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Achieving Students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3초

수학적 문제해결역량을 위한 평가 문항의 조건과 그 실제 (Analysis of Mathematical Problem Based o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Competency)

  • 이선영;이지수;한선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7권2호
    • /
    • pp.111-136
    • /
    • 2018
  • This study suggests a framework for analyzing item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shows the relationship among the characteristics, difficulty,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actual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competency. Three mathematics educators' classification of 30 items of Mathematics 'Ga' type, on 2017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the responses given by 148 high school students on the survey examining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competenc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only few items satisfying the characteristics for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competency, and students feel ill-defined and non-routine items difficult, but in actual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routineness alone has an effect. For the items satisfying the characteristics, low-achieving group has difficulty in understanding problem, and low and intermediate-achieving group have difficulty in mathematical modelling. The findings can suggest criteria for mathematics teachers to use when developing mathematics questions evaluating problem solving competency.

과학적 모델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견해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Views on the Scientific Model)

  • 차정호;김영희;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638-64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 모델에 대한 학생들의 견해를 조사하고, 학년과 성, 성취도에 따라 견해를 비교했다. 또한 과학적 모델에 대한 학생들의 견해와 인식론적 신념 간의 상관 관계도 조사했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중학교 2학년 137명과 고등학교 2학년 112명이었다. 학생들은 '모델의 실재성'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모델에 대해 적절한 견해를 지니고 있었다. 성과 성취도에 따른 비교에서는 상위 수준 학생이나 남학생의 견해가 보다 현대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년에 따른 비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상관 분석에서는 모델에 대해 부적절한 관점을 가진 학생들이 전통적인 인식론적 신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지능이 도서 선호 양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 Analysis of Multiple Intelligences' Effect on Book Selection Preferences)

  • 최영임;한복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101-115
    • /
    • 2009
  • 본 연구는 다중지능 이론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다중지능 유형에 따른 도서 선호 양상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학업 성취 수준 간에 비교분석하였다. 자료조사를 위하여 충남 천안의 인문계 고등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자료를 기초로 하여 학업 성취도 상위집단과 하위집단 각각 50명을 표본으로 학생 개개인의 다중지능에 따른 도서 선호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효과적인 독서지도를 위한 자료로서 후속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Mathematical Modeling of the Tennis Serve: Adaptive Tasks from Middle and High School to College

  • Thomas Bardy;Rene Fehlman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6권3호
    • /
    • pp.167-202
    • /
    • 2023
  • A central problem of mathematics teaching worldwide is probably the insufficient adaptive handling of tasks-especially in computational practice phases and modeling tasks. All students in a classroom must often work on the same tasks. In the process, the high-achieving students are often underchallenged, and the low-achieving ones are overchallenged. This publication uses different modeling of the tennis serve as an example to show a possible solution to the problem and develops and discusses one adaptive task each for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e using three mathematical models of the tennis serve each time. From model to model within the task, the complexity of the modeling increases, the mathematical or physical demands on the students increase, and the new modeling leads to more realistic results. The proposed models offer the possibility to address heterogeneous learning groups by their arrangement in the surface structure of the so-called parallel adaptive task and to stimulate adaptive mathematics teaching on the instructional topic of mathematical modeling. Models A through C are suitable for middle school instruction, models C through E for high school, and models E through G for college. The models are classified in the specific modeling cycle and its extension by a digital tool model, and individual modeling steps are explained. The advantages of the presented models regarding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al modeling are elaborated. In addition, we report our first teaching experiences with the developed parallel adaptive tasks.

기하 증명 구성에 나타나는 학생들의 사고과정 탐색 (Exploring students' thinking in proof production in geometry)

  • 안선영;김구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3권3호
    • /
    • pp.383-397
    • /
    • 2014
  • This study aims to explore secondary students' thinking while doing proof in geometry. Two secondary students were interviewed an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 that the two students similarly showed as follows: a) tendencies to use the rules of congruent and similar triangles to solve a given problem, b) being confused about the rules of similar and congruent triangles, and c) being confused about the definitions, partition and hierarchical classification of quadrilaterals. Also, the results revealed that a relatively low achieving student has tendency to rely on intuitive information such as visual representations.

평소 학습과 시험 상황에서 초등학생의 인지 전략과 메타인지 전략의 사용 (The Use of Cognitive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Learning and Testing Situations)

  • 노태희;장신호;임희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27-336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평소 학습과 시험 상황에서의 인지 전략 및 메타인지 전략 사용을 성취 수준, 동기 수준 및 성에 따라 비교하고, 이들 전략과 학업 성취도, 동기와의 관계를 분석한 후 학업 성취도에 대해 설명력이 큰 학습 전략을 조사하였다. 성취도 상위 집단 학생들은 평소 학습에서 인지 및 메타인지 전략을 하위 집단에 비하여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시험 상황에서는 인지 전략의 사용을 하위 집단보다 더 많이 하였다. 학습 동기 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평소 및 시험 상황에서 인지 전략과 메타인지 전략을 하위 수준의 학생들보다 더 많이 사용하였다.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하여 평소 학습에서 전략 사용을 활발히 하는 반면 시험 상황에서는 인지 및 메타인지 전략 사용에서 성차가 없었다. 학업 성취도 및 동기와 이들 학습 전략들과의 상관은 모두 유의미하였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평소 학습에서 사용하는 인지 전략이 학업 성취도에 대한 가장 큰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영자신문을 활용한 고등학생의 영어 독해능력 향상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reading ability using English newspapers)

  • 이정원;이태옥
    • 영어어문교육
    • /
    • 제13권1호
    • /
    • pp.159-180
    • /
    • 2007
  • The present study proposes a set of activities of teaching English reading through English newspapers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English required in authentic situation and the one taught in schools. Newspapers can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review what they have studied in the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refore, to investigate how extra-curricular activities using English newspapers have an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the three low-achieving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reading ability. The five-month study yielded that the activities using English newspapers exerted positive effects on the students' interest in English and their English scores. It suggests that using English newspapers as teaching materials may be a desirable way both to motivate students to study English harder and to develop their English reading ability.

  • PDF

수학 성취와 흥미에 영향을 주는 변인의 성취 집단별 차이 (The Effects of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on Achievement and Interest in Mathematics in High and Low Achieving Students)

  • 최지선;상경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63-18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성취 수준에 따라 수학 성취와 흥미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맥락변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TIMSS 2015에 참여한 4학년, 8학년 학생들을 각각 성취도 상위 집단(우수수준 이상)과 하위 집단(보통수준 이하)의 두 집단으로 구분하고, 집단별로 교육맥락변인이 수학 성취와 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위계선형모형을 적용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도 상위 집단의 경우에 수학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흥미에 영향을 미치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그 중 도서 보유량과 학생의 수학 수업 인식은 수학 성취도와 수학 흥미에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변인이었다. 둘째, 성취도 하위 집단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성취도 상위 집단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치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4학년의 경우에 도서 보유량, 가정 학습 환경, 취학 전 수리 활동이 하위 집단과 상위 집단의 성취도에 모두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4학년에서 부모 학력, 학생의 수학 수업 인식 등은 상위 집단 학생들의 성취도에만 영향을 주었고 하위 집단 학생들의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수학에 대한 흥미의 경우에도 4학년과 8학년에서 하위 집단 학생들의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인 학생의 수학 수업 인식은 상위 집단 학생들의 흥미에도 영향을 미쳤으나 도서보유량은 상위 집단 학생들의 흥미에만 영향을 미쳤다.

중학교 2학년 서술형 평가 문항 반응에서 나타난 오류 분석 : 대수 영역을 중심으로 (Analyzing eighth grade students' errors in the constructed-response assessment: A case of algebra)

  • 김래영;이민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3호
    • /
    • pp.389-406
    • /
    • 2013
  • 본 연구는 수학과 서술형 평가에서 나타난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오류 유형을 문항별, 학습 수준별로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교수 학습 과정을 촉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총 99명의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문항 반응을 분석한 결과, 수학적 사고와 표현, 현실 맥락과 연결된 문항 혹은 수학 내용들이 연결된 문항 등에서 다양한 오류가 나타났으며 단일 오류뿐만 아니라 복합적인 오류 유형도 발견되었다. 학습 수준에 따라서도 상위 수준의 학생들은 복합적 오류 보다는 단일 오류가, 중하위 수준의 학생들은 복합적인 오류가 더 빈번히 나타났으며 오류 유형도 다양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문항의 유형별, 학습 수준별 학생들의 오류 패턴을 보여주는 것으로 향후 학생들의 오류를 수정하고 수학 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서술형 평가 문항과 교수법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수학 게임을 활용한 복습 활동이 학생의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tent Reviews using Mathematical Games on Students' Mathematical Disposition)

  • 장명석;노지화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8권4호
    • /
    • pp.517-532
    • /
    • 2022
  • This study looked at how content reviews with mathematical games in class would influence the mathematical disposi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doing so, three games adapted from prior research were used as a supplementary instruction after school hours over three months. The mathematical topics of the games involved concepts of probability and trigonometry at the middle school level.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survey on mathematical disposition indicate that incorporating mathematical games appeared to have some positive impacts on whether students might be more eager to learn mathematics and actually put more effort in learning materials.