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er lip

검색결과 413건 처리시간 0.034초

상악 편악 소구치발치와 양악 소구치발치에 의한 교정치료 전후의 측모 두부방사선계측법적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pre- and post-treatment cephalometric measurements: Upper premolar extraction only vs. upper/lower premolar extraction groups)

  • 김영석;김수정;강승구;이영준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21-431
    • /
    • 2007
  • 상악 편악 소구치발치에 의한 교정치료는 임상적으로 상당히 많이 행해지고 있는 현실이지만 임상적 활용도에 비하여 그 보고는 희귀하다. 본 연구는 선택적 교정치료로 행해지는 상악 편악 소구치발치에 의한 교정치료 시 치료전후의 상, 하악 절치위치 및 입술위치 변화를 양악 소구치발치에 의한 교정치료의 치료 전후와 비교, 분석하여 편악발치에 의한 교정치료의 진단적 지침을 제시하고 치료 종료 후의 치료결과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최근에 교정치료가 종료된 환자 중에서 초진 시 수평피개량이 7 mm 이상을 보이는 증례 중 성공적으로 치료되었다고 판단되는 40증례를 선정하여, 교정치료의 목적으로 상악 제1소구치만을 발치하여 치료한 군(이하 편악발치군; Group 1, 20증례)과 상, 하악 제1소구치를 발치하여 치료한 군(이하 양악발치군; Group 2, 20증례)으로 나누어 치료 전후의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을 채득하여 연구재료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초진 시 편악발치군에서 양악발치군과 비교하여 하악 절치의 위치는 순측경사의 정도가 덜 하였으며 하순의 돌출도도 심하지 않았다. 치료종료 시 편악발치군에서 양악발치군과 비교하여 하악 절치의 위치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두 군과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치료 전후의 변화량 비교에서 상, 하악 절치의 이동량은 양악발치군에서 많게 관찰되었으며 하악 절치의 견인에 따라 하순의 돌출도 감소의 양도 양악발치군에서 크게 관찰되었다. 상순의 위치는 두 군간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큰 수평피개를 갖는 증례에서 적절한 발치 선택을 위한 진단정보의 수집에 있어 상악 절치의 위치 및 상순의 돌출도는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다. 하악 절치의 위치와 하순의 돌출량은 큰 수평피개를 갖는 증례에 있어서 편악발치 혹은 양악발치를 결정하기 위한 적절한 진단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큰 수평피개를 갖고 있는 환자 중 하악 절치의 순측경사가 심하지 않으며 하순의 돌출이 심하지 않은 안모를 갖고 있는 증례의 경우 편악발치에 의해 좋은 치료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한국인 성인 남자에게 구순열 및 구개열의 유병률에 관한 연구 (THE PREVALENCE OF CLEFT LIP AND/OR CLEFT PALATE IN KOREAN MALE ADULT)

  • 백형선;김재훈;김동준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3-69
    • /
    • 2001
  • 구순열 및 구개열은 두개 악안면 부위에서 가장 자주 발생되는 선천성 기형으로 적절한 의료진의 확보와 의료 정책의 수립을 위해서 정착한 환자 수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국내 발생률 추정 연구는 표본선정의 문제점과 이 질환이 갖는 높은 유산율과 사산율 및 다양한 형태로 인한 분류의 어려움과 한국 내에서의 특수성 중 하나인 장애아들의 해외 입양으로 인해 정확한 환자 수의 파악이 어려웠다. 따라서, 한국인에서의 체계적인 유병률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되며, 대부분의 구순열 및 구개열 환자에서 필요한 교정 치료의 수혜 정도를 파악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 남자에서 구순열 및 구개열 환자에 대한 유병률과 이들에 대한 교정치료 수혜율을 조사하고자, 1998년도 병무청 징병 검사자 중 1979년도에 출생한 자만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서울, 광주, 대구 부산의 성인 남자 218,322명에 대해 3단계 검사를 실시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979년 생 한국 성인남자에서 구순열 및 구개열 환자의 유병률은 1000명당 0.65명이었다. 2. 전후방적 심도에 따라 1000명당 각각의 유병률은 구순열이 0.26명, 구순구개열이 0.36명,구개열이 0.03명이었다. 구순열과 구순구개열은 비슷한 정도의 유병률을 보였으나, 구개열은 이에 비해 낮은 유병률을 보였다. 3. 횡적 심도에 따라 1000명당 각각의 유병률은 좌측 파열이 0.35명, 우측 파열이 0.16명, 양측 파열이 0.12명이었다. 좌측 파열은 우측 파열에 비해 매우 뚜렷하게 높은 유병률을 보였으며, 양측 파열은 편측 파열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4. 구순열 및 구개열 환자 중 성인남자에서의 한국 내 교정치료 수혜율은 $35\%$였으며, 구순열, 구개열, 구순구개열의 순으로 $28\%,\;29\%\;67\%$였다. 구순열이나 구개열과 같이 단독 발생된 경우보다 파열의 심도가 심한 구순구개열의 경우에서 교정치료 수혜율이 높게 나타났다.

  • PDF

자폐 환자의 자해로 인한 구강 내 손상 : 증례 보고 (SELF-INJURIOUS BEHAVIOR IN A PATIENT WITH AUTISM : A CASE REPORT)

  • 지은혜;이효설;최형준;김성오;최병재;손흥규;이제호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0-14
    • /
    • 2012
  • 자폐증 및 정신 지체가 있는 환자의 입술 깨물기 증상을 mouthguard를 사용하여 성공적으로 조절하였다. 치과적으로 접근 가능한 구강 내 자해 증상의 치료는 가철성 혹은 고정성 장치를 이용하거나 관련 치아의 발치, 악교정 수술 등을 시도할 수 있으며 각 환자에 맞는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해 행동이 일시적으로 개선되었다 해도 재발의 가능성이 높으므로 장기적인 관리와 소아정신과와의 협진 하에 정신심리학적 환경 개선 및 약물 치료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하악전돌증의 악교정수술후 연조직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 OF LATERAL SOFT TISSUE PROFILE AFTER SURGICAL CORRECTION OF MANDIBULAR PROGNATHISM)

  • 이상철;김여갑;류동목;이완기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4권3호
    • /
    • pp.217-227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changes in soft tissue in 22 patients treated by vertical ramus osteotomy and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for the correction of mandibular prognathism. 22 individuals, 12 males and 10 females, were selected from the patients with mandibular prognathism at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Colledge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Patient were analyzed with cephalogram taken 1 week before and at least 6 weeks after surgery under the same condition. Measurements were made constructed hard tissue and sop tissue points located on each before-and-after film tracing. Comparision were made of these figures to estimate the amount that the soft tissue followed the hard tissue structures in each surgical procedure : ratio of sop and hard tissue changes were formul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horizontal changes of Pogs and Bs as a ratio of the horizontal changes of Pog and B point were 1.02 and 1.16 respectively. 2. One millimeter of posterior changes at Pog resulted in 0.86mm of posterior change at Li and 0.09mm of posterior change at Ls. The greatest amount of sop tissue change occurred at Pogs, with substantially less posterior displacement at Bs, even less at Li and at least at Ls. 3. The ratio of LI to Li was 1:0.81 and the ratio of LI to Ls was not significant.(1 : 0.17) 4. The ULA(Cm-Sn-Ls) and the relative lower lip projection (LLP) was incnease4 but the relative upper lip projection (ULP) was slightly decreased 5. The angular change of the upper lip inclined angle (Ls-Sn/ANS-PNS) and lower lip inclined angle(Li-Pogs/Me-Go) expressed as a ratio of the posterior change of Pog were 0.57 and 0.20 respectively. 6. The ratio of the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change of the soft tissue(Sn-Mes) to the hard tissue(ANS-Gn) were 0.78 and and the ratio of vertical height changes of the hard tissue and sop tissue to the posterior change of the Pog were 0.18 and 0.19 respectively. 7. The sop tissue angular change of facial convexity(G-Sn-Pogs) expressed as a ratio of the angular change of the hard tissue angle of facial convexity(N-A-Pog) was 1.24.

  • PDF

하악 전돌증 환자의 하악지 시상 골절단술후 경조직 변화에 따른 안모 연조직 변화 분석 (ANALYSIS OF FACIAL SOFT-TISSUE CHANGES AFTER MANDIBULAR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 박희대;권대근;이상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1호
    • /
    • pp.87-108
    • /
    • 1996
  • 본원에서 하악지시상골 절단술을 시행한 하악전돌증 환자 29명 (남자 12명, 여자 17명)을 대상으로 수술전, 수술후, 장기관찰기간동안 경조직과 연조직 변화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술후 하악은 반시계방향회전하면서 후방이동 하였으며 장기관찰시 B와 Pog에서 1.23mm, 1.28mm의 재발을 보였다. 이는 술후의 하악이동에 따른 순수한 효과(Net effect)가 81.7%, 82.2% 라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재발로 인하여 수술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술전 치료계획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할 수 있다. 2. 하악 경조직의 수평변화에 대한 하악 연조직의 변화비율은 하순구에서 100%, 이부에서 99.1-102.1% 로 나타났으며 하순의 경우 72.7-93.7% 로 나타났으며 상순의 경우 하악 전치 이동량의 5.7% 정도 후방 이동하게 되지만 통계적 상관관계는 미약했으나. 수직적으로 8.3-9.6% 정도 유의한 하방이동양상을 보였다. 3. 술수 상순과 하순의 관계가 개선되어 심미선에 대하여 상순(Ls)은 상대적으로 동출하고 하순(Li)은 후방이동하였으며, 상순구가 얕아지고 하순구가 깊어졌으며, 비순각이 개선되어 전반적 안모가 개선되었으나 턱부위의 전돌은 수술후에도 약간 남아있었다. 4. 하악 연조직점을 종속변수로, 하악 경조직점을 독립변수로한 회귀분석에서 경조직 변화와 연조직 변화 사이의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여도 이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연조직 두께와 수평이동사이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 PDF

성인과 노인의 구강근기능 영향요인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Orofacial Myofunctional in Adults and Eldery People)

  • 김설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303-310
    • /
    • 2019
  • 본 연구는 성인과 노인의 구강근기능(저작력, 혀근력, 구순력, 협근력)을 비교분석하고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과 연하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구강근기능을 조사하였다. 2017년 12월부터 2018년 5월까지 대전과 논산시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성인 73명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검사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ANOVA,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령층별 저작력은 우측, 좌측 구치교합력을 평가한 결과 노년층이 (8.93, 10.80) 성인층(12.51, 14.61) 중년층 (11.63, 14.75)에 비해 감소하였다(p>0.05). 혀근력은 성인층(60.55), 중년층(50.61), 노년층(37.43)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 구순력은 노년층(8.57)이 성인층(12.01), 중년층(11.37)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0).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구강근기능은 혀근력이었고, 연하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혀근력이었다. 혀근력은 자연치아수(r=.566, p<.05), 구순력(r=.497, p<.05)과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었다.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과 연하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혀근력이었다(p<0.05). 노화에 의한 구강근기능 저하의 위험성 인식이 필요하다. 특히 혀근력은 삶의 질과 연하장애와 관련된다. 연령증가시 치아상실로 인한 구강기능 감소뿐만 아니라 구강근기능 저하로 인한 저작, 연하 구강기능 감소의 위험성을 인식하고 고령사회에서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 증진을 위해 정기적 구강관리 및 구강근훈련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편측성순구개열자의 하악골성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DIBULAR GROWTH IN SURGICALLY REPAIRED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 박춘근;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53-167
    • /
    • 1989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nalyze the growth of mandible in surgically repaired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The subjects consisted of 63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individuals, 60 class III malocclusions and 60 normal occlusions ranging from 6 to 15 years old. Each group was divided into two age groups. (6-10 Y and 11-15 Y) The results obtained from UCLP compared with other groups were as follows: 1. The anteroposterior position of the chin was similar to that of the normal occlusions. 2. The shape of the mandible was similar to that of the class III malocclusions. 3. In mandibular size, ramus height was the smallest among three groups, but body length and overall mandibular length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normal occlusions. 4. The lower border of the mandible was the steepest among three groups and strong vertical or clockwise growth tendency was indicated. 5. The position of condyle in relation to the cranial base showed little difference in three groups. 6. In older age group , vertical growth tendency of the mandible decreased more or less.

  • PDF

구순 재건술의 치험 1증례 (A Case of Lip Reconstruction)

  • 박준식;이병희;김철우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2년도 제16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6.1-16
    • /
    • 1982
  • 구순은 음식이 구강을 통과하는데 뿐만 아니라 음절을 구성 하는데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순을 이루고 있는 Orbicularis oris 근육이 괄약근으로 작용하여 강한 수축을 하여야 구순의 완전한 폐쇄를 이룰수 있고 구순의 모양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 이 Orbicularis oris근육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Orbicularis oris 근육주위의 여러 근육들이 서로 길항 혹은 협력할수 있어야만 한다. 구순재건술의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안면신경과 혈관은 보존하면서도 괄약작용에 손실없이 주위근육으로부터 Orbicularis oris 근육을 분리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저자들은 교상으로 인하여 하구순 결손 환자에서 구순재건술을 시행하여 그 기능과 미용에 있어서 좋은 결과를 얻었으므로 문헌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Soft tissue reconstruction in wide Tessier number 3 cleft using the straight-line advanced release technique

  • Kim, Gyeong Hoe;Baek, Rong Min;Kim, Baek Kyu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55-259
    • /
    • 2019
  • Craniofacial cleft is a rare disease, and has multiple variations with a wide spectrum of severity. Among several classification systems of craniofacial clefts, the Tessier classification is the most widely used because of its simplicity and treatment-oriented approach. We report the case of a Tessier number 3 cleft with wide soft tissue and skeletal defect that resulted in direct communication among the orbital, maxillary sinus, nasal, and oral cavities. We performed soft tissue reconstruction using the straight-line advanced release technique that was devised for unilateral cleft lip repair. The extension of the lateral mucosal and medial mucosal flaps, the turn over flap from the outward turning lower eyelid, and wide dissection around the orbicularis oris muscle enabled successful soft tissue reconstruction without complications. Through this case, we have proved that the straight-line advanced release technique can be applied to severe craniofacial cleft repair as well as unilateral cleft lip repair.

Open rhinoplasty in secondary cleft nose deformity with suture techniques

  • Lee, Chong Kun;Min, Byung Duk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211-219
    • /
    • 2022
  • Background: Correction of secondary cleft nose deform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ortions in the management of cleft lip patients. Various techniques have been introduced to achieve adequate shape, balance, and symmetry of anatomical landmarks. None of these methods can claim to universally solve all aspects of the problems encountered in secondary cleft deformity surgery. Some authors overlook the aspect of functional rehabilitation with regard to nasal respiratory pathway problems, which is present in over 90% of the patient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esthetic and functional improvements of the authors' non-destructive technique. Methods: With over 15 years of experience, open rhinoplasty was performed, which included total remodeling of the deformed lower lateral cartilage using several suture fixation techniques without any graft or implantation with septo-turbinoplasty. A total of 150 questionnaires were sent by e-mail, but 55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Surgical outcomes were evaluated using questionnaire responses, and outcomes wer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each for esthetic and functional analyses. Results: The satisfaction rate ranged from 75 % to 98%, which means "more or less," "very much," and "absolutely yes" in the esthetic and functional viewpoint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trongly recommend performing the suture fixation technique and functional rehabilitation simultaneously for cleft lip/nose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