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C

검색결과 39,934건 처리시간 0.06초

흰쥐 뇌하수체 전엽세포에서 PKC나 cAMP에 의한 LH 분비 및 $LH{\beta}$ Subunit mRNA 증가에 미치는 $Ca^{++}$의 영향 (Effects of Extracellular $Ca^{++}$ on PKC or cAMP-stimulated Increases in LH Release and $LH{\beta}$ Subunit mRNA Levels in Rat Anterior Pituitary Cells)

  • 박덕배;김창미;천민석;유경자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47-355
    • /
    • 1996
  • 흰쥐 뇌하수체 전엽배양세포에서 PKC나 cAMP에 의한 LH 분비와 $LH{\beta}$subunit mRNA 증가과정에서 세포외 $Ca^{++}$의 역할을 검증하기 위하여 phorbol ester와 forskolin에 의해 촉진된 LH 분비와 $LH{\beta}$ subunit mRNA 수준에 미치는 EGTA와 verapamil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Forskolin에 의해 촉진된 LH 분비와 $LH{\beta}$ subunit mRNA 수준은 $Ca^{++}$ chelator인 EGTA나 $Ca^{++}$ 채널차단제인 verapamil의 처리로 세포외부로부터 $Ca^{++}$의 이동을 억제시켰을때 모두 감소하였다. PMA에 의해 유도된 LH 분비는 EGTA와 verapamil 처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PMA에 의해 촉진된 $LH{\beta}$ subunit mRNA는 억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 의하면 PKC 활성화나 세포내 cAMP 농도 증가는 $LH{\beta}$ subunit mRNA 수준을 증가시키며 이러한 과정은 세포외 $Ca^{++}$ 의존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PKC 활성화나 cAMP 증가에 의한 세포외 $Ca^{++}$의 역할이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인다. PKC 활성화에 의한 LH 분비는 세포외 $Ca^{++}$에 비의존적이나 cAMP에 의해 촉진된 LH 분비는 세포외 $Ca^{++}$ 유입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 M11C(비렉틴 구성물질)의 생쥐 비장 대식세포로부터 Tumor Necrosis $Factor-{\alpha}$ 분비효과와 생쥐에 Sarcoma 180으로 유도된 육종암의 성장 억제효과 (The Effect of Korean Mistletoe Extract M11C (Non-Lectin Components) on the Tumor Necrosis $Factor-{\alpha}$ Secretion from Mouse Splenic Macrophages and on the Inhibition of Sarcoma 180-Induced Tumor Growth in Mice)

  • 성기태;강태봉;전명하;장성호;이준호;김종배;최완수;유영춘;성낙술;이성태;성현제;허억
    • 생약학회지
    • /
    • 제34권3호통권134호
    • /
    • pp.210-217
    • /
    • 2003
  • Korean mistletoe (Viscum album) extract has been found to posses immunostimulatory activity. In this study, Korean mistletoe extract, M11C (non-lectin components), was used to know whether this extract might activate mouse splenic macrophages to produce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alpha}$) and might play a role in anticancer. To know the effect of M11C on the production of $TNF-{\alpha}$, the splenic macrophages were treated by the M11C, and then collected the supernatant (M11C stimulated splenic macrophage-conditioned media; MSCM). MSCM was analyzed for the $TNF-{\alpha}$ secretion by means of ELISA and immunoblotting, and mRNA expression was analyzed by RT-PCR. The S-180 murine sarcoma model was established to know the effect of M11C on the inhibition of tumor growth. M11C had the effect of $TNF-{\alpha}$ production from splenic macrophages performed by ELISA technique. This ELISA data was reconfirmed by immunoblotting assay. The effects of M11C on the expression of $TNF-{\alpha}$ mRNA from the macrophages was also shown. M11C also had the inhibitory effect of S-180 tumor growth. These data suggest that Korean mistletoe extract M11C may be used for an immunomodulator.

Carbon Nanotube/Nafion Composites for Biomimetic Artificial Muscle Actuators

  • Lee, Se-Jong;Yoon, Hyun-Woo;Lee, Deuk-Yong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198-201
    • /
    • 2007
  • Multi-walled carbon nanotube (M-CNT)/Nafion nanocomposites were prepared by solution casting to elucidate the effect of M-CNT addition, from 0 to 7 wt%, on the viscoelastic behavior of the composites. The M-CNT bundles induced by the Nafion polymer were determined to be uniformly distributed for the 1 wt% M-CNT/Nafion nanocomposites. The 1 wt% M-CNT/Nafion composite exhibited the highest blocking stress of 2.3 kPa due to its high elastic modulus of 0.485 GPa. From a dynamic mechanical analysis, the 1 wt% M-CNT had the highest storage and loss moduli compared with the other samples in all frequency and temperature ranges. From the storage modulus data, the M-CNT loaded composites had similar $T_g$ values near $120^{\circ}C$.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of the M-CNT loaded composites were $120^{\circ}C$ (1 wt%), $117^{\circ}C$ (3 wt%), $117^{\circ}C$ (5 wt%), and $135^{\circ}C$ (7 wt%), suggesting that the effect of the M-CNTs on the Nafion film begins at 1 wt%. Thus, it has been concluded that the 1 wt% M-CNT disported composite is attractive for actuator applications.

ON A QUASI-POWER MODULE

  • PARK CHIN HONG;SHIM HONG TAE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17권1_2_3호
    • /
    • pp.679-687
    • /
    • 2005
  • In this paper we shall give a new definition for a quasi-power module P(M) and discuss some properties for P(M). The quasi-power module P(M) is a direct sum of invertible quasi-submodules C(H)'s of P(M) and then the quasi-submodule C(H) is also a direct sum of strongly cyclic quasi-submodules of C(H). When M is a quasi-perfect right R-module, we shall see that the quasi-power module P(M) is invertible.

M/M/s/s + c 대기시스템 재방문 (M/M/s/s + c Queueing System Revisited)

  • 김성철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49-58
    • /
    • 1996
  • The generalized Erlang loss function, extensively studied in the literature, is revisited. We study the steady state loss probability in M/M/s/s + c queueing system and prove that it satisfies the first and second order properties in integral number of servers as well as integral queue capacities. Also we study the problem of allocating integral number of servers and queue capacities, and develop an algorithm to obtian an optimal allocation of them individually and jointly with the small number of computations.

  • PDF

금정산과 아홉산의 대사초 집단의 공간적 분포 양상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the Populations of Carex siderosticta at Mt. Geumjeong and Mt. Ahop)

  • 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69-375
    • /
    • 2015
  • 식물 보존의 권고지역에서 식물 집단의 공간적 데이터는 여러 목적에서 중요하다. 부산광역시 금정산과 아홉산 의 대사초(Carex siderosticta)의 지리적 거리에 따른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였다. 공간적 양상의 분석 방법은 여러 패치 척도, 분산 척도에 의거한 plot(플롯)의 크기에 따라 집단의 균질성 또는 운집을 분석하였다. 대사초의 많은 자연 플롯은 산림군락에서 균질하지 않았다. 예를 들면 균질한 플롯은 6.0 m $\times$ 6.0 m 이내였다. 플롯의 크기가 6.0 m $\times$ 12.0 m 이상이면 운집되었다. 대사초의 이웃 패치는 평균 7.5 m에서 9.0 m사이였다. 그런데 자연집단이 인간의 활동에 의해 교란되면 운집은 9.0 m보다 짧은 거리에서 일어났다. 결론적으로 대사초의 지리적 분포는 플롯의 밀도에 균질하지 않았고 금정산과 아홉산 집단에서 집단 크기에 따라 다르며 인간의 간섭은 플롯에서 밀도 효과를 일으킨다.

PCP와 DDT의 독성이 담수어에 미치는 영향 (Bioassay Study on fresh Water Fish with PCP and DDT)

  • Byung Soo Yang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7권2호
    • /
    • pp.77-83
    • /
    • 1981
  • 하천 오염에서 문제시되고 있는 유기오염 물질인 PCP 와 DDT의 환경기준을 평가하고 담수어 어종간의 독성에 대한 저항성을 연구하였다. 각 어종에 대하여 24, 48, 72 및 96시간의 TL sub(m) 값을 산출하였던 바 오염물질에 대한 저항성은 오염물질의 성상에 따라 상이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실험한 10종의 담수어중 PCP 및 DDT에 저항성이 약한 어종은 N. Chrysophekadion으로 96 h-TL 하(m) 값은 0.065mg/l 과 0.0044mg/l으로 각각 나타났으며 PCP에 저항성이 강한 어종은 T. nilotica로서 96 h-TL 하(m) 값은 0.264mg/l이었으나, DDT에 대해서는 C. Siamensis로서 96 h-TL 하(m) 값은 0.0133mg/l로 평가되었다.

  • PDF

카약 1000m 경기 랩타임 분석을 통한 경기력 향상 방안 모색 (A Study on the Enhancement of Athletic Performance by Analyzing Lap Times in Kayak 1000m Sprint)

  • 신광택;손지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01-307
    • /
    • 2019
  • 본 연구는 카약 K-1 1000m 경기에서 우수선수 그룹과 비우수선수 그룹의 랩타임을 비교 분석한 후 경기력 향상을 위한 페이스 조절 전략에 대한 조언을 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1000m 전체 경기구간을 100m 씩 10개 구간으로 나누어 측정한 후, 200m 단위로 랩타임을 분석하였다. 측정은 엘리트 카약 선수 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최종 기록 순위를 기준으로 A그룹(최상위 그룹), B그룹(차상위 그룹), C그룹(차하위 그룹), D그룹(최하위 그룹)으로 나누어 그룹별-구간별 랩타임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해 반복측정분석,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A vs. C, B vs. C 그룹 간 스타트 구간(0~200m)과 스퍼트 구간(800~1000m)은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200~400m, 400~600m 구간에서 랩타임 차이가 유의하게 났다. D그룹은 전 구간에서 전반적으로 경기력이 떨어졌다. 비우수선수의 경우, 중간 구간에서의 랩타임 기록 향상을 위한 페이스 조절 전략 수정이 필요하다.

MLO View의 유방촬영에서 QC 프로그램을 이용한 선량 및 영상 평가 (Evaluation of Radiation Dose and Imaging of the QC Program in Mammography MLO View)

  • 이선화;김정민;권대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8권3호
    • /
    • pp.221-228
    • /
    • 2015
  • 목적: 디지털 유방촬영에서 Q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방사선 피폭 선량의 감소와 고화질의 영상을 목적으로 하였다. 재료 및 방법: 디지털 유방촬영술에서 QC phantom을 사용하여 노출 방식에 따른 평균유선선량을 MLO view에서 $0^{\circ}C$, $30^{\circ}C$, $45^{\circ}C$, $50^{\circ}C$, $55^{\circ}C$, $70^{\circ}C$, $90^{\circ}C$ 구간에서 측정하였고, Hologic사의 QC 프로그램으로 영상에서 SNR과 CNR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평균유선선량은 $90^{\circ}C$ 일 때 1.75 mGy로 최대치였고, $45^{\circ}C$에서 약 6 % 감소한 1.65 mGy 측정되었다. 또한 auto filter에서 1.67 mGy, manual에서는 1.52 mGy의 평균유선선량을 기록하여 노출 방식에 따라 선량이 차이가 있었다. 화질평가의 모든 각도 구간에서 SNR 50~52, CNR 11~12로 근소한 차이를 나타내고, 제조사의 권고치 내에 포함되었다. 결론: MLO view $45^{\circ}C$에서 가장 적은 선량이었고, SNR 및 CNR의 차이는 미미하였다. 이때의 노출방식은 환자의 체형이나 특성을 고려한 설정으로 차이를 두어 불필요한 환자의 피폭 선량을 줄이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