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 tricuspidata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7초

꾸지뽕 열매 추출물이 인간 유래 각질 형성 세포의 밀착연접에 미치는 영향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Cudrania tricuspidata fruit on tight junction in human keratinocyte)

  • 이상수;최선경;김재환;한효상;김기광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9-107
    • /
    • 2019
  • Objectives : Cudrania tricuspidata (C. tricuspidata) is well-known traditional herbal remedy and its root, leaf and fruit were used for treatment of inflammation, tumor and painkilling. However, effect of C. tricuspidata fruit on tight junction is still unknown.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C. tricuspidata fruit extract on human keratinocyte HaCaT cells. Methods : The antioxidant effects of water extract of C. tricuspidata (WECT) and ethanol extract of C. tricuspidata (EECT) were analyzed by using an ABTS assay. To confirm the cytotoxicity of WECT and EECT, MTS assay was performed.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tight junction related genes were analyzed using quantitative RT-PCR analysis. Furthermore, dispase assay was used to investigate the alteration of cell-cell adhesion strength of EECT treated HaCaT cells. Results : WECT and EECT showed strong antioxidant activity. No obvious cytotoxicity was observed in both WECT and EECT until $2.0mg/m{\ell}$ concentration.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Claudin 6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EECT treatment, whereas the WECT did not affect the expression of Claudin 6. Furthermore, EECT treatment enhances cell-cell adhesion strength. Conclusions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of Cudrania tricuspidata fruit extracts on human keratinocytes by two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EECT might have an anti-aging activity on the skin by reducing oxidative stress. Moreover, it may be a useful ingredient in atopic dermatitis and skin-moisturizing, given its effects of altering Claudin 6 gene expression and enhancing cell-cell adhesion strength.

Xanthone and Flavonoid Derivatives from the Leaves of Maclura tricuspidata with Antioxidant and Anti-tyrosinase Activity

  • Jo, Yang Hee;Lee, Solip;Ryu, Se Hwan;Yeon, Sang Won;Turk, Ayman;Hwang, Bang Yeon;Lee, Mi Kyeong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7권4호
    • /
    • pp.234-239
    • /
    • 2021
  • Masclura tricuspidata, also called as Cudrania tricuspidata, is one of the most common Moraceae family plants in East Asia. Its trivial name follows mulberry due to the similar morphology. Investigation of the bioactive constituents of M. tricuspidata leaves yielded a new xanthone derivative along with twenty known compounds through various chromatographic techniques. A new compound was defined as mascluraxanthone (3), a prenylated xanthone glucoside on the basis of 1D and 2D NMR and MS data. Twenty known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four xanthone derivatives (1-2 and 4-5), two flavans (6-7), six flavanol derivatives (8-13), a flavonone (14) and seven flavonol derivatives (15-21). Among the isolated compounds, flavanol and flavonoid derivatives with 3',4'-OH groups showed antioxidant and anti-tyrosinase activities. Conclusively, the leaves of M. tricuspidata are rich in aromatic compounds including xanthones and flavonoids. In addition, these constituents showed antioxidant and anti-tyrosinase potentials, which might be useful for oxidative stress related diseases.

뽕나무(Morus alba)와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의 부위에 따른 항산화 활성 및 3T3-L1세포 지방축적 억제 효과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Inhibitory Effects on Lipid Accumulation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Morus alba and Cudrania tricuspidata)

  • 김건희;김은향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8-147
    • /
    • 2019
  • In this study, we examined antioxidative effects and the anti-adipogenesis effect of different parts of Cudrania tricuspidata (C), and Morus alba (M).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highest in M-root ($34.56{\pm}0.045mg\;GAE/g$),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root and M-leaf. Total flavonoid contents of C-root were highest ($23.07{\pm}0.004mg\;QE/g$). To examine antioxidant activities of C and M extracts,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RAP assay, was used. Results show that antioxidant activities of C and M extracts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dipocytes are generated by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during adipogenesis. Matured adipocytes accumulate in abnormal and cause obesity. We investigated effects of leaf and root extracts of C and M, on lipid 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s. Changes in cell morphology, and degrees of lipid accumulation in adipocytes, were evaluated by Oil Red O staining. Root extracts of C and M, reduced lipid content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refore, root extracts of C and M, may be good candidates for managing obesity.

뽕나무(Morus alba)와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의 수용성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by Water-Soluble Extracts of Morus alba and Cudrania tricuspidata)

  • 김현정;차재영;최명락;조영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2호
    • /
    • pp.148-152
    • /
    • 2000
  • 뽕나무(Morus alba) 및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의 잎과 줄기 껍질의 수용성 추출물에 대하여 in vitro 실험계에서 항산화 활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성장기 마우스의 간장 microsome을 이용한 생체막 지질 과산화 억제정도는 꾸지뽕나무 줄기 껍질(53%)>뽕나무 줄기 껍질(43%)>꾸지뽕나무 잎(38%)>뽕나무 및(34%) 순으로 나타났다. Linoleic acid산화 실험계에서는 꾸지뽕나무 줄기 껍질과 뽕나무 잎의 추출물이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꾸지뽕나무 줄기 껍질의 추출물은 반응 8일째까지 강한 활성을 보였다. TBA method에서는 뽕나무 줄기 껍질이 다른 것에 비해 약간 강한 활성을 보였으며, 또한 DPPH에 의한 수소공여능은 각 시료첨가 0.05%에서 뽕나무 잎>꾸지뽕나무 잎>통나무 줄기 껍질>꾸지뽕나무 줄기 껍질 순으로 나타나 및 추출물에서 비교적 수소공여 작용이 강하였다. 이들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뽕나무 잎(1.32%), 뽕나무 줄기 껍질(1.28%), 꾸지뽕나무 잎(1.34%), 꾸지뽕나무 줄기 껍질(1.30%)로 큰 차이가 없었다.

  • PDF

담쟁이덩굴의 항산화 방어계의 탐색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Defense Systems from Parthenocisuss tricuspidata PLANCH)

  • 정형진;김충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6-123
    • /
    • 2001
  • 담쟁이 덩굴 추출물로부터 항암예방제로서의 물질을 탐색코자 항산화 비효소활성 및 효소활성을 조사해 본 결과, 부위별 항산화력 및 효소활성들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부위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잎에서 DPPH 소거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서 잎, 줄기, 뿔리에서 각각 7.06, 6.99, 12.39($\mu\textrm{g}/m\ell$)이었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활성이 가장 높은 분획을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로 분리 정제한 결과 잎, 줄기 그리고 뿔리에서 각각 5.5, 6.11, 5.29 ($\mu\textrm{g}/m\ell$)의 DPPH 활성이 높은 분획을 얻었다. Sephadex LH-20에 의해 활성이 가장 높은 분획을 GC/MS로 분석한 결과, Benzoic acid(Gallic acid), 1,2,3-Benzenetriol, 4-amino-Benzenemethanol과 같은 페놀화합물의 항산화물질들이 동정되었다. 줄기와 뿌리에서 POD활서은 잎에서 보다 활성이 높았고, SOD 활성은 잎, 줄기 그리고 뿌리 순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잎은 뿌리보다 2배 이상의 높은 활성을 보였다.

  • PDF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의 세포 보호 작용과 항산화 활성 (Cellular Protective and Antioxidative Acivities of Parthenocissus tricuspidata Stem Extracts)

  • 조나래;박민아;채교영;박수아;전소하;하지훈;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25-23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의 HaCaT 세포와 사람 적혈구 세포에서의 세포 보호 효과 및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HaCaT 세포를 이용한 실험에서,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아글리콘 분획은 각각 $50{\mu}g/mL$$25{\mu}g/mL$의 농도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10 mM의 $H_2O_2$$30{\mu}M$의 rose bengal을 HaCaT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에틸아세테이트 분획($6.25{\sim}50{\mu}g/mL$) 및 아글리콘 분획($6.25{\sim}25{\mu}g/mL$)은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를 보호하였다. 적혈구 광용혈에서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은 $10{\mu}g/mL$의 농도에서 대표적인 지용성 항산화제인 ${\alpha}$-토코페롤보다도 큰 세포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_{50}$)은 $18.5{\mu}g/mL$를 나타내었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의 총항산화능($OSC_{50}$)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경우 $1.72{\mu}g/mL$, 아글리콘 분획은 $1.53{\mu}g/mL$로 대표적 항산화제인 L-ascorbic acid ($OSC_{50}=1.50{\mu}g/mL$)와 유사한 항산화능의 크기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이 ROS에 대항하여 세포를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세포보호제 및 천연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르킨다.

꾸지뽕나무 뿌리 열수추출물로부터 미백 및 주름개선 화장품 소재의 개발 (Cudrania tricuspidata Root Extract as Whitening and Antiwrinkle Cosmetic Agent)

  • 신혜진;정향리;황단비;김동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2권6호
    • /
    • pp.701-70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꾸지뽕나무의 뿌리, 줄기, 열매 및 잎으로부터 유효성분을 열수 추출하고 다양한 화장품 소재 시험을 실시하여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세포독성시험에서 꾸지뽕나무의 뿌리, 줄기 그리고 열매 추출물은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잎 추출물은 $200{\mu}g/ml$ 이상의 농도에서 다소의 독성을 나타내었다. 꾸지뽕나무 뿌리추출물은 $500{\mu}g/ml$의 농도에서 81%의 tyrosinase 억제효과(미백효과)와 58%의 elastase 억제효과(주름개선효과)를 나타내었고, UVB 자외선 흡수능도 다소 보여주었다. 21일간의 온도 안정성 시험 결과, 꾸지뽕 뿌리 추출물을 포함한 액제와 로션제형은 $25^{\circ}C$에서는 안정하였으나 $47^{\circ}C$에서 점도와 입자크기가 불안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꾸지뽕 뿌리추출물은 높은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우수한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어 천연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높은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기능성자원 구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톱밥의 첨가량에 따른 느타리버섯의 재배적 특성 (Cultural characteristics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on addition rate of Cudrania tricuspidata)

  • 이찬중;전창성;정종천;공원식;서장선;박기춘;박춘근;신유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29-135
    • /
    • 2012
  • 기능성 느타리버섯 재배를 위하여 국내에서 자생하는 구지뽕나무 톱밥의 적정 첨가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지뽕나무 톱밥의 수분함량은 6.4%였고, pH는 7.0이였다. 총질소함량은 0.27%였고, 총탄소함량은 40.9%였으며, C/N율은 152%였다. 혼합배지의 pH는 4.9~5.0이였으며, 총질소함량은 수확후배지에서 증가하였지만 C/N율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무기성분인 $P_2O_5$, CaO, MgO, $Na_2O$, $K_2O$함량은 구지뽕나무 톱밥의 첨가비율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느타리버섯 균사생장은 구지뽕나무 톱밥 10% 첨가에서 가장 빨랐지만, 다른 처리구는 대조구보다 균사 생장이 느렸다. 자실체 수량은 구지뽕나무 톱밥 20% 첨가시 $162g/850m{\ell}$로 가장 높았다. 갓의 크기와 두께는 구지뽕나무 톱밥의 첨가비율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대의 굵기와 길이는 구지뽕나무 톱밥 20% 첨가에서 가장 높았다. 대의 경도는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갓의 경도는 구지뽕나무 톱밥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수확기 갓과 대의 색도는 구지뽕나무 톱밥 20% 첨가에서 L값이 가장 높았지만, a, b값은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자실체의 무기성분과 미량원소의 함량은 구지뽕나무 톱밥 30% 첨가에서 약간 높았다.

건조방법에 따른 꾸지뽕열매 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 저해활성 (Antioxidant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 Inhibitory Activities of Extracts from Mulberry (Cudrania tricuspidata) Fruit subjected to Different Drying Methods)

  • 윤광섭;김재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0호
    • /
    • pp.1388-1394
    • /
    • 2012
  • 건조 꾸지뽕나무 열매의 기능성 소재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70% ethanol 추출물에 대한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실험군은 꾸지뽕나무 열매 동결건조분말 70% ethanol 추출물(ECFD), 열풍건조분말 70% ethanol 추출물(ECHD), 적외선건조분말 70% ethanol 추출물(ECID)을 각각 동결건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수율은 적외선건조에서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색도는 $L^*$, $a^*$, $b^*$$H^{\circ}$ 값 모두 열풍건조 및 적외선건조에서 감소하였으며,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적외선건조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은 적외선건조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력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적외선건조, 열풍건조, 동결건조 순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은 동결건조에서는 611.97 mUnit, 열풍건조에서는 723.02 mUnit, 적외선건조에서는 891.93 mUnit로 열풍건조 및 적외선건조가 동결건조에 비하여 각각 18.15% 및 45.75%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ferrous ion chelating 효과에서는 동결건조(52.36%)>적외선건조(47.16%)>열풍건조(30.04%)의 순으로 동결건조 처리구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ACE 저해활성에서는 열풍건조 및 적외선건조가 동결건조에 비하여 각각 9.30% 및 30.88%가 증가하였으며, XO 저해 활성에서는 열풍건조 및 적외선건조가 동결건조에 비하여 각각 5.09% 및 9.02%가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 적외선 건조 처리한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은 다양한 항산화 활성 증대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산화적 손상 예방 소재개발에 활용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꾸지뽕잎(Cudrania tricuspidata) 추출물의 3TS-L1 세포 분화 억제 (Inhibition of Adipogenesis in 3T3-Ll Adipocytes with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Cudrania tricuspidata Leaves)

  • 도건표;이혜진;도정룡;김현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44-249
    • /
    • 2011
  • 꾸지뽕잎의 물 및 70%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세포의 독성 및 지방생성에 미치는 영향과 DNJ 함량과 rutin 함량을 측정하였다. Cell viability test에서 꾸지뽕잎 추출물 0.5-5 mg/mL의 농도일 때 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세포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다고 판단되었다. 동일한 농도로 3T3-L1 지방세포의 지방축적에 미치는 영향은 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축적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출물 농도가 5mg/mL 일 때, 물 추출물은 86%, 에탄올 추출물 50%의 지방축적을 보였다. DNJ 함량은 꾸지뽕잎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3921.3{\mu}g/g$로 높았고 rutin의 함량은 꾸지뽕잎의 물 추출물에서 $4592.9{\mu}g/g$로 높게 나타냈다. 따라서 꾸지뽕잎 추출물에는 기능성 성분인 DNJ 함량과 rutin 함량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지방의 축적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어 비만과 대사관련 질환개선을 위한 기능성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