자의 항산화 활성과 미백 관련 단백질인 tyrosinase, TRP-1, TRP-2, MITF의 단백질 발현 및 mRNA 수준의 발현 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미선나무 미성숙 종자는 활성산소종에 효과가 뛰어났으며, 활성산소종은 노화, 염증, 암 등 다양한 질병을 야기시킨다. 항산화 활성은 DP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환원력을 평가하였으며, 이러한 활성은 페놀류 화합물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페놀류 화합물은 천연 폴리페놀이라고 불리는 파이토케미칼로서 다양한 환경적 요인에 의한 식물 방어 기작의 일환으로 생성되는 2차 대사산물이다. 페놀류 화합물은 노화, 항암을 포함한 많은 인간의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미선나무 미성숙 종자는 tyrosinase, TRP-1, TRP-2 단백질 및 mRNA를 조절하였으며, 이러한 요인은 멜라닌 생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의 단백질 및 mRNA를 억제하였다. MITF는 Tyrosinase, TRP-1, TRP-2의 발현과 전사에 연관된 인자로 알려져 있다. 미선나무 미성숙 종자의 미백활성, 페놀류 화합물, 항산화 활성 사이의 연관관계를 확인하였으며, 결론적으로 미선나무 미성숙 종자는 천연 식물 자원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항산화제 및 피부 미백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적양 추출물의 멜라닌 합성 저해효과 (The Inhibitory Effects of Alnus Japonica Steud. Extract on Melanogenesis)

  • 이준영;임경란;정택규;윤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59-16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미백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적양 에탄올추출물을 효소처리 후 EtOAc 분획물(AJE)을 준비하여 in vitro 상에서 이들의 tyrosinase 저해활성과 세포 수준에서의 멜라닌 합성 저해효과를 측정하였다. AJE는 mushroom tyrosinase의 활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B16-F1 melanoma cell을 이용한 멜라닌 합성 저해효과에 있어서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여, $40{\mu}g/mL$의 농도에서 52% 이상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멜라닌 합성 저해효과에 대한 작용 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western blot을 통해 멜라닌 합성 경로에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멜라닌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tyrosinase related protein 1 (TRP-1)의 발현을 억제하였고, 이를 조절하는 전사인자인 microphthalmia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발현 역시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pathway를 활성화시킴으로써 phosphorylate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p-ERK)의 발현을 상당히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AJE가 멜라닌 합성의 신호전달 경로 중 ERK pathway의 활성화를 통해 MITF의 분해를 촉진시키고 이로 인해 MITF의 발현을 감소시키며, 그 결과 멜라닌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 중 TRP-1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따라서 AJE는 미백용도의 기능성 원료로서의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꽃송이버섯에서 추출한 β-glucan의 tyrosinase 활성과 멜라닌 합성 억제 효능 (Inhibitory Effect of β-Glucan Extracted from Cauliflower Mushroom Sparassis crispa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Synthesis)

  • 오철현;구미정;이용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1호
    • /
    • pp.1019-1027
    • /
    • 2021
  • 천연물에서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진 화합물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꽃송이 버섯(Sparassis crispa)은 β-glucan의 함량이 건조중량의 40% 이상으로서 항암과 면역증강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입증되어 약용으로도 인정받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S. crispa β-glucan의 멜라닌 생합성 및 tyrosinase 활성억제 효능을 확인함으로써 피부 미백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외부 자극제인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α-MSH)와 S. crispa β-glucan (10, 100, 1,000 ㎍/ml)을 B16F1 melanoma 세포에 투여하여 멜라닌 생성량과 tyrosinase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Tyrosinase,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TRP-2,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의 발현정도에 대해서는 western blot으로 분석하였다. S. crispa β-glucan을 10, 100, 1,000 ㎍/ml의 농도로 투여하였을 때 α-MSH 만 투여군에 비하여 멜라닌 생성이 각각 13.9%, 18.7%, 39.5% 감소하였다. S. crispa β-glucan을 10, 100, 1,000 ㎍/ml의 농도로 투여하였을 때 β-glucan을 투여하지않은 α-MSH 유도군에 비하여 tyrosinase 활성도는 각각 15.6%, 26.9%, 43.2% 억제되었다. 또한 tyrosinase와 TRP-1, TRP-2, MITF 단백 발현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S. crispa β-glucan은 MITF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tyrosinase 발현을 감소시켜 멜라닌 생성을 억제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S. crispa β-glucan은 미백제로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멜라노마 세포에서 가미소요산(加味逍遙散)의 MITF, TRP-1, TRP-2, Tyrosinase mRNA 발현 억제 효과 (Inhibition Effect of Gamisoyo-san on MITF, TRP-1, TRP-2, Tyrosinase mRNA Expression in Melanoma Cells (B16F10))

  • 주다혜;이수연;유단희;이진영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57-163
    • /
    • 2014
  • Objectives : Gamisoyo-san complex prescription were made with Angelicae Gigantis Radix, Paeoniae Radix, Atractylodes rhizome white, Hoelen, Bupleuri Radix, Moutan Cortex Radicis, Gardeniae Fructus, Zingiberis Rhizoma Crudus, Menthae Herb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whitening effect of the extract from Gamisoyo-san, which is one of the used herbal complex prescription. Methods : This study investigated inhibitory effect of Gamisoyo-san in tyrosinase activity. Cell viability were performed using the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Then, Gamisoyo-san measured reversed-transcription-PCR for mRNA expression using B16F10 mouse melanoma cells. Results : For whitening effects, the tyrosinase inhibition effect of extract was shown to 52.4% at $5,000{\mu}g/m{\ell}$ concentration. The cell viability on B16F10 melanoma cells of Gamisoyo-san extract showed higher than 75% at $1,000{\mu}g/m{\ell}$ concentration. In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performed by setting the non-toxic concentration range of 50, 150, $250{\mu}g/m{\ell}$. The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GAPDH)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The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 tyrosinase mRNA expression inhibitory by reverse transcription-PCR of Gamisoyo-san extract were decreased by 95.3%, 98.8%, 96.3% and 49.5% at $250{\mu}g/m{\ell}$ which the highest concentration. Conclusions : All these findings could verify that whitening effects of Gamisoyo-san extract by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nd mRNA expression. The Gamisoyo-san could be used as material for functional cosmetics, such as skin whitening products.

매괴화(玫瑰花) 에탄올추출물이 α-MSH로 유도된 과색소 형성 억제와 작용기전 연구 (Inhibitory Effect of the Ethanol Extract of Rosae rugosae Flos on the Hyperpigmentation and its Action Mechanism Induced by α-MSH)

  • 이진호;인명희;강석훈;문연자;우원홍;임규상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1-52
    • /
    • 2015
  • Objectiv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hibitory mechanism of the hypopigmentating effects on ethanol extract of Rosae rugosae Flos (ERR) that has not yet been examined. Methods : We analyzed the anti-melanogenic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Rosae rugosae Flos by tyrosinase activity, melanin contents. We also examined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tyrosinase, TRP-1, TRP-2, MITF and ERK by western blot analysis in melanoma cells. Results : In this investigation, ERR effectively reduced ${\alpha}$-MSH-stimulated melanin synthesis by suppressing expression of tyrosinase and tyrosinase-related protein-1 (TRP-1). On the other hand, the expression of tyrosinase-related protein-2 (TRP-2) were not affected by treatment with ERR. ERR inhibited the expression o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as a key transcription factor for tyrosinase expression regulating melanogenesis. The upstream signaling pathway including cAMP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 (CREB) and MAPKs were also inhibited by ERR. Pretreatment with PD98059, ERK inhibitor, attenuated the inhibitory effect of ERR on ${\alpha}$-MSH-induced tyrosinase activity. Conclusions : Our study suggested that the anti-melanogenic activity of ERR is correlated with the suppression of tyrosinase gene through CREB/MITF/ERK pathway.

Artemisia capillaris Thunb. inhibits melanin synthesis activity via ERK-dependent MITF pathway in B16/F10 melanoma cells

  • Saba, Evelyn;Oh, Mi Ju;Lee, Yuan Yee;Kwak, Dongmi;Kim, Suk;Rhee, Man Hee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1-7
    • /
    • 2018
  • Genus Artemisia occurs as a hardy plant and has a wide range of culinary and medicinal features. In this study, we aimed to describe the melanin inhibitory activity of one Artemisia species, i.e., Artemisia capillaris Thunb. Ethanol extracts of fermented Artemisia capillaris (Art.EtOH.FT) and non-fermented Artemisia capillaris (Art.EtOH.CT) were tested for their ability to inhibit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pigmentation. Both extracts showed dose-dependent inhibition against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stimulated melanin formation and tyrosinase activity, without cytotoxicity. At $100{\mu}g/mL$, both extracts showed greater inhibition than kojic acid, the positive control. Protein expressions o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tyrosinase (TYR),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RP-1), and tyrosinase-related protein 2 (TRP-2) at the transcriptional level were determined by using real-time and semi-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To complete the mechanistic study, presences of upstream elements of MITF, the phosphorylated-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p-ERK), and phosphorylated-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kinase (p-MEK) were confirmed by using western blot analysis. Expressions of p-TYR, p-TRP-1 and p-TRP-2, downstream factors for p-ERK and p-MITF, were translationally inhibited by both extracts. Art.EtOH.FT induced more potent effects than Art.EtOH.CT, especially signal transduction effects. In summary, Artemisia capillaris extracts appear to act as potent hypopigmentation agents.

Effects of phenolics from Oplismenus undulatifolius in α-MSH-stimulated B16F10 melanoma cells

  • Park, Hye-Jin;Lee, Eun-Ho;Jung, Hee-Young;Kang, In-Kyu;Cho, Young-Je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1호
    • /
    • pp.89-93
    • /
    • 2020
  • In this study, the efficacy of melanoma cell B16F10 was investigated using the Korean native plant Oplismenus undulatifolius (OU). First, the cell viability of the extract was more than 90% when treated with 15 ㎍/mL of phenolics from OU. The results showed that melanin biosynthesis and cellular tyrosinase synthesis were inhibited by treatment with α-melanocyte-stimulating hormone-stimulated mouse melanoma cell B16F10 at a concentration of 15 ㎍/mL of phenolics for cell-line efficacy.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 (TRP)-1, TRP-2, and microphthalmia transcription factor (MITF) protein was confirmed by western blo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enolics from OU on melanin biosynthesis. When treated with phenolics from OU 15 ㎍/mL, tyrosinase, TRP-1, TRP-2, and MITF decreased the protein expression level. In particular, tyrosinase, TRP-1, and MITF inhibited the production amount to a level similar to that of the non-treated normal group, indicating that the effect was excellent. Therefore, phenolics from OU acts as an inhibitor of tyrosinase, TRP-1, TRP-2, and its transcription factor MITF, and participates in melanin biosynthesis mechanism. These results suggested the potential for development as a material.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L.) 꽃(괴화)과 열매(괴각)의 미백활성 평가 (Evaluation of Whitening Activities of Flower and Fruit of Sophora japonica L.)

  • 장태원;박재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2-28
    • /
    • 2017
  • 회화나무는 한의학에서 간과 혈관계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어온 약용 식물로, 그 꽃과 열매를 괴화와 괴각이라 한다. 괴화와 괴각은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얻어 시료로 사용하였고, B16 F10 세포를 이용하여 Western blot을 실행하였다.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tyrosinase, TRP-1, TRP-2, MITF 단백질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괴화와 괴각 추출물은 세포 생존율에는 영향이 미미하였으며, 모두tyrosinase, TRP-1, TRP-2, MITF 단백질의 발현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던 괴화와 괴각은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와 같은 천연식물 유래 자원으로 상당한 가치를 나타냈다.

멜라노마 세포에서 당귀추출물의 MITF, TRP-1, TRP-2, tyrosinase mRNA 발현 억제 효과 (Inhibitory Efficacy of Angelica gigas Nakai on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 and Tyrosinase mRNA Expression in Melanoma Cells (B16F10))

  • 이수연;이진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1호
    • /
    • pp.1336-1341
    • /
    • 2013
  • 아시아에서 한방약초로 널리 알려진 당귀 추출물의 미백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1,000 ${\mu}g/ml$의 농도에서 7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당귀 추출물에 대한 멜라노마 세포(B16F10)의 세포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500 ${\mu}g/ml$의 농도에서 99% 이상의 세포생존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백 관련 인자인 MITF, TRP-1, TRP-2 및 tyrosinase의 mRNA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50 ${\mu}g/ml$의 농도에서 각각 85.7%, 123.9%, 68.8%, 208%로 당귀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보다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당귀 추출물이 melanin 합성과 관련이 있는 유전자 발현의 억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미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라비올라 잎(Annona muricata L.) 조다당 분획분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s from Annona muricata L. on melanogenesis)

  • 김이은;변의홍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52-57
    • /
    • 2019
  • 본 연구는 그라비올라 잎 조다당 분획물(ALP)의 멜라닌 저해활성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B16F10 melanoma 세포의 세포 생존율, tyrosinase 저해활성, 멜라닌 함량, 멜라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단백질(TRP-1, TRP-2, tyrosinase, MITF 및 p-CREB)의 발현을 관찰하였다. ALP의 tyrosinase 활성 저해능을 측정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B16F10 세포에 ALP를 처리하여 멜라닌 활성 저해능에 관하여 알아봤을 때, tyrosinase, 멜라닌 함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ALP가 미백과 관련된 TRP-1, TRP-2, tyrosinase, MITF 및 p-CREB의 단백질 발현양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ALP는 멜라닌 저해 활성을 효과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보아 기능성 미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